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양정상회담] 이동걸 산은 회장, '북한 개발금융' 청사진 그릴까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특별수행원 중 유일한 금융권 인사…"北 포텐셜 많이 있을 것"
18일 평양에서 열린 남북 정상회담의 특별수행원에 이동걸 산업은행 회장이 포함되면서 그 배경이 주목받고 있다.
국책금융기관 대표인 이 회장은 금융권 인사로서 유일하게 이날 문재인 대통령을 따라 방북했다.
이 회장의 이번 방북과 관련해 가장 큰 관심사는 남북 경제협력의 금융 분야 청사진이 그려지느냐다.
그는 현 정부와 국정운영 철학을 공유하는 인사로 꼽히는 데다, 평소 남북 경협의 필요성을 여러 차례 언급했다.
이 회장은 지난 5월 "올가을 열리는 남북 정상회담 때 평양에 가보고 싶다"고 한 데 이어, 지난 11일 취임 1주년 기자간담회에서도 특별수행원에 포함되고 싶다는 바람을 감추지 않았다.
그는 이달 초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와 중국 선양(瀋陽)·단둥(丹東) 지역을 다녀왔다고 소개하면서 "(단둥에서) 신의주를 보니 감회가 새롭더라. (북한에) 발전의 여지, 포텐셜은 많이 있을 것"이라고 기대감을 드러냈다.
이 회장은 남북 경협을 두고 "크고 넓고 위험해 한두 개 금융기관이 할 수 없고, 그러는 게 바람직하지도 않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산업은행을 비롯해 수출입은행, 기업은행, 일반 기업, 외국 기관과 국제 금융그룹까지 남북 경협에 힘을 합쳐야 효과를 내고 리스크를 분산할 수 있다"는 견해도 밝혔다.
남북 경협을 위한 금융 지원을 특정 기관이 독점적으로 할 수 없고, 해서도 안 된다는 취지지만, 뒤집으면 이를 위해 국내외 여러 기관이 참여하는 공동기금 등의 형태가 바람직하다는 뜻으로 읽힌다.
산업은행이 과거 우리나라의 개발금융을 위해 설립됐던 기관이고, 현재도 기업금융을 중심으로 이 같은 기능을 수행한다는 점에서 이 회장이 '북한판 개발금융' 구상을 제안할 수 있다는 관측이 일각에서 나온다.
다만 이번 방북에서 이 회장이 당장 '입'을 열기보다는 '눈과 귀'를 주로 쓰지 않겠느냐는 게 대체적인 전망이다.
내부적으로 검토하는 금융 분야의 경협 방안이 있더라도 이를 구체적으로 거론하기보다는 북한의 현실을 보고 입장을 듣는 데 주력할 것이라는 얘기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이 회장의 방북은 구상 중인 안이 실행 가능한지 현장에서 한번 느껴보는 차원이 아닐까 싶다"며 "북한에 필요한 게 뭔지, 원하는 게 뭔지 감을 잡는 게 먼저"라고 말했다.
산업은행 관계자도 "무슨 기구 설립이나 대규모 기금 조성을 논하기에는 이르다.
일단 보고 듣는 데 주력하지 않겠느냐"며 "대북 제재가 풀리지 않은 상황에서 경협, 특히 금융 분야는 앞서가기 어렵다"고 했다.
이 회장의 이번 방북으로 금융 분야에서 남북 경협은 산업은행이 사실상 주도하는 모양새가 됐다.
금융당국 안팎에선 대북 제재 해제로 경협이 본격화할 경우 개성공단 재가동과 2단계 개성공단 조성에서 시작해 북한의 인프라 건설 등으로 금융 지원이 확대되지 않겠느냐는 전망이 나온다.
한 금융권 관계자는 "이번 방북 수행단은 '인프라팀' 성격이고, 산업은행은 이 팀에서 자금 조달을 담당하는 역할로 보인다"고 평가했다.
