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린벨트 해제 후보지역 안산·과천에 가보니
8월도 집값 떨어진 안산
"교통 지옥 더 심해질 듯"
과천시청엔 항의전화 빗발
일부 주민, 반대시위 계획
의왕·성남선 '환영' 분위기
'묻지마 투자' 경계 목소리도
![정부는 안산 과천 등 수도권 일부 지역의 그린벨트(개발제한구역)를 해제하고 공공택지로 지정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공공택지 후보지로 거론되고 있는 경기 안산시 상록구 장상동 일대. /김범준 기자 bjk07@hankyung.com](https://img.hankyung.com/photo/201809/AA.17702765.1.jpg)
수도권 공공택지 후보지 8곳이 발표되자 일부 지역에서 거센 반발이 일고 있다. 난개발 우려, 공급 과잉에 따른 집값 하락 등 반대 이유는 다양하다. 전문가들은 안산처럼 서울과 먼 곳에 택지를 지정하면 해당 지역 부동산시장의 침체를 가속화하고 서울 집값을 더욱 폭등시킬 수 있다고 우려했다.
◆“주택시장 초토화된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1809/AA.17704584.1.jpg)
안산시 장상동 J공인 관계자는 “4호선 중앙역 역세권 신축 단지가 분양가보다 2000만원 낮은 수준에 거래되고 있다”며 “정부가 공급을 더 늘린다고 해서 지금 중개업자들이 단체로 지역구 국회의원실에 항의하고 있다”고 말했다.
인근 주민들도 불만을 드러냈다. 안산시 본오동에 사는 임재영 씨(26)는 “장상동 주변은 서울로 출퇴근하는 교통편이 너무 불편한데 왜 아파트를 더 짓는지 의문”이라며 “안산지역에서 추진되고 있는 재건축·재개발이 올스톱되는 것이 불가피하다 보니 지역 주민의 불만이 크다”고 말했다.
주암동과 과천동 일대가 후보지로 거론된 과천시에선 지방자치단체까지 반발하고 있다. 과천시 신규 택지공급 면적은 115만6000㎡로 7100가구가 들어선다는 목표가 세워져 있다. 강남에 인접한 ‘미니신도시’급이란 평가다. 과천시는 “행정기관 지방 이전으로 텅 빈 지역에 임대주택을 더 짓겠다는 정부 방침에 반대한다”는 의견을 냈다.
일부 주민은 비상대책위원회를 꾸려 집회와 시위를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김종천 과천시장은 이날 “개발을 하더라도 정부청사의 지방 이전 이후 시 주도로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개발사업을 해야 한다”며 “시민의 항의 전화가 아침부터 쏟아져 일을 못할 정도”라고 말했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1809/AA.17704585.1.jpg)
◆“그린벨트엔 투기바람”
반면 일부 지역은 환영하는 분위기다. 의왕시는 시 전체 면적의 86.6%가 그린벨트로 묶여 있다. 의왕시 청계동 H공인 관계자는 “어제 오늘 매수 문의가 두 배가량 늘었다”며 “강남까지 차로 30분밖에 안 되는 거리여서 그린벨트를 풀어 아파트를 짓는다는 소식에 주민들도 찬성하는 분위기”라고 전했다. 소규모 공공택지가 들어설 예정인 성남시(6만8000㎡·1000가구) 등도 크게 반대하지 않는 분위기다.
전문가들은 입지 선정이 잘못됐다고 우려했다. 정부가 안산 의정부 시흥 등 서울 주택 수요를 분산시키기 어려운 지역에 주로 택지를 공급하겠다고 나서고 있어서다.
곽창석 도시와공간 대표는 “서울시 반대로 정작 아파트가 부족한 서울에선 택지 조성을 할 수 있는지조차 불투명하다”며 “경기도 미분양 과다 지역에 택지를 조성하면 오히려 지역 부동산시장만 더 침체시킬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린벨트 매물에 매수세가 모이면서 부동산 과열을 더 조장하는 것 아니냐는 목소리도 나온다.
박원갑 국민은행 수석부동산전문위원은 “택지조성 과정에서 풀린 보상금이 대거 주변 지역으로 유입되면서 서울과 준서울지역 집값을 더욱 자극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설명했다.
안산·과천=양길성 기자 vertig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