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양공동선언] 김정은, 경호우려에도 답방… 北지도자 처음 서울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성사시 남북 정상회담 정례화 '성큼'…남북 관계 업그레이드 기대
2000년 답방 합의에도 실현안돼…南 일부부정 여론에도 방남 결단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19일 김 위원장의 서울방문에 합의함에 따라 북한 최고지도자가 조만간 분단 이후 처음으로 남한 땅에 발을 디딜 것으로 보인다.
김 위원장의 답방이 성사되면 남북 정상이 서울과 평양을 오가는 방식의 정상회담 정례화가 가시화하는 등 남북관계가 한층 업그레이드될 것이라는 기대가 나온다.
양 정상이 이날 서명한 '9월 평양공동선언'에는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문재인 대통령의 초청에 따라 가까운 시일 내로 서울을 방문하기로 하였다'고 돼 있다.
문 대통령은 합의서 서명 뒤 회견에서 '가까운 시일'과 관련해 "특별한 사정이 없으면 올해 안을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그동안 남북정상회담은 우리 대통령이 평양으로 건너가거나 중립지역인 판문점에서 열렸다는 점에서 김 위원장의 방남이 성사된다면 남북관계 역사에 일대 사건으로 기록될 전망이다.
문 대통령도 "남북관계의 획기적인 전기가 마련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김정은 위원장은 지난 4월 27일 열린 정상회담 당시 군사분계선(MDL)을 넘어 판문점 남측 지역에 들어왔지만, 판문점은 유엔군사령부가 관할하는 곳이라는 점에서 실질적인 남한 방문으로 보기는 어렵다. 북한 최고지도자의 방남은 2000년 김대중 전 대통령과 김정일 국방위원장 간 정상회담에서도 합의했던 사항이다.
당시 합의문인 '6·15 공동선언'에는 '김정일 국방위원장은 앞으로 적절한 시기에 서울을 방문하기로 했다'고 돼 있다.
그러나 답방은 한 번도 진지하게 추진되지 못했고 김정일 위원장은 2011년 사망했다.
2007년 정상회담 합의문인 10·4선언에는 '남북은 남북관계 발전을 위해 정상들이 수시로 만나 현안들을 협의하기로 했다'고만 담았을 뿐 답방은 적시하지 못했다.
당시 정상회담준비위원장이었던 문 대통령은 자신의 저서 '운명'에서 이와 관련, "우리가 욕심을 냈던 것이 거의 들어가 있었는데 딱 하나 빠진 게 있다면 정상회담 정례화였다"고 밝히기도 했다.
그동안 북한 최고지도자의 남한 방문이 성사되지 못한 가장 중요한 이유로는 경호 문제가 꼽혀 왔다.
북한 내에서도 최고지도자의 시찰은 대부분 사전에 대외에 공지되지 않은 채 완벽하게 통제된 상황에서 진행하는데, 남한에서는 돌발 상황에 대응이 힘들기 때문이다.
그러나 김정은 위원장은 지난 6월 12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을 위해 싱가포르로 향하는 등 북한 밖을 벗어나는 데 대해 선친보다는 훨씬 유연한 태도를 보여왔고, 이런 성향이 서울 방문을 약속하게 된 배경으로 꼽힌다.
북한 최고지도자의 방남에 반대하는 여론이 우리 사회에 적지 않음에도 김 위원장이 서울을 방문한다는 데 합의했다는 점도 주목할만하다.
남북 정상이 남한에 일부 부정적인 여론이 있지만, 남북관계가 한 단계 도약하기 위해선 어차피 극복해야 할 부분이라는 인식으로 결단한 것 아니냐는 분석이 나온다.
양무진 북한대학원대 교수는 이와 관련, "김정은 위원장도 (답방에 대한) 남측의 부정적 여론을 돌파해야 한다고 본 것이 (답방) 결심의 배경"이라고 분석했다.
김 위원장의 답방이 성사된다면 남북정상회담 정례화에도 성큼 다가설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중립지역인 판문점이나 평양에서만 정상회담을 여는 것보다는 서로의 수도를 오가는 게 훨씬 자연스러운 정상교류 방식이기 때문이다.
