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은 2007년 5월 경의선.동해선 남북철도 연결구간 열차 시험운행 모습. 사진=연합뉴스
사진은 2007년 5월 경의선.동해선 남북철도 연결구간 열차 시험운행 모습. 사진=연합뉴스
남한과 북한의 철도가 연결되면 한국이 세계 물류 중심지로 발돋움할 수 있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다만 대북 제재로 경제 협력이 제한적이기 때문에 제재가 해제되는 단계에 맞춰 사업 전략을 준비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한국무역협회는 2018 평양남북정상회담이 열린 18일 서울 포시즌호텔에서 미국 국제전략문제연구소(CSIS)와 함께 ‘리커넥팅 아시아(Reconnecting Asia) 컨퍼런스’를 개최했다. 한미 양국의 정치, 외교 전문가와 기업, 학계 인사 등 200여명이 참가해 남북 육로 연결 사업의 의의와 전망을 집중 논의했다.
2018 남북정상회담 평양'을 하루 앞둔 17일 강원도 철원군 백마고지역에서 경원선 철도중단점 푯말이 가을 하늘 아래 서있다. 사진=연합뉴스
2018 남북정상회담 평양'을 하루 앞둔 17일 강원도 철원군 백마고지역에서 경원선 철도중단점 푯말이 가을 하늘 아래 서있다. 사진=연합뉴스
이은선 CJ대한통운 포워딩본부장은 “철도 물류가 항공, 해상 물류만큼 개발되면 사통팔달의 네트워크가 구축돼 물류 산업이 크게 발달할 것”이라며 “지금은 미국 업체 제품을 국내 들여오면 일부 국가로 항공 운송해야 하지만 철도가 연결되면 한국과 유럽 사이 철로 인접 국가 64개국에 모두 배송할 수 있게 된다”고 말했다. 그는 “물류 산업에 강점이 있는 한국이 전 세계를 잇는 물류 중심지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기존 물류 사업의 효율성도 대폭 개선될 것으로 보인다. 시베리아 횡단철도(TSR)를 활용한 북방물류 사업을 하고 있는 현대글로비스의 구형준 전무는 “지금은 부산항에서 블라디보스톡으로 제품을 해상 운송하고 TSR로 환적하는 구조인데 나진-하산 쪽으로 철로가 뚫리면 바로 TSR 연결이 가능해진다”고 말했다. 비용과 편의가 크게 개선될 것이라는 얘기다.

남북 육로 연결은 유라시아 전체 경제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란 전망도 나왔다. 존 햄리 CSIS 회장은 “동아시아-유럽 연계 철도노선으로 물동량이 10년 안에 2배 이상 증가할 것”이라며 “유럽석탄철강공동체(ECSC)가 적대관계에 있던 국가들을 협력 파트너로 전환시킨 것처럼 물류 연계는 아시아 지역에 긍정적이고도 지대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전문가들은 대북 경제 제재가 해제돼야 철로 연결을 비롯한 남북경협이 제대로 이뤄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리사 콜린스 CSIS 연구원은 "경제 제재가 이어지고 미국의 경제적 지원이 이뤄지지 않는다는 점에서 현 상황은 어렵다"며 " 비핵화가 이뤄지지 않는 한 제재는 해제되지 않고 경제적 참여는 제한적으로 이뤄질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짚었다.

이에 대해 나희승 철도기술연구원장은 "완전한 비핵화와 제재 해제가 한꺼번에 이뤄지기는 어려울 것"이라며 "비핵화 및 제재 해제 단계에 맞춰서 할 수 있는 경제 협력을 해나가고 지속적인 선순환 고리를 만들어나가는 게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평양공동취재단=서민준 기자 morando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