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경기 회복세라는데… OECD '위기 경고음' 더 커졌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LG硏도 "반도체 효과 약화"
내년 성장률 2.5%로 낮춰
내년 성장률 2.5%로 낮춰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3.0%였던 올해 한국의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국내외 기관 중 가장 낮은 2.7%까지 대폭 떨어뜨렸다. 정부와 한국은행이 전망한 2.9%보다 더 낮은 수치다. 정부는 ‘경제가 회복세’라는 입장을 10개월째 이어가고 있지만 OECD는 성장률을 한 번에 0.3%포인트 낮추며 경고 사인을 보낸 것이다.
OECD는 한국의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3.0%에서 2.7%로, 내년 성장률 전망치는 3.0%에서 2.8%로 각각 낮춘다고 20일 발표했다. OECD는 지난 5월까지 한국의 올해와 내년 성장률 전망치를 각각 3.0%로 유지했는데 4개월 만에 이를 하향 조정했다.
정부와 한은은 올해 성장률을 2.9%로 전망하고 있다. 기획재정부는 지난 14일 ‘최근 경제동향(그린북) 9월호’에서 “한국 경제는 수출과 소비 중심의 회복세를 이어가고 있다”며 “세계 경제 개선, 수출 호조 등은 긍정적 요인”이라고 주장했다. 그린북은 정부의 공식적인 경기 진단 보고서다.
OECD는 올해 세계경제 성장률 전망치도 3.8%에서 3.7%로 낮췄다. 내년 전망치도 3.9%에서 3.7%로 하향했다. OECD는 “글로벌 통상 갈등, 신흥국 금융 불안 등 하방 리스크가 커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미국의 올해 성장률 전망치는 2.9%로 유지했다. 내년 전망치는 2.8%에서 2.7%로 낮췄다. 중국은 올해와 내년 전망치를 각각 6.7%, 6.4%로 유지했다.
LG경제연구원도 이날 한국의 내년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2.8%에서 2.5%로 낮춰 잡았다. 내년 성장률 전망치를 내놓은 국내외 기관 중 가장 낮은 수치다. 올해 성장률 전망치는 2.8%로 유지했다. 연구원은 반도체산업 성장 추진력이 점차 약해지면서 투자와 수출 활력을 떨어뜨릴 것으로 예상했다. 실제 올해 들어 반도체 호황이 다소 수그러들자 수출과 설비투자 증가세가 느려지고 있다. 중국 미국 등의 반도체 자체 공급 능력이 강해지면서 가격 하락 현상도 나타나고 있다.
연구원은 취업자 수 증가폭이 지난해 32만 명에서 올해 10만 명으로 줄고 내년에도 12만 명에 그칠 것으로 내다봤다. 보고서는 “고용 유발 효과가 큰 도소매, 음식숙박, 교육서비스 업종 부진이 심해지고 자동차, 조선업은 구조조정에 따른 고용 감소가 크다”고 지적했다.
이태훈/서민준 기자 beje@hankyung.com
OECD는 한국의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3.0%에서 2.7%로, 내년 성장률 전망치는 3.0%에서 2.8%로 각각 낮춘다고 20일 발표했다. OECD는 지난 5월까지 한국의 올해와 내년 성장률 전망치를 각각 3.0%로 유지했는데 4개월 만에 이를 하향 조정했다.
정부와 한은은 올해 성장률을 2.9%로 전망하고 있다. 기획재정부는 지난 14일 ‘최근 경제동향(그린북) 9월호’에서 “한국 경제는 수출과 소비 중심의 회복세를 이어가고 있다”며 “세계 경제 개선, 수출 호조 등은 긍정적 요인”이라고 주장했다. 그린북은 정부의 공식적인 경기 진단 보고서다.
OECD는 올해 세계경제 성장률 전망치도 3.8%에서 3.7%로 낮췄다. 내년 전망치도 3.9%에서 3.7%로 하향했다. OECD는 “글로벌 통상 갈등, 신흥국 금융 불안 등 하방 리스크가 커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미국의 올해 성장률 전망치는 2.9%로 유지했다. 내년 전망치는 2.8%에서 2.7%로 낮췄다. 중국은 올해와 내년 전망치를 각각 6.7%, 6.4%로 유지했다.
LG경제연구원도 이날 한국의 내년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2.8%에서 2.5%로 낮춰 잡았다. 내년 성장률 전망치를 내놓은 국내외 기관 중 가장 낮은 수치다. 올해 성장률 전망치는 2.8%로 유지했다. 연구원은 반도체산업 성장 추진력이 점차 약해지면서 투자와 수출 활력을 떨어뜨릴 것으로 예상했다. 실제 올해 들어 반도체 호황이 다소 수그러들자 수출과 설비투자 증가세가 느려지고 있다. 중국 미국 등의 반도체 자체 공급 능력이 강해지면서 가격 하락 현상도 나타나고 있다.
연구원은 취업자 수 증가폭이 지난해 32만 명에서 올해 10만 명으로 줄고 내년에도 12만 명에 그칠 것으로 내다봤다. 보고서는 “고용 유발 효과가 큰 도소매, 음식숙박, 교육서비스 업종 부진이 심해지고 자동차, 조선업은 구조조정에 따른 고용 감소가 크다”고 지적했다.
이태훈/서민준 기자 bej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