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시 버팀목 된 건설업종… 대외 악재에도 주가 굳건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정부 주택공급 확대 정책에
해외 수주 기대감도 커져
하반기도 우호적인 환경 지속
해외 수주 기대감도 커져
하반기도 우호적인 환경 지속
국내 증시가 대외 악재에 요동치고 있지만 건설주는 꿋꿋이 버티고 있다. 정부의 부동산 정책 방향이 주택공급 확대 쪽으로 바뀌고 있어 하반기 전망도 밝다는 관측이 나온다.
반도체주 급락으로 코스피지수가 하락한 지난 7일 현대건설은 2800원(4.60%) 오른 6만3700원에 거래를 마쳤다. GS건설도 이날 3.89% 올랐다. 코스피 건설업종지수는 올 들어 19.8% 상승했다. 이 기간 7.5% 떨어진 코스피지수를 27.3%포인트 웃돈 성적이다. 전기전자(-8.8%) 금융(-14.2%) 화학(-9.0%) 운수장비(-5.2%) 유통(-5.5%) 서비스(-9.4%) 등 코스피를 대표하는 주요 업종이 대부분 하락한 것과 대비된다. 종이목재(51.4%)와 비금속광물(42.7%) 업종 상승세가 더 가파르지만, 시가총액이 각각 약 4조원과 10조원으로 26조원인 건설 업종에 크게 못 미친다.
건설업종은 국내 매출 비중이 큰 데다 해외 금융시장 또는 공급망과의 접점이 적어 무역분쟁과 같은 충격을 덜 받았다는 분석이다. 해외 사업을 많이 하는 대형 건설회사도 국내 매출 비중이 50%를 거뜬히 넘는다. 대출 및 재건축 기준 강화, 보유세 개편 등 각종 부동산 규제도 건설주 주가를 끌어내리지 못했다. 김세련 SK증권 연구원은 “최근 정부의 추가 부동산 대책 발표에도 건설주가 크게 움직이지 않고 규제에 내성을 보이고 있다”며 “공시지가 조정 등 추가 규제가 나와도 주가 하락 재료가 되지 못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전문가들은 건설업종 전망을 밝게 보고 있다. 정부가 집값 안정을 위해 주택공급을 늘리겠다고 공언했고, 오는 18~20일 예정된 3차 남북한 정상회담 결과에 따라 경제협력 기대가 다시 커질 수 있기 때문이다. 유가 상승에 따른 중동 석유화학 플랜트 발주 증가와 각국 인프라 투자 확대로 해외 수주 기대도 높아지고 있다. 채상욱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주택공급 확대, 남북 경협, 해외 수주 등 세 박자가 맞아떨어져 건설주의 견조한 흐름이 예상된다”며 “GS건설, HDC현대산업개발, 태영건설, 현대건설을 눈여겨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임근호 기자 eigen@hankyung.com
반도체주 급락으로 코스피지수가 하락한 지난 7일 현대건설은 2800원(4.60%) 오른 6만3700원에 거래를 마쳤다. GS건설도 이날 3.89% 올랐다. 코스피 건설업종지수는 올 들어 19.8% 상승했다. 이 기간 7.5% 떨어진 코스피지수를 27.3%포인트 웃돈 성적이다. 전기전자(-8.8%) 금융(-14.2%) 화학(-9.0%) 운수장비(-5.2%) 유통(-5.5%) 서비스(-9.4%) 등 코스피를 대표하는 주요 업종이 대부분 하락한 것과 대비된다. 종이목재(51.4%)와 비금속광물(42.7%) 업종 상승세가 더 가파르지만, 시가총액이 각각 약 4조원과 10조원으로 26조원인 건설 업종에 크게 못 미친다.
건설업종은 국내 매출 비중이 큰 데다 해외 금융시장 또는 공급망과의 접점이 적어 무역분쟁과 같은 충격을 덜 받았다는 분석이다. 해외 사업을 많이 하는 대형 건설회사도 국내 매출 비중이 50%를 거뜬히 넘는다. 대출 및 재건축 기준 강화, 보유세 개편 등 각종 부동산 규제도 건설주 주가를 끌어내리지 못했다. 김세련 SK증권 연구원은 “최근 정부의 추가 부동산 대책 발표에도 건설주가 크게 움직이지 않고 규제에 내성을 보이고 있다”며 “공시지가 조정 등 추가 규제가 나와도 주가 하락 재료가 되지 못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전문가들은 건설업종 전망을 밝게 보고 있다. 정부가 집값 안정을 위해 주택공급을 늘리겠다고 공언했고, 오는 18~20일 예정된 3차 남북한 정상회담 결과에 따라 경제협력 기대가 다시 커질 수 있기 때문이다. 유가 상승에 따른 중동 석유화학 플랜트 발주 증가와 각국 인프라 투자 확대로 해외 수주 기대도 높아지고 있다. 채상욱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주택공급 확대, 남북 경협, 해외 수주 등 세 박자가 맞아떨어져 건설주의 견조한 흐름이 예상된다”며 “GS건설, HDC현대산업개발, 태영건설, 현대건설을 눈여겨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임근호 기자 eig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