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31일 열린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 회의에서 ‘금리 인상’ 필요성을 언급하는 목소리가 한층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4분기 금리 인상 가능성에도 상당한 힘이 실리게 됐다. 한은이 18일 공개한 당시 금통위 의사록을 보면 이일형 위원이 전달에 이어 금리를 인상해야 한다는 소수의견을 냈다. 이주열 총재를 제외한 참석 위원 6명 중 이 위원 외에 4명의 위원도 직, 간접적으로 금리 인상 필요성이 커졌음을 언급했다.

이 위원은 가계부채 증가에 따른 우려가 커진데다 향후 경기침체기에 금리 인하를 통한 경기 부양 여력을 확보하려면 미리 금리를 인상해야 한다는 의견을 밝혔다. 그는 “금융불균형이 심화된다면 우리 경제가 앞으로 직면하게 될 경기적 하방압력에 대응하기 어려워지게 된다”며 “경기가 하강기에 진입하게 될 경우에는 더 많은 정책여력이 더 오랜 시간 요구된다”고 했다.

또 A 위원은 “기준금리 인상을 통해 통화정책의 완화정도를 현재보다 다소 축소 조정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그는 “물가가 전기료 인하 등 정책적 원인 때문에 목표 수준과 차이를 보인다면 물가안정목표제 하의 통화정책에 있어 신축적 운용의 정도를 보다 확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며 물가 목표에 지나치게 얽매일 필요가 없다는 뜻을 피력했다.

B의원도 금융안정 차원에서 금리 인상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는 뜻을 나타냈다. “통화정책 결정에 있어 금융안정에 더 유의해야 한다”며 “가계부채와 같은 금융불균형 누적 문제에 대해 보다 많은 고려가 있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D의원은 물가상승 압력이 점점 커지고 있다는 점을 언급하며 “물가 압력의 기저 흐름에 대한 지속적 관찰과 추정은 중기적 물가 추세에 부합하는 기준금리 수준을 판단함에 있어 중요한 고려사항”이라고 말했다. C 의원은 ”물가가 상승 추세에 있는지에 대한 확인이 필요하다”면서도 “향후 금리조정이 상승 방향이어야 한다는 통화정책의 방향성에 대한 판단도 아직은 유효하다”고 했다.

금통위의 매파 기류가 빨라짐에 따라 다음 달이나 11월 금통위에서 기준 금리를 올릴 가능성이 한층 커졌다는 분석이 나온다. 앞서 7월 의사록에서는 이 총재를 제외한 나머지 6명 위원이 금리 인상 1명, 인상 필요 시사 2명, 중립 1명, 신중론 2명으로 갈렸다.

박석길 JP모건 본부장은 “금통위원들 간에 금리 인상에 대해 어느 정도 공감대가 형성된 것 같다”며 “올해 4분기 중 한차례 금리를 올릴 후 내년 하반기께 다시 한번 금리 인상을 시도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고경봉 기자 kgb@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