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분기 경제성장률 0.6%…식어가는 성장엔진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올해 2분기 경제성장률이 0.6%로 잠정 집계됐다. 이는 7월 발표된 2분기 속보치와 비교해서도 0.1%포인트 내려간 수준이다.
한국은행이 4일 발표한 '2018년 2분기 국민소득(잠정)'에 따르면 2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은 397조9592억원(계절조정계열)으로 전 분기보다 0.6% 증가했다.
분기별 GDP 성장률은 작년 4분기 -0.2%에서 올해 1분기 1.0%로 뛰었지만, 2분기에 다시 하락했다.
성장률은 7월 발표된 2분기 속보치(0.7%)보다도 0.1%포인트 낮아졌다.
설비투자 증가율이 속보치보다 0.9%포인트 올라갔지만, 건설투자(-0.8%포인트), 수출(-0.4%포인트), 수입(-0.4%포인트) 등이 줄줄이 하향 조정됐다.
2분기와 상반기 전체 전년 동기 대비 성장률은 2.8%다. 정부와 한은의 올해 연간 성장률 전망치(2.9%) 달성에 노란불이 켜진 셈이다.
한은이 10월 수정경제전망에서 성장률 전망치를 하향조정할 가능성도 높아졌다. 오는 10월 기준금리 인상 기대에 힘이 빠질 수 있다.
부문별로 보면 민간소비는 0.3% 증가해 2016년 4분기 이후 가장 부진했다. 정부소비 증가율도 0.3%로, 2015년 1분기 이후 최저를 기록했다.
건설투자는 -2.1%였다. 건설투자는 올해 1분기 1.8%에서 마이너스로 돌아섰다. 사회간접자본(SOC) 투자 축소 등 여파로 주거용 건물건설, 토목건설이 모두 줄었다.
설비투자 증가율은 -5.7%였다. 속보치보다 개선됐지만, 2016년 1분기 이래 가장 부진했다.
수출은 0.4%, 수입은 -3.0%로 집계됐다. 수입 증가율도 2011년 3분기 이래 최저였다.
업종별로는 제조업 증가율이 1분기 1.6%에서 2분기 0.6%로 뚝 떨어졌고 건설업은 2.1%에서 -3.1%로 마이너스 전환했다. 건설업 증가율은 2012년 1분기 이래 최저다.
서비스업 증가율도 1분기 1.1%에서 2분기 0.5%로 반토막이 났다.
1분기 실질 국민총소득(GNI·계절조정기준)은 전 분기보다 1.0% 감소했다. GNI는 한 나라 국민이 일정 기간 국내외에서 벌어들인 임금, 이자, 배당 소득 등을 합친 지표다.
실질 GNI는 작년 4분기 -1.2%에서 올해 1분기 1.3%로 개선됐으나 반년만에 다시 고꾸라졌다. 유가 상승에 따라 교역조건이 악화한 데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한경닷컴 뉴스룸 open@hankyung.com
한국은행이 4일 발표한 '2018년 2분기 국민소득(잠정)'에 따르면 2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은 397조9592억원(계절조정계열)으로 전 분기보다 0.6% 증가했다.
분기별 GDP 성장률은 작년 4분기 -0.2%에서 올해 1분기 1.0%로 뛰었지만, 2분기에 다시 하락했다.
성장률은 7월 발표된 2분기 속보치(0.7%)보다도 0.1%포인트 낮아졌다.
설비투자 증가율이 속보치보다 0.9%포인트 올라갔지만, 건설투자(-0.8%포인트), 수출(-0.4%포인트), 수입(-0.4%포인트) 등이 줄줄이 하향 조정됐다.
2분기와 상반기 전체 전년 동기 대비 성장률은 2.8%다. 정부와 한은의 올해 연간 성장률 전망치(2.9%) 달성에 노란불이 켜진 셈이다.
한은이 10월 수정경제전망에서 성장률 전망치를 하향조정할 가능성도 높아졌다. 오는 10월 기준금리 인상 기대에 힘이 빠질 수 있다.
부문별로 보면 민간소비는 0.3% 증가해 2016년 4분기 이후 가장 부진했다. 정부소비 증가율도 0.3%로, 2015년 1분기 이후 최저를 기록했다.
건설투자는 -2.1%였다. 건설투자는 올해 1분기 1.8%에서 마이너스로 돌아섰다. 사회간접자본(SOC) 투자 축소 등 여파로 주거용 건물건설, 토목건설이 모두 줄었다.
설비투자 증가율은 -5.7%였다. 속보치보다 개선됐지만, 2016년 1분기 이래 가장 부진했다.
수출은 0.4%, 수입은 -3.0%로 집계됐다. 수입 증가율도 2011년 3분기 이래 최저였다.
업종별로는 제조업 증가율이 1분기 1.6%에서 2분기 0.6%로 뚝 떨어졌고 건설업은 2.1%에서 -3.1%로 마이너스 전환했다. 건설업 증가율은 2012년 1분기 이래 최저다.
서비스업 증가율도 1분기 1.1%에서 2분기 0.5%로 반토막이 났다.
1분기 실질 국민총소득(GNI·계절조정기준)은 전 분기보다 1.0% 감소했다. GNI는 한 나라 국민이 일정 기간 국내외에서 벌어들인 임금, 이자, 배당 소득 등을 합친 지표다.
실질 GNI는 작년 4분기 -1.2%에서 올해 1분기 1.3%로 개선됐으나 반년만에 다시 고꾸라졌다. 유가 상승에 따라 교역조건이 악화한 데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한경닷컴 뉴스룸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