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양정상회담] 문 대통령, 北 집단체조 '빛나는 조국' 관람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북한이 5년 만에 재개한 집단체조
김정은 체제 선전 대표작이라 논란 우려
윤영찬 수석 "'빛나는 조국' 틀 속에서 대통령 환영의 의미"
김정은 체제 선전 대표작이라 논란 우려
윤영찬 수석 "'빛나는 조국' 틀 속에서 대통령 환영의 의미"
문재인 대통령이 ‘2018 평양남북정상회담’ 둘째날인 19일 북한의 집단체조 ‘빛나는 조국’을 관람한다.
윤영찬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은 이날 오전 9시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 메인프레스센터에서 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둘째날 일정 관련 브리핑을 하면서 “평양시 능라도 소재 북한 최대 규모 종합 체육 경기장 5·1경기장에서 대집단체조 예술 공연이 있다”며 “북에서 준비했는데 우리 측 입장을 최대한 고려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밝혔다. 또 “공연 시간은 약 1시간이며 15만 명 정도의 관객이 참석한다”고 덧붙였다.
![[평양정상회담] 문 대통령, 北 집단체조 '빛나는 조국' 관람](https://img.hankyung.com/photo/201809/AB.17803851.1.jpg)
청와대 측에서 공연 관람 일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지 않는 이유는 ‘빛나는 조국’이 김정은 체제를 선전하는 대표적 집단체조이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북한은 2013년까지 상연했던 ‘아리랑’에 이어 5년 만에 ‘빛나는 조국’을 공개했다. 이 공연은 북한 정권수립 70주년 기념일이었던 9·9절에 시작해 오는 10월 10일 북한 노동당 창건일까지 이어질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이 ‘대집단체조와 예술공연’이라고 부르는 집단체조는 무대에서 일사불란하게 펼쳐지는 대규모 인원의 무용·체조·교예 등 공연과 이에 맞춰 시시각각 변화하는 ‘배경대’의 대형 카드섹션으로 구성된다. 웅장한 퍼포먼스로 북한 체제의 과거부터 현재까지의 서사를 형상화한다. 이를 통해 북한 체제의 우월성과 정당성, 결속력을 대내외에 과시한다.
![](https://img.hankyung.com/photo/cts/201809/1e09b171f1fc88cd5a6a346994e24c77.jpg)
북한 집단체조가 갖는 이런 특수성 때문에 2007년 노무현 대통령의 방북 당시 노 대통령이 ‘아리랑’을 관람했을 때 논란이 상당히 컸다. 당시 청와대에선 “이제 과거 대결적 관점에서 벗어나 상호 체제 인정·존중 차원에서 접근할 때가 된 점 등을 감안했다”고 설명했다.
이미아 기자 mi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