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용차 해고자·가족 고통, 타인의 삶 아냐… 누구나 겪을 수도"
정리해고 직·간접 경험자들 "쌍용차 가족 고통 헤아려달라" 호소
"쌍용차 해고자·가족 고통, 타인의 삶 아냐… 누구나 겪을 수도"
"쌍용자동차 해고자와 그 가족의 고통은 우리가 모두 어느 시점에 겪을 수 있는 우리의 오래된 미래일 수 있습니다."

고려대 보건과학대학 김승섭 교수는 6일 서울 중구 프란치스코교육회관에서 '당신과 당신의 가족은 이런 해고를 받아들일 수 있나요'라는 주제로 연 '2018 쌍용자동차 해고자와 가족 실태조사 연구결과 발표회'를 이런 말로 마무리했다.

이번 실태조사는 국가인권위원회 지원사업에 따른 것으로, 해고자(해고 상태 유지)와 복직자 외에 그 가족까지 조사한 것은 처음이다.

조사결과, 해고·복직자의 배우자는 10명 중 3명꼴로 최근 1년간 자살을 생각했다.

스스로 얼마나 건강한지를 물었을 때 '나쁘다'고 답한 비율은 해고자의 배우자가 42.3%, 복직자의 배우자는 17.1% 수준이었다.

해고 당사자들은 더욱 높아, 해고자들은 50.0%가 '나쁘다'고 대답했고, 복직자들은 30.3%가 같은 대답을 내놨다.

김 교수는 "쌍용차 해고자들의 고통을 얘기할 때마다 인터넷 댓글은 해고자들을 비웃거나 욕하는 경우가 많다"며 "그러나 이들은 대단한 요구를 하는 것이 아니라 부당하게 해고당했으니 원래 자리로 돌아가겠다는 것뿐"이라고 강조했다.

김 교수는 "이렇게 을(乙)이 을을 비난할수록 이런 상황을 만든 권력과 사회는 더욱 튼튼해진다"며 "고용불안과 정리해고가 상수인 시대에서 그동안 쌍용차 해고자들과 가족이 겪은 고통은 언제든 우리가 겪을 수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김 교수의 연구결과 발표에 이어 진행된 토론에서는 쌍용차 해고자로서 여전히 투쟁을 이어가는 이들과 해고자 가족, 그리고 쌍용차를 측면에서 지원하면서 직·간접적으로 개입한 이들의 증언이 이어졌다.

이정아 전 쌍용차 해고자 가족대책위원회 대표는 "남편이 해고될 당시 뱃속에 셋째 아이가 있었다"며 "지금은 10년이라는 시간이 지나 또래 친구들하고도 잘 지내고 있지만, 여전히 아이들을 생각하면 말을 꺼내기 전에 눈물부터 터진다"고 울먹였다.

이 전 대표는 "파업 때문에 남편이 부당하게 해고당한 이후 겪은 일들로 지난 10년간 성숙해졌고, 세상을 보는 시각도 넓어졌다"며 "그런데 겪지 않았어도 될 일들을 경험하면서 얻은 아픈 기억들은 누가 보상해줄지, 지금 잘 지내니까 이대로 묻어둬도 되는지 이명박 전 대통령에게, 국가에 묻고 싶다"고 말했다.

2009년 파업 당시 의료지원을 나간 이상윤 인도주의실천의사협의회 공동대표는 "사실 상처를 받고 트라우마가 생겨도 삶은 이어지지만, 트라우마는 절대 사라지지 않는다"며 "영화 속 인서트 컷처럼 어느 순간 삶에 들어와 우울하게 한다"고 말했다.

이 대표는 "해고와 국가폭력, 정부의 희생양 만들기라는 점에서 쌍용차 해고 문제의 특수한 측면이 있다"며 "많은 분이 정리해고를 당하지만, 이 세 가지 측면에서 쌍용차 문제는 더 강조해도 지나침이 없다"고 단언했다.

심리치유센터 '와락'의 권지영 대표는 "배우자들은 해고 당사자들의 충격을 위로하는 한편 생계와 다른 가족들의 걱정까지 다 떠안아야 했다"며 "이들은 해고자의 가족이라는 이유로 발생하는 일상에서의 차별 때문에 웅크리기도 했다"고 전했다.
"쌍용차 해고자·가족 고통, 타인의 삶 아냐… 누구나 겪을 수도"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