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런 연구에는 영업상의 성과를 비교해 선택하는 방법이 있다. 예를 들어 A기업은 연간 500억원의 영업이익을 올리는 데 시가총액이 5000억원이고, B기업은 영업이익이 500억원인데 시가총액이 1조원이라면 A기업이 저평가된 것이거나 B기업이 고평가된 것이다.
매출도 기준이 될 수 있다. 급성장하는 산업에서는 매출이 많은 기업이 유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MLCC(적층세라믹콘덴서)와 같은 급성장 산업에서는 매출이나 시설 규모도 중요한 판단 기준이 된다.
때로는 주식 수가 적은 종목이 선호된다. 유통주식 수가 많지 않은 종목은 주가 상승기에는 보다 탄력적으로 상승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거래량이 적은 것은 환금성이 나쁘다는 치명적인 약점이 있다. 탄력적 급등을 할 수도 있으나 급락도 나타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투자자들은 거래량이 많은 종목을 더 선호한다.
신약을 개발하는 바이오 기업의 경우 보다 최신의 신약 파이프라인을 선호한다. 같은 신약파이프 라인 기업을 모아서 시가총액, 연구성과, 연구인력, R&D 규모 등을 비교하는 것은 유용하다.
종목을 고르는 일은 쉬운 일이 아니다. 노력한 만큼 성과가 잘 나타나지도 않는다. 때로는 통찰력과 같은 감각이 중요하기도 하다. 관심종목을 등록하고 종목 간 비교 연구를 하는 습관은 중요하다. 그러나 최종 결론은 결국 시장이 한다. 시장이 선택하는 종목이 일등주이며 그것을 추종하는 것이 최고의 수익률을 올려 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