![](https://img.hankyung.com/photo/201808/AKR20180823127500052_01_i.jpg)
경남 창원시 마산합포구에서 숯불갈비 식당을 운영하는 문순금(64·여)씨는 태풍 솔릭(SOULIK)이 북상하는 23일 오후 행정당국에 이틀 전 신청한 5㎏짜리 모래 포대 30여 개를 지원받자 안도의 한숨을 내쉬었다.
2003년 태풍 '매미' 때 침수피해를 본 문씨는 "'태풍' 보도만 나오면 관할 구청에 모래 포대를 신청한다"며 "이 지역은 비가 내리면 멈출 생각을 하지 않아 늘 불안하다"고 말했다.
이 지역은 태풍 피해뿐 아니라 해안 저지대로 대조기에 도로가 침수되는 곳이다.
문씨 식당 일대는 태풍 '매미' 최대 피해 지역 중 한 곳이다.
이곳 상인들은 태풍 솔릭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마산합포구청에 모래 포대를 1천여 개를 이미 신청했다.
행정당국도 비상근무하며 태풍 피해가 되풀이되지 않기 위해 행정력을 동원하고 있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1808/AKR20180823127500052_04_i.jpg)
또 178억원을 들여 2007년 6월 구항배수펌프장을 완공해 침수피해를 예방하고 있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1808/AKR20180823127500052_05_i.jpg)
![](https://img.hankyung.com/photo/201808/AKR20180823127500052_02_i.jpg)
마산지방해양수산청도 해일 피해를 막으려고 500억원으로 오동동 마산관광호텔에서 마산항 2부두 물양장까지 마산만 5만8천㎡(폭 30∼70m)를 매립해 길이 1.25㎞의 방재언덕을 쌓기로 하고 2013년 11월 공사를 시작했다.
특히 횟집·장어거리, 수산센터가 몰려있는 해안가 800m 구간은 최대 6.5m 높이 투명 강화 유리 벽을 설치하는 형태로 방재언덕을 만들었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1808/AKR20180823127500052_03_i.jpg)
마산합포구청 관계자는 "태풍 솔릭 북상으로 24시간 비상근무체제에 돌입했다"며 "큰 피해가 없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