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 정기항로 개설… 부산을 亞·太 ~ 유라시아 물류 거점으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2018 부산-한경 WEEK
부산 오셔노미 포럼
부산은 '新남방·북방'의 접점…물류 연계성 강화 필요
北 남포·나진항과 연결…항만 현대화로 교류·협력 나서야
스마트선박·항만 SW 개발 등 신기술 성장동력으로 육성을
부산 오셔노미 포럼
부산은 '新남방·북방'의 접점…물류 연계성 강화 필요
北 남포·나진항과 연결…항만 현대화로 교류·협력 나서야
스마트선박·항만 SW 개발 등 신기술 성장동력으로 육성을

이재영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원장은 부산시와 한국경제신문사, 한국경제TV 주최로 20일 부산 해운대 파라다이스호텔에서 열린 ‘오셔노미 포럼 2018’에서 ‘신남북방 경제·물류 중심, 부산’을 주제로 한 기조연설을 통해 이같이 말했다.
◆“부산 물류 허브가 신성장동력”
이 원장은 부산이 정부 신남북방 정책의 접점이라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해상 전략으로서의 신남방정책은 아세안(동남아국가연합) 및 인도와의 관계를 정치·경제·사회·문화 등 모든 부문에서 발전시키는 정책이다. 대륙 전략인 신북방정책은 유라시아대륙 국가와 교통, 물류, 에너지 등의 연계를 통해 함께 성장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 원장은 “부산의 물류 허브를 신성장동력으로 삼아 동북아시아 경제를 이끌어야 한다”고 말했다.
◆“북한 바닷길 열어야”
부산항을 통해 북한과의 바닷길을 열어야 한다는 의견도 많았다. 강부원 부산항만공사 부사장은 “부산항은 동북아 최대의 환적 거점항만”이라며 “한반도 신경제를 위해선 남북 정기항로를 최우선으로 개설해야 한다”고 말했다. “부산항과 북한의 남포항 및 나진항을 우선 연결해야 한다”는 게 강 부사장의 주문이다.
김영무 한국선주협회 상근부회장도 “부산항 도약을 위해선 나진항까지 항로를 개설하는 등 북방 항로 육성이 필수적”이라며 “부산항이 동북아 거점 항만으로 재도약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해양 신기술 개발도 필요”
기술 개발 사례로는 해양과학기술원이 운영 중인 천리안해양위성이 소개됐다. 유주형 해양과학기술원 책임연구원은 “천리안해양위성은 세계 최초의 정지궤도 위성으로, 다양한 연구소와 협력해 적조를 추적하고 피해를 최소화하는 등 성과를 거둬 세계에서 주목받고 있다”고 말했다.
항만 소프트웨어 개발업체인 녹원정보기술은 신기술 수출로 혁신성장한 사례다. 이 회사는 각종 장비 위치와 상태 정보 등을 3차원(3D)으로 실시간 모니터링할 수 있는 ‘버추얼 터미널’ 프로그램을 개발해 두바이에 수출했다. 손주영 녹원정보기술 상무는 “연내 다른 3개 해외 터미널에도 신규 적용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부산=김일규/성수영/김태현 기자 black0419@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