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문일답] 윤영찬 "정상회담 의제, 순서 정하지 않고 포괄적으로 논의"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윤영찬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은 18일 "3차 남북정상회담에서 의제를 풀어가는 방식은 허심탄회한 대화 방식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윤 수석은 이날 서울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에 마련된 프레스센터 브리핑에서 이같이 말하며 "의제의 순서를 정해 대화하기보다는 비핵화, 긴장 완화, 남북관계 개선 등의 의제를 포괄적으로 논의하는 방식이 될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다음은 윤 수석과 내외신 기자 간 문답 전문이다.
-- 남북관계 발전, 비핵화 북미대화 촉진, 군사 긴장 완화 등 세 가지 의제는 회담 때마다 하나씩 다뤄지나.
친교 일정은 확정됐나.
▲ 회담에서 의제는 허심탄회하게 대화가 될 것이다.
1번, 2번, 3번 순서를 정해서 대화하기보다는 비핵화, 긴장 완화, 남북관계 개선 등 의제를 포괄적으로 논의하는 방식이 되지 않을까 예측한다.
-- 한국전력, 코레일 사장 등이 수행원으로 가는데 만나는 사람이 김영남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인가.
아니면 리룡남 내각 부총리인가.
▲ 현재 확인이 안 된다.
-- 오늘 만찬 참석자가 확정됐나.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참석을 예상하나.
대북 제재가 유지되는 상황에서 어떤 이야기가 오갈 것으로 보이나.
▲ 만찬에 누가 참여할지 통보가 없었다.
모든 가능성을 열어놓고 보고 있다.
이번 회담 슬로건이 '평화, 새로운 미래'다.
주제로 인해서 경협에 한계는 분명히 있을 수 있지만 멀리 보고 미래에 대한 가능성 열어두고 본다면 경제인의 역할이 앞으로 기대될 수밖에 없다.
이번 만남에서는 현실적으로 당장 가능한 영역보다는 미래 가능성에 대한 타진이 있지 않을까 예측한다.
-- 문 대통령이 김 위원장에게 경제협력 방안을 제안할 것으로 보이나.
이번 회담이 제재 완화의 타이밍이라고 보는가.
▲ 1차 남북정상회담인 판문점 회담에서 한반도 신경제 구상을 전달한 바 있다.
이번 경제협력에 대한 논의도 신경제 구상의 큰 틀에서 이야기되겠지만 당장 할 수 있는 부분과 제재로 인해 당장 할 수 없는 게 있다.
이에 대해서는 구체적·실제적 협력 방안보다 지금 주어진 조건 속에서 논의할 수 있는 부분에 대한 논의가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이번 회담이) 제재 완화 타이밍인지는 구체적으로 말하기 어렵다.
다만 여러 상황이 한꺼번에 진행되고 있고 북미 대화가 이뤄질 수 있는 여건이 마련되기를 바라고 있다.
저희는 국제적 제재 질서 속에 공조하는 상황이다.
새로운 조건이 만들어지면 변화들이 가능할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든다.
-- 군사협력 분야의 공동합의문이 나올 가능성이 있나.
합의문 초안 조율은 어느 수준까지 이뤄졌나.
서훈 국정원장이나 조명균 통일·강경화 외교부 장관 등이 대통령 일정과 별도로 북한과 각급 회담을 할 수 있나.
▲ 군사적인 긴장 완화와 관련한 합의는 여러 차례 실무회담을 통해 상당한 논의를 이룬 것으로 보인다.
그 매듭을 짓는 과정에서 논의들이 더 필요한 게 아닌가 생각한다.
두번째 질문은 확인해봐야 할 사안이다.
회담이라기보다 여러 채널에서 대화는 오고 가지 않을까 보인다.
-- 김규연 학생의 방북 불발과 관련해 공유해줄 만한 내용이 있나.
이번 회담에서 새로운 선언이나 합의문이 나오지 않는 것인가.
▲ 김규연 학생과 관련한 내용은 정확하게 이유는 모르지만, 북측에서 (김 양의) 큰할아버지와의 만남이 어렵게 됐다고 통보했다.
어제 가족에게도 설명해 드렸다.
대통령이 말하는 새로운 선언이나 합의의 경우 과거에 6·15, 10·4 합의가 있었고 판문점선언도 있어서 그 안에 남북이 가야 할 방향이 모두 담겨 있다.
아쉬운 부분은 합의, 선언이 제대로 지켜지고 실행됐는지다.
문 대통령은 합의도 중요하지만 합의를 하나씩 하나씩 꾸준히 이행해가는 과정, 그로 인해 평화의 일상화, 제도화를 구체화하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번 회담에서 선언이 있느냐, 합의가 있느냐는 부분은 좀 더 지켜봐야 한다.
