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속노조 한국GM지부가 30일 여의도 산은 본사에서 한국GM 법인분리 강행 반대 시위를 하고 있다. (사진=한국GM 노동조합)
금속노조 한국GM지부가 30일 여의도 산은 본사에서 한국GM 법인분리 강행 반대 시위를 하고 있다. (사진=한국GM 노동조합)
한국GM 노동조합이 30일 제너럴모터스(GM)의 한국 내 연구개발(R&D) 신설법인 설립에 대해 군산공장 폐쇄에 이은 또 다른 구조조정음모로 규정하고 2대주주인 산업은행의 철저한 조사를 요구했다.

GM의 법인분리 계획은 경영정상화 합의에 없던 내용으로 산은이 견제장치를 마련하기 위해 법리적 검토는 물론 비토권(거부권)을 행사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금속노조 한국GM지부는 이날 서울 여의도 KDB산업은행 앞에서 한국GM 법인분리 규탄 및 산업은행 비토권 행사를 촉구하는 시위에 나섰다.

임한택 노조 지부장은 "GM이 계획하고 있는 법인분리를 한다고 해서 회사가치가 상승하지 않는다. 현재대로 유지해도 연구개발에 아무런 제약을 받지 않는다"며 "연구개발 법인을 신설할 경우 임원을 비롯한 재무, 회계, 인사, 노무 등 인적조직이 확대돼야 하는 등 순기능 보다는 큰 부작용만 나타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GM의 법인분리 계획은 대리법무법인 김앤장을 앞세워 단체협약을 위반하면서까지 노동조합 압박수위를 높이며 법인분리만행을 노골화하고 있다"고 우려했다.

앞서 노조는 지난달 24일 부평 본사에서도 '고용생존권 파괴하는 일방적인 구조조정 중단하라'며 법인분리 반대 입장을 표명했다. 한달여 만에 투쟁에 나선 노조는 사측이 법인분리를 강행할 경우 산은 본사 1위 시위와 한국GM 카허 카젬 사장 퇴진운동을 병행하겠다며 투쟁 의지를 보였다.

지난달 한국GM은 올 연말까지 연구개발 투자의 일환으로 디자인센터, 기술연구소, 파워트레인 등 관련 부서를 분리해 글로벌 제품 개발 업무를 집중 전담할 신설법인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노조 반발에 대해 사측은 신설법인은 연구개발 인력 신규 고용, 글로벌 신형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개발권 확보 등 긍정적인 효과가 기대되는 사업으로 노사가 함께 논의해 나가겠다는 입장이다.

한국GM 관계자는 "신설법인 설립은 경영정상화 발판 마련에 이어 증대된 연구개발 능력을 효과적으로 운영해 회사 경쟁력을 높여나가기 위한 것"이라고 말했다.

김정훈 한경닷컴 기자 lenno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