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구조·경기·정책적 요인 복합적으로 작용"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한국경제의 허리 격인 30∼40대 취업자가 도소매업과 교육서비스업, 제조업, 사업지원서비스업, 건설업 등에서 전방위로 감소한 것으로 확인됐다.

자동차나 조선업 구조조정으로 제조업에서 밀려난 30∼40대는 자영업 경기마저 극도로 악화하면서 갈 곳이 없어지고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정부는 인구나 산업구조와 경기, 정책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며 업종별 맞춤형 대책을 마련하겠다는 방침이다.

26일 현대경제연구원이 통계청의 7월 경제활동인구조사 마이크로데이터를 분석한 결과를 보면, 지난달 30∼40대 취업자는 도소매업과 교육서비스업, 제조업, 운수·창고업, 사업지원서비스업, 건설업 등에서 전년 같은 달에 비해 모두 38만6천514명 감소했다.

여기에 부동산업 40대 취업자 감소폭(-2만9천573명), 숙박음식점업 30대 취업자 감소폭(-1만166명)을 더하면 사라진 일자리는 40만개를 넘어선다.

가장 감소폭이 큰 업종은 편의점이나 옷가게 등 자영업자가 포진한 도소매업이었다.

도소매업에서 30대 취업자는 6만2천51명, 40대 취업자는 7만5천156명 등 모두 13만7천207명 감소했다.

학령인구 급감에 따른 학원 폐업 등으로 교육서비스업 취업자는 30대가 4만802명, 40대는 3만4천239명 등 모두 7만5천41명이 밀려났다.

조선업과 자동차 산업 구조조정이 장기화하면서 제조업 취업자수는 30대가 3만4천539명, 40대는 3만619명 등 6만5천158명이 줄어들었다.

운수·창고업은 모두 3만3천852명 감소했다.

다른 산업에 인력알선이나 공급을 담당하는 사업시설관리, 사업지원 및 임대서비스업 취업자수는 30대가 1만2천980명, 40대는 1만9천772명 등 모두 3만2천752명 감소했다.

이 밖에 30∼40대 취업자수는 전문, 과학 및 기술서비스업에서 2만7천758명, 건설업에서는 1만4천749명이 각각 감소했다.
3040 일자리 충격…도소매·교육·제조업 등 전방위 감소
반면에, 정부의 일자리 예산 지원이 집중된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 취업자는 30대가 2만2천360명, 40대는 2만2천421명 등 모두 4만4천781명 늘었다.

역시 공공일자리인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 취업자는 30대는 2만8천843명 늘었지만 40대는 1만9천712명 감소했다.

30∼40대 취업자수는 정보통신업에서 4만4천643명, 금융및 보험업에서 4만3천279명, 기타 개인서비스업에서 2만4천346명 각각 늘었다.

이에 따라 전체 30∼40대 취업자수는 30대가 9만693명, 40대가 14만6천911명 각각 줄어 모두 23만7천604명 감소했다.

현대경제연구원 주원 경제연구실장은 "30∼40대 취업자가 전방위로 줄어드는 데에는 경기요인이 크다"면서 "제조업에서 구조조정 대상이 된 30∼40대를 받아줄 산업이 없어서 고용상황이 점점 더 나빠지는 악순환이 이어지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외환위기 때는 구조조정 당한 30∼40대가 도소매업이나 사업지원서비스업 등으로 갈 수 있었는데, 지금은 자영업에서 워낙 과당경쟁이 이뤄지고 있고, 최저임금의 급격한 인상 등으로 사람을 쓰지도 않아 갈 곳이 없게 된 것"이라고 덧붙였다.

통계청 빈현준 고용통계과장은 "40대 전반의 고용상황이 특히 안 좋은데, 인구 자체가 줄어드는 측면도 있지만, 외환위기 이후 카드사태가 이어지던 때 취업해 고용안정성이 떨어지는 직종에 많이 분포했고, 글로벌 금융위기로 인한 타격도 크게 받아 다른 연령층에 비해 지속적으로 취약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고 지적했다.

정부 고위관계자는 "30~40대 취업자가 구조조정이 이뤄지고 있는 제조업과 자영업자가 많은 도소매업쪽에서 많이 감소했다"면서 "인구나 산업구조, 경기, 정책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그는 "연령별보다는 업종별로 맞춤형 대책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