구체적으로 이번에 선언이 있다, 없다가 아니라 이번 회담에 임하는 대통령의 마음 자세로 이해해 달라.
/연합뉴스
윤 수석은 이날 서울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에 마련된 프레스센터 브리핑에서 이같이 말하며 "의제의 순서를 정해 대화하기보다는 비핵화, 긴장 완화, 남북관계 개선 등의 의제를 포괄적으로 논의하는 방식이 될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다음은 윤 수석과 내외신 기자 간 문답 전문이다.
-- 남북관계 발전, 비핵화 북미대화 촉진, 군사 긴장 완화 등 세 가지 의제는 회담 때마다 하나씩 다뤄지나.
친교 일정은 확정됐나.
▲ 회담에서 의제는 허심탄회하게 대화가 될 것이다.
1번, 2번, 3번 순서를 정해서 대화하기보다는 비핵화, 긴장 완화, 남북관계 개선 등 의제를 포괄적으로 논의하는 방식이 되지 않을까 예측한다.
-- 한국전력, 코레일 사장 등이 수행원으로 가는데 만나는 사람이 김영남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인가.
아니면 리룡남 내각 부총리인가.
▲ 현재 확인이 안 된다.
-- 오늘 만찬 참석자가 확정됐나.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참석을 예상하나.
대북 제재가 유지되는 상황에서 어떤 이야기가 오갈 것으로 보이나.
▲ 만찬에 누가 참여할지 통보가 없었다.
모든 가능성을 열어놓고 보고 있다.
이번 회담 슬로건이 '평화, 새로운 미래'다.
주제로 인해서 경협에 한계는 분명히 있을 수 있지만 멀리 보고 미래에 대한 가능성 열어두고 본다면 경제인의 역할이 앞으로 기대될 수밖에 없다.
이번 만남에서는 현실적으로 당장 가능한 영역보다는 미래 가능성에 대한 타진이 있지 않을까 예측한다.
-- 문 대통령이 김 위원장에게 경제협력 방안을 제안할 것으로 보이나.
이번 회담이 제재 완화의 타이밍이라고 보는가.
▲ 1차 남북정상회담인 판문점 회담에서 한반도 신경제 구상을 전달한 바 있다.
이번 경제협력에 대한 논의도 신경제 구상의 큰 틀에서 이야기되겠지만 당장 할 수 있는 부분과 제재로 인해 당장 할 수 없는 게 있다.
이에 대해서는 구체적·실제적 협력 방안보다 지금 주어진 조건 속에서 논의할 수 있는 부분에 대한 논의가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이번 회담이) 제재 완화 타이밍인지는 구체적으로 말하기 어렵다.
다만 여러 상황이 한꺼번에 진행되고 있고 북미 대화가 이뤄질 수 있는 여건이 마련되기를 바라고 있다.
저희는 국제적 제재 질서 속에 공조하는 상황이다.
새로운 조건이 만들어지면 변화들이 가능할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든다.
-- 군사협력 분야의 공동합의문이 나올 가능성이 있나.
합의문 초안 조율은 어느 수준까지 이뤄졌나.
서훈 국정원장이나 조명균 통일·강경화 외교부 장관 등이 대통령 일정과 별도로 북한과 각급 회담을 할 수 있나.
▲ 군사적인 긴장 완화와 관련한 합의는 여러 차례 실무회담을 통해 상당한 논의를 이룬 것으로 보인다.
그 매듭을 짓는 과정에서 논의들이 더 필요한 게 아닌가 생각한다.
두번째 질문은 확인해봐야 할 사안이다.
회담이라기보다 여러 채널에서 대화는 오고 가지 않을까 보인다.
-- 김규연 학생의 방북 불발과 관련해 공유해줄 만한 내용이 있나.
이번 회담에서 새로운 선언이나 합의문이 나오지 않는 것인가.
▲ 김규연 학생과 관련한 내용은 정확하게 이유는 모르지만, 북측에서 (김 양의) 큰할아버지와의 만남이 어렵게 됐다고 통보했다.
어제 가족에게도 설명해 드렸다.
대통령이 말하는 새로운 선언이나 합의의 경우 과거에 6·15, 10·4 합의가 있었고 판문점선언도 있어서 그 안에 남북이 가야 할 방향이 모두 담겨 있다.
아쉬운 부분은 합의, 선언이 제대로 지켜지고 실행됐는지다.
문 대통령은 합의도 중요하지만 합의를 하나씩 하나씩 꾸준히 이행해가는 과정, 그로 인해 평화의 일상화, 제도화를 구체화하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번 회담에서 선언이 있느냐, 합의가 있느냐는 부분은 좀 더 지켜봐야 한다.
구체적으로 이번에 선언이 있다, 없다가 아니라 이번 회담에 임하는 대통령의 마음 자세로 이해해 달라.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