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제2의 도시 부산을 글로벌 물류 허브로 재도약시키자.” 부산시와 한국경제신문사, 한국경제TV가 20일 부산 에서 개최한 ‘오셔노미 포럼 2018’의 메시지다. ‘오셔노미’는 오션(ocean)과 이코노미(economy)를 합친 말로 이날 포럼은 해양 도시 부산의 새로운 경제발전 전략을 찾기 위해 마련됐다.

부산의 최근 모습은 그리 밝지만은 않다. 조선 해운에 이어 자동차산업까지 어려움을 겪으면서 부산·울산·경남지역 경제가 고사 직전이라는 비명까지 나올 정도다. “외환위기 때보다 기업하기 어렵다”는 하소연도 들린다. 부산 최대 국가산업단지인 녹산공단 가동률은 60%에 불과하다. 지난해와 올해를 통틀어 부산에서 기업공개(IPO)를 하는 기업은 에어부산이 유일할 정도다.

포럼에서는 침체된 부산 경제를 살려내기 위한 다양한 방안이 제기됐다. 이재영 대외경제정책연구원장은 “해양과 대륙이 만나는 부산은 유라시아로 뻗어가는 신북방정책과 아세안 및 인도를 포괄하는 신남방정책의 접점”이라며 “남북한을 연결하는 한반도 신경제의 중심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물류 허브인 부산이 남북한 관계 정상화와 정부의 신남북방 정책을 활용해 재도약해야 한다는 제언이다.

양창호 한국해양수산개발원장은 “부산의 물류 경쟁력을 높여 글로벌 공급망에서 거점이 되려면 여러 관계부처의 컨트롤타워 역할을 할 위원회가 필요하다” 강조했다. 강부원 부산항만공사 부사장은 “부산항은 동북아 최대 환적 거점 항만”이라며 “남포항과 나진항, 부산항을 잇는 남북한 정기항로를 개설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조선 해운 항만 등 해양산업이 경쟁력을 갖추려면 정부와 조선소, 연구소 등이 뭉쳐 신기술 개발을 위해 합심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왔다.

부산 경제를 살리는 일은 부산만의 문제가 아니다. 균형발전 차원에서는 물론 침체에 빠진 경제에 활기를 불어넣기 위해서, 그리고 해양강국이 되기 위해서도 필요하다. “부산 지역 현장을 직접 둘러보고 그에 맞는 대책을 내놓아 달라”는 현지 상공인들의 목소리에 정부가 좀 더 귀를 기울이기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