국토교통부 장관, 해양수산부 장관, 산림청장과 공단(개성공단기업협회), 철도(코레일), 에너지(한국전력) 분야 위주로 짜였다는 점에서다. /연합뉴스
18일 평양에서 열린 남북 정상회담의 특별수행원에 이동걸 산업은행 회장이 포함되면서 그 배경이 주목받고 있다.
국책금융기관 대표인 이 회장은 금융권 인사로서 유일하게 이날 문재인 대통령을 따라 방북했다.
이 회장의 이번 방북과 관련해 가장 큰 관심사는 남북 경제협력의 금융 분야 청사진이 그려지느냐다.
그는 현 정부와 국정운영 철학을 공유하는 인사로 꼽히는 데다, 평소 남북 경협의 필요성을 여러 차례 언급했다.
이 회장은 지난 5월 "올가을 열리는 남북 정상회담 때 평양에 가보고 싶다"고 한 데 이어, 지난 11일 취임 1주년 기자간담회에서도 특별수행원에 포함되고 싶다는 바람을 감추지 않았다.
그는 이달 초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와 중국 선양(瀋陽)·단둥(丹東) 지역을 다녀왔다고 소개하면서 "(단둥에서) 신의주를 보니 감회가 새롭더라. (북한에) 발전의 여지, 포텐셜은 많이 있을 것"이라고 기대감을 드러냈다.
이 회장은 남북 경협을 두고 "크고 넓고 위험해 한두 개 금융기관이 할 수 없고, 그러는 게 바람직하지도 않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산업은행을 비롯해 수출입은행, 기업은행, 일반 기업, 외국 기관과 국제 금융그룹까지 남북 경협에 힘을 합쳐야 효과를 내고 리스크를 분산할 수 있다"는 견해도 밝혔다.
남북 경협을 위한 금융 지원을 특정 기관이 독점적으로 할 수 없고, 해서도 안 된다는 취지지만, 뒤집으면 이를 위해 국내외 여러 기관이 참여하는 공동기금 등의 형태가 바람직하다는 뜻으로 읽힌다.
산업은행이 과거 우리나라의 개발금융을 위해 설립됐던 기관이고, 현재도 기업금융을 중심으로 이 같은 기능을 수행한다는 점에서 이 회장이 '북한판 개발금융' 구상을 제안할 수 있다는 관측이 일각에서 나온다.
다만 이번 방북에서 이 회장이 당장 '입'을 열기보다는 '눈과 귀'를 주로 쓰지 않겠느냐는 게 대체적인 전망이다.
내부적으로 검토하는 금융 분야의 경협 방안이 있더라도 이를 구체적으로 거론하기보다는 북한의 현실을 보고 입장을 듣는 데 주력할 것이라는 얘기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이 회장의 방북은 구상 중인 안이 실행 가능한지 현장에서 한번 느껴보는 차원이 아닐까 싶다"며 "북한에 필요한 게 뭔지, 원하는 게 뭔지 감을 잡는 게 먼저"라고 말했다.
산업은행 관계자도 "무슨 기구 설립이나 대규모 기금 조성을 논하기에는 이르다.
일단 보고 듣는 데 주력하지 않겠느냐"며 "대북 제재가 풀리지 않은 상황에서 경협, 특히 금융 분야는 앞서가기 어렵다"고 했다.
이 회장의 이번 방북으로 금융 분야에서 남북 경협은 산업은행이 사실상 주도하는 모양새가 됐다.
금융당국 안팎에선 대북 제재 해제로 경협이 본격화할 경우 개성공단 재가동과 2단계 개성공단 조성에서 시작해 북한의 인프라 건설 등으로 금융 지원이 확대되지 않겠느냐는 전망이 나온다.
한 금융권 관계자는 "이번 방북 수행단은 '인프라팀' 성격이고, 산업은행은 이 팀에서 자금 조달을 담당하는 역할로 보인다"고 평가했다.
국토교통부 장관, 해양수산부 장관, 산림청장과 공단(개성공단기업협회), 철도(코레일), 에너지(한국전력) 분야 위주로 짜였다는 점에서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