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개 센터 예산지원 5년새 ⅓ 감소…의료계 "예산 확대돼야"

전국 어디서나 심·뇌혈관질환을 3시간 이내 치료받도록 지원하는 '권역별심뇌혈관질환센터' 관련 예산이 줄어들면서 의료계의 우려가 커지고 있다.

내년에는 전문의 당직비 지원 등이 삭감될 수 있다는 예상에 심근경색 및 뇌졸중 관리에도 공백이 생길 수 있다는 주장이다.

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 운영협의체는 24일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에서 열린 '심뇌혈관질환의 관리에 대한 대토론회'에서 예산 삭감과 사업 중단은 의료사각지대 주민의 피해로 이어질 수 있다고 주장했다.

현재 전국 12개 병원에서 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가 운영되고 있다.

이곳에서는 24시간 365일 전문의 상주 당직, 뇌졸중 집중치료실 운영, 조기 재활 프로그램, 입·퇴원환자 및 관련 의료인 교육 등이 이뤄진다.

이러한 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에 대한 정부의 예산 지원이 줄어들면서 안전망 공백이 우려된다는 게 의료계의 입장이다.

운영협의체에 따르면 2013년 11개 센터 126억원에 달했던 예산 지원액은 올해 3분의2 가량인 83억600만원까지 줄어든 상태다.

올해 추가로 지정된 울산대병원은 제외한 집계다.

차재관 운영협의체 회장(동아대병원 신경과 교수)은 "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 예산이 계속 감소하는 가운데 내년에는 전문의 상주 당직비 등에 대한 대폭 삭감이 예상된다"며 "예산 감소로 인한 사업 위축은 지방, 특히 농어촌 등 의료취약지역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말했다.

차 회장은 "권역센터에 상주하는 전문의는 병원뿐 아니라 진료권역 전체 환자를 위한 당직"이라며 "보다 촘촘한 안전망 구축을 위해 '권역에서 지역으로' 확대가 진행돼야 할 상황에서 기존 사업마저 축소하는데 우려하지 않을 수 없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정부가 국정과제로 추진하는 의료공공성 확보 및 환자 중심 의료서비스 제공을 위해서라도 관련 사업을 더욱 확대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심뇌혈관질환은 골든타임 내 병원에 도착해야 하므로 의료서비스 접근이 가능한 지역, 계층에 따라 사망률 등에 큰 차이가 난다.

뇌졸중의 경우 혈전 제거가 필요한 중증 환자의 65%가 해당 치료를 할 수 없는 병원으로 내원한다는 보고가 있다.

치료가 불가능한 병원을 찾았던 환자는 처음부터 치료가 가능한 병원을 찾은 환자들에 비해 퇴원 시 회복률은 11% 낮았고 1년 사망률은 7% 높았다.

차 회장은 "누구나 언제 어디서나 뇌졸중, 심근경색 골든타임 내 치료가 가능하고 후유증 없는 건강한 노년을 누릴 수 있어야 한다"며 "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 예산은 더 확대돼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 지원 줄어 안전망 공백 우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