/연합뉴스
2000년 답방 합의에도 실현안돼…南 일부부정 여론에도 방남 결단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19일 김 위원장의 서울방문에 합의함에 따라 북한 최고지도자가 조만간 분단 이후 처음으로 남한 땅에 발을 디딜 것으로 보인다.
김 위원장의 답방이 성사되면 남북 정상이 서울과 평양을 오가는 방식의 정상회담 정례화가 가시화하는 등 남북관계가 한층 업그레이드될 것이라는 기대가 나온다.
양 정상이 이날 서명한 '9월 평양공동선언'에는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문재인 대통령의 초청에 따라 가까운 시일 내로 서울을 방문하기로 하였다'고 돼 있다.
문 대통령은 합의서 서명 뒤 회견에서 '가까운 시일'과 관련해 "특별한 사정이 없으면 올해 안을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그동안 남북정상회담은 우리 대통령이 평양으로 건너가거나 중립지역인 판문점에서 열렸다는 점에서 김 위원장의 방남이 성사된다면 남북관계 역사에 일대 사건으로 기록될 전망이다.
문 대통령도 "남북관계의 획기적인 전기가 마련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김정은 위원장은 지난 4월 27일 열린 정상회담 당시 군사분계선(MDL)을 넘어 판문점 남측 지역에 들어왔지만, 판문점은 유엔군사령부가 관할하는 곳이라는 점에서 실질적인 남한 방문으로 보기는 어렵다. 북한 최고지도자의 방남은 2000년 김대중 전 대통령과 김정일 국방위원장 간 정상회담에서도 합의했던 사항이다.
당시 합의문인 '6·15 공동선언'에는 '김정일 국방위원장은 앞으로 적절한 시기에 서울을 방문하기로 했다'고 돼 있다.
그러나 답방은 한 번도 진지하게 추진되지 못했고 김정일 위원장은 2011년 사망했다.
2007년 정상회담 합의문인 10·4선언에는 '남북은 남북관계 발전을 위해 정상들이 수시로 만나 현안들을 협의하기로 했다'고만 담았을 뿐 답방은 적시하지 못했다.
당시 정상회담준비위원장이었던 문 대통령은 자신의 저서 '운명'에서 이와 관련, "우리가 욕심을 냈던 것이 거의 들어가 있었는데 딱 하나 빠진 게 있다면 정상회담 정례화였다"고 밝히기도 했다.
그동안 북한 최고지도자의 남한 방문이 성사되지 못한 가장 중요한 이유로는 경호 문제가 꼽혀 왔다.
북한 내에서도 최고지도자의 시찰은 대부분 사전에 대외에 공지되지 않은 채 완벽하게 통제된 상황에서 진행하는데, 남한에서는 돌발 상황에 대응이 힘들기 때문이다.
그러나 김정은 위원장은 지난 6월 12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을 위해 싱가포르로 향하는 등 북한 밖을 벗어나는 데 대해 선친보다는 훨씬 유연한 태도를 보여왔고, 이런 성향이 서울 방문을 약속하게 된 배경으로 꼽힌다.
북한 최고지도자의 방남에 반대하는 여론이 우리 사회에 적지 않음에도 김 위원장이 서울을 방문한다는 데 합의했다는 점도 주목할만하다.
남북 정상이 남한에 일부 부정적인 여론이 있지만, 남북관계가 한 단계 도약하기 위해선 어차피 극복해야 할 부분이라는 인식으로 결단한 것 아니냐는 분석이 나온다.
양무진 북한대학원대 교수는 이와 관련, "김정은 위원장도 (답방에 대한) 남측의 부정적 여론을 돌파해야 한다고 본 것이 (답방) 결심의 배경"이라고 분석했다.
김 위원장의 답방이 성사된다면 남북정상회담 정례화에도 성큼 다가설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중립지역인 판문점이나 평양에서만 정상회담을 여는 것보다는 서로의 수도를 오가는 게 훨씬 자연스러운 정상교류 방식이기 때문이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