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냉키 "내 탓이오"… 금융위기 대응 2가지 실수 시인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위기 얼마나 강력한지 몰랐고 향후 초래할 손실도 과소평가"
"집값 거품 붕괴 아닌 금융계 패닉이 주요 원인" 벤 버냉키 전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연준) 의장이 10년 전 글로벌 금융위기에 대처할 때 2가지 중대한 실수가 있었다고 시인했다.
블룸버그통신,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버냉키 전 의장은 13일(현지시간) 금융위기 10주년을 맞아 사태를 재조명하는 논문을 발간하며 소개 동영상을 통해 "그 위기 자체가 얼마나 광범위할지와 파괴적일지 아무도 몰랐다"고 말했다.
버냉키 전 의장은 2006년부터 2014년까지 연준 의장을 지내면서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에 맞선 정책을 진두지휘했다.
그는 당시 연준의 두 가지 정책 실수로 금융위기가 그렇게 강력할 줄 몰랐다는 점, 추후 발생할 경제적 손실을 과소평가했다는 점을 들었다.
버냉키 전 의장은 당시 불황이 깊어진 주요 원인으로 2008년 투자은행 리먼 브러더스의 파산 때 금융체계를 사로잡은 극심한 공포를 꼽았다.
그는 "경기하강이 얼마나 심각한지 예측하지 못했다"며 "신용시장 요인들과 경제 예측들을 더 폭넓게 수용할 필요가 있다"고 반성했다.
버냉키 의장은 글로벌 금융위기 10년을 맞이한 이번 주에 두 번째로 '메아 쿨파'(Mea Culpa·내 탓이오)를 선언한 당시 연준 책임자다.
도널드 콘 당시 연준 부의장도 연준이 위기 발생 당시와 그 이후의 시기에 예측 실수를 저질렀다고 시인했다.
그는 연준이 논란이 많던 양적 완화 프로그램의 잠재적 비용을 과대평가한 까닭에 집행에 필요 이상으로 소심했다고 털어놓았다.
콘 전 부의장은 지난 12일 미국 브루킹스연구소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우리가 흐름을 놓쳐 늑장 대처를 하고 말았다"고 자책했다.
이날 발간된 논문에서 버냉키 전 의장은 집값 거품 붕괴 및 그로인해 가계의 재산과 소비가 받은 타격이 금융위기의 주요 동인이었다고 주장하는 경제학자들에게 문제를 제기했다.
그는 부동산가격 폭락 사태가 의심할 여지 없이 금융위기에 한몫을 했으나 투자자들이 은행과 다른 금융기관에서 돈을 급속도로 회수하지 않았다면 사태가 그렇게 심하지는 않았을 것이라고 반박했다.
버냉키 전 의장은 "1930년대 공황과 비교할 수 있는 뱅크런(대량 예금인출 사태)이 있었다"며 "하지만 그때는 (1930년대처럼) 사람들이 길에 줄을 서는 게 아니라 전자 형태로 이뤄졌다"고 말했다.
그는 그로 인해 예금과 대출을 이용할 수 있는 여지가 급속도로 감소했다고 강조했다.
버냉키 전 의장은 금융위기 후 개혁 과정에서 연준과 다른 정책입안자들이 다음 위기가 찾아왔을 때 대처할 수단이 줄었다고 주장했다.
미국 의회는 정부가 파산 위기에 몰린 금융기업들을 구제하는 것을 막기 위해 연준, 연방예금보호공사, 재무부가 금융체계에 긴급지원에 나서는 것을 제한했다.
버냉키 전 의장은 이런 개혁으로 충격에 대한 금융체계의 저항력이 강해졌지만, 정책입안자들의 역량이 축소됐다는 점에서 다소 덜 낙관적이라고 설명했다.
현재 버냉키 전 의장은 투자회사 두 곳의 고문을 맡고 있으며 미국 내 영향력이 큰 사회과학 싱크탱크인 브루킹스연구소의 연구자로도 활동하고 있다.
