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그룹 지주사인 SK가 자회사들의 실적 호조에도 주가는 부진을 면치 못하고 있다. 시장에서는 자회사들의 성장성에 비해 SK 주가가 저평가돼 있다며 저가 매수할 기회라는 조언이 나온다.
23일 유가증권시장에서 SK는 3000원(1.15%) 오른 26만3500원에 장을 마쳤다. 이날은 소폭 반등했지만 3개월 전과 비교하면 12.6% 떨어졌다.
주가가 부진의 늪에 빠진 건 자회사인 SK건설이 시공하던 라오스 댐의 붕괴 사실이 최근 알려지면서다. SK는 비상장사인 SK건설 지분 44.48%를 보유하고 있다. 연내 상장할 것으로 기대했던 SK건설이 상장을 미루면서 투자심리가 얼어붙었다.
시장 전문가들은 SK 주가에 댐 사고 관련 악재가 과도하게 반영됐다고 지적한다. 최남곤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라오스 사고 보상비용은 SK건설과 발주처인 PNPC가 가입한 보험으로도 상당 부분 메울 수 있는 수준”이라고 진단했다. 자회사 기업가치 대비 주가도 크게 저평가돼 있다는 분석이다.
김동양 NH투자증권 연구원은 “현 주가는 SK의 순자산가치 대비 48%에 불과하다”며 “지주사에 대한 투자자들의 관심이 낮아지면서 주가는 올초보다 순자산가치 기준으로 9%포인트 더 떨어졌다”고 설명했다.
반면 실적 기대감은 오히려 커지고 있다. SK의 신성장동력으로 꼽히는 SK실트론과 SK E&S가 대표적이다. 오진원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SK실트론은 생산공정 개선으로 물량이 늘어 2분기에 이어 3분기에도 사상 최대 영업이익 기록을 경신할 전망”이라며 “SK E&S도 원가 경쟁력을 바탕으로 LNG 발전소 가동률을 높은 수준으로 유지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우량 자회사들의 상장도 이어질 전망이다. SK의 신약개발 자회사인 SK바이오팜은 내년 유가증권시장 상장을 검토하고 있다. SK실트론도 상장을 추진할 전망이다. 김 연구원은 “두 회사 상장 시 SK가 기존 주식을 시장에 일부 팔 전망”이라며 “여기서 확보한 재원으로 신규 인수합병(M&A)이나 주주가치 제고 방안을 기대할 만하다”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