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양정상회담 와중 유엔총회 막 오른다… '북핵 외교전' 주목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내일 개막해 다음주는 일반토의…한미정상회담이 중요 관전포인트
文대통령·트럼프 연설 내용 촉각…北리용호 29일 연설 세계 196개국 대표가 모이는 제73차 유엔총회가 오는 18일(현지시간) 오후 뉴욕 유엔본부에서 개막한다.
유엔총회는 대표적인 다자외교 무대로 '외교의 슈퍼볼'로도 불린다.
특히 3차 남북정상회담 일정과도 사실상 맞물려 진행되는 것이어서 주목된다.
올해는 '모두에게 의미 있는 유엔 만들기: 평화롭고 평등하며 지속가능한 사회를 위한 글로벌 리더십과 책임 공유'를 주제로, 지속가능한 개발과 국제평화·안보, 인권 등 9개 분야 175개 의제에 걸쳐 토의가 이뤄진다.
하이라이트는 정상급 인사들이 대거 참여하는 '일반토의'(General Debate)다
오는 25일부터 일주일간 열리는 일반토의에는 국가원수 97명, 부통령 4명, 정부 수반 41명, 부총리 3명, 장관 46명 등 196개 회원국 수석대표들이 참석할 예정이다.
문재인 대통령도 유엔총회 참석차 다음 주 뉴욕을 방문한다.
관례에 따라 브라질 대표가 25일 첫 번째 연사로 나서고, 유엔 소재국인 미국의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두 번째로 연설한다.
제10차 유엔총회 시 어느 나라도 첫 번째 발언을 원하지 않은 상황에서 브라질이 지원한 것을 계기로 이후 브라질이 첫 번째로 발언하는 게 관행으로 굳어졌다.
국가원수(대통령 또는 국왕), 정부 수반(총리), 부통령·부총리·왕세자, 외교부 장관 등의 순으로 연설 순서가 배정된다.
북한 리용호 외무상은 29일로 예정돼 있다.
6·12 북미정상회담 이후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유엔총회 참석 가능성이 거론됐지만, 현재로써는 시간적 물리적으로 어렵다는 분위기다.
무엇보다 '북핵 외교전'이 주목된다.
지난해엔 북미가 거센 설전을 주고받으면서 군사적 긴장이 높아졌지만, 올해는 밀고 당기는 북핵 협상과 맞물려 치열한 '외교 수싸움'이 전개될 것으로 보인다.
유엔 안보리의 대북제재와 관련해서도 신경전이 벌어질 수도 있다.
미국을 비롯한 서방진영은 강력한 제재에 무게를 두고 있지만, 러시아와 중국은 제재보다는 외교에 방점을 찍는 분위기다.
당장 유엔총회 개막 전날인 17일 긴급소집된 안보리에서도 미국과 러시아는 대북제재 문제를 놓고 노골적인 대립각을 세웠다.
한미정상회담도 중요한 관전 포인트가 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문 대통령은 이번 3차 남북정상회담 결과를 토대로 유엔총회 기조연설, 한미정상회담 등을 통해 북미 협상을 촉진하는 외교전을 펼칠 것으로 예상된다.
그 밖에 이란 핵 합의(JCPOA·포괄적 공동행동계획) 논란, 시리아 내전 등도 쟁점으로 꼽힌다.
/연합뉴스
文대통령·트럼프 연설 내용 촉각…北리용호 29일 연설 세계 196개국 대표가 모이는 제73차 유엔총회가 오는 18일(현지시간) 오후 뉴욕 유엔본부에서 개막한다.
유엔총회는 대표적인 다자외교 무대로 '외교의 슈퍼볼'로도 불린다.
특히 3차 남북정상회담 일정과도 사실상 맞물려 진행되는 것이어서 주목된다.
올해는 '모두에게 의미 있는 유엔 만들기: 평화롭고 평등하며 지속가능한 사회를 위한 글로벌 리더십과 책임 공유'를 주제로, 지속가능한 개발과 국제평화·안보, 인권 등 9개 분야 175개 의제에 걸쳐 토의가 이뤄진다.
하이라이트는 정상급 인사들이 대거 참여하는 '일반토의'(General Debate)다
오는 25일부터 일주일간 열리는 일반토의에는 국가원수 97명, 부통령 4명, 정부 수반 41명, 부총리 3명, 장관 46명 등 196개 회원국 수석대표들이 참석할 예정이다.
문재인 대통령도 유엔총회 참석차 다음 주 뉴욕을 방문한다.
관례에 따라 브라질 대표가 25일 첫 번째 연사로 나서고, 유엔 소재국인 미국의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두 번째로 연설한다.
제10차 유엔총회 시 어느 나라도 첫 번째 발언을 원하지 않은 상황에서 브라질이 지원한 것을 계기로 이후 브라질이 첫 번째로 발언하는 게 관행으로 굳어졌다.
국가원수(대통령 또는 국왕), 정부 수반(총리), 부통령·부총리·왕세자, 외교부 장관 등의 순으로 연설 순서가 배정된다.
북한 리용호 외무상은 29일로 예정돼 있다.
6·12 북미정상회담 이후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유엔총회 참석 가능성이 거론됐지만, 현재로써는 시간적 물리적으로 어렵다는 분위기다.
무엇보다 '북핵 외교전'이 주목된다.
지난해엔 북미가 거센 설전을 주고받으면서 군사적 긴장이 높아졌지만, 올해는 밀고 당기는 북핵 협상과 맞물려 치열한 '외교 수싸움'이 전개될 것으로 보인다.
유엔 안보리의 대북제재와 관련해서도 신경전이 벌어질 수도 있다.
미국을 비롯한 서방진영은 강력한 제재에 무게를 두고 있지만, 러시아와 중국은 제재보다는 외교에 방점을 찍는 분위기다.
당장 유엔총회 개막 전날인 17일 긴급소집된 안보리에서도 미국과 러시아는 대북제재 문제를 놓고 노골적인 대립각을 세웠다.
한미정상회담도 중요한 관전 포인트가 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문 대통령은 이번 3차 남북정상회담 결과를 토대로 유엔총회 기조연설, 한미정상회담 등을 통해 북미 협상을 촉진하는 외교전을 펼칠 것으로 예상된다.
그 밖에 이란 핵 합의(JCPOA·포괄적 공동행동계획) 논란, 시리아 내전 등도 쟁점으로 꼽힌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