/연합뉴스
"집값 거품 붕괴 아닌 금융계 패닉이 주요 원인" 벤 버냉키 전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연준) 의장이 10년 전 글로벌 금융위기에 대처할 때 2가지 중대한 실수가 있었다고 시인했다.
블룸버그통신,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버냉키 전 의장은 13일(현지시간) 금융위기 10주년을 맞아 사태를 재조명하는 논문을 발간하며 소개 동영상을 통해 "그 위기 자체가 얼마나 광범위할지와 파괴적일지 아무도 몰랐다"고 말했다.
버냉키 전 의장은 2006년부터 2014년까지 연준 의장을 지내면서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에 맞선 정책을 진두지휘했다.
그는 당시 연준의 두 가지 정책 실수로 금융위기가 그렇게 강력할 줄 몰랐다는 점, 추후 발생할 경제적 손실을 과소평가했다는 점을 들었다.
버냉키 전 의장은 당시 불황이 깊어진 주요 원인으로 2008년 투자은행 리먼 브러더스의 파산 때 금융체계를 사로잡은 극심한 공포를 꼽았다.
그는 "경기하강이 얼마나 심각한지 예측하지 못했다"며 "신용시장 요인들과 경제 예측들을 더 폭넓게 수용할 필요가 있다"고 반성했다.
버냉키 의장은 글로벌 금융위기 10년을 맞이한 이번 주에 두 번째로 '메아 쿨파'(Mea Culpa·내 탓이오)를 선언한 당시 연준 책임자다.
도널드 콘 당시 연준 부의장도 연준이 위기 발생 당시와 그 이후의 시기에 예측 실수를 저질렀다고 시인했다.
그는 연준이 논란이 많던 양적 완화 프로그램의 잠재적 비용을 과대평가한 까닭에 집행에 필요 이상으로 소심했다고 털어놓았다.
콘 전 부의장은 지난 12일 미국 브루킹스연구소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우리가 흐름을 놓쳐 늑장 대처를 하고 말았다"고 자책했다.
이날 발간된 논문에서 버냉키 전 의장은 집값 거품 붕괴 및 그로인해 가계의 재산과 소비가 받은 타격이 금융위기의 주요 동인이었다고 주장하는 경제학자들에게 문제를 제기했다.
그는 부동산가격 폭락 사태가 의심할 여지 없이 금융위기에 한몫을 했으나 투자자들이 은행과 다른 금융기관에서 돈을 급속도로 회수하지 않았다면 사태가 그렇게 심하지는 않았을 것이라고 반박했다.
버냉키 전 의장은 "1930년대 공황과 비교할 수 있는 뱅크런(대량 예금인출 사태)이 있었다"며 "하지만 그때는 (1930년대처럼) 사람들이 길에 줄을 서는 게 아니라 전자 형태로 이뤄졌다"고 말했다.
그는 그로 인해 예금과 대출을 이용할 수 있는 여지가 급속도로 감소했다고 강조했다.
버냉키 전 의장은 금융위기 후 개혁 과정에서 연준과 다른 정책입안자들이 다음 위기가 찾아왔을 때 대처할 수단이 줄었다고 주장했다.
미국 의회는 정부가 파산 위기에 몰린 금융기업들을 구제하는 것을 막기 위해 연준, 연방예금보호공사, 재무부가 금융체계에 긴급지원에 나서는 것을 제한했다.
버냉키 전 의장은 이런 개혁으로 충격에 대한 금융체계의 저항력이 강해졌지만, 정책입안자들의 역량이 축소됐다는 점에서 다소 덜 낙관적이라고 설명했다.
현재 버냉키 전 의장은 투자회사 두 곳의 고문을 맡고 있으며 미국 내 영향력이 큰 사회과학 싱크탱크인 브루킹스연구소의 연구자로도 활동하고 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