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정상회담 성과 토대로 글로벌 무대서 평화구축 협력 당부
美 여론주도층 대상 연설로 한반도 평화구상 지지 확보
한미FTA 개정 협상 마무리…한미동맹 경제 영역 확대 등도 소득
[방미결산] 문대통령, '평양에서 뉴욕까지' 숨 가쁜 한반도 평화 강행군
취임 후 두 번째로 유엔총회를 찾은 문재인 대통령의 목표 중 하나는 한국 정부의 한반도 평화정착 구상에 국제사회의 지지를 확보하는 것이었다.

그 토대는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의 제3차 남북정상회담에서 재확인한 북한의 확고한 비핵화 의지였다.

방북 일정을 마치고 귀환한 지 불과 사흘 만에 뉴욕을 방문하는 강행군은 김 위원장이 육성으로 밝힌 비핵화 약속을 가장 큰 규모의 다자외교 무대에 알림으로써 국제사회로부터 최대한의 지지를 끌어내겠다는 의지의 표현이었다.

26일(현지시간) 귀국길에 오르는 문 대통령으로서는 이러한 애초의 목표를 어느 정도는 달성했다는 평가가 가능해 보인다.

교착상태인 북미 간 비핵화 협상을 푸는 데 필수적이었던 제2차 북미정상회담의 성사를 가시권에 들게 한 것은 물론, 전 세계를 상대로 한반도 평화의 당위성을 진정성 있게 호소했다는 점에서다.

문 대통령은 이날 유엔본부에서 한 제73차 유엔총회 기조연설에서 "이제 국제사회가 북한의 새로운 선택과 노력에 화답할 차례"라며 "김 위원장의 비핵화 결단이 올바른 판단임을 확인해 주고 북한이 항구적 평화의 길을 가도록 이끌어야 한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나아가 "국제사회가 길을 열어준다면 북한이 평화와 번영을 향한 발걸음을 멈추지 않으리라 확신한다"며 유엔의 긍정적 영향력을 추켜세우는 동시에 한반도 평화정착의 여정에 동참해 달라고 역설했다.
[방미결산] 문대통령, '평양에서 뉴욕까지' 숨 가쁜 한반도 평화 강행군
문 대통령은 한일정상회담에서도 한반도·동북아 평화에 필요한 북일 간 관계 정상화 가능성을 모색한 것은 물론, 이집트·칠레 정상 등을 만나 한반도 비핵화와 평화정착을 달성하는 데 진력하는 한국 정부를 지지해 달라고 당부했다.

문 대통령의 이러한 노력은 비핵화 협상의 당사자인 미국과 북한이 대화 재개는 물론 비핵화 해법 마련의 추동력을 확보하려면 국제사회의 우호적인 여론을 조성하는 것이 필수라는 판단 때문이다.

문 대통령이 유엔총회 기조연설을 통해 "유엔이 채택한 결의들을 지키겠다"고 밝혔지만,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를 중심으로 한 국제사회의 대북제재 완화 문제도 이와 무관치 않다.

북한이 비핵화 협상 과정에서 요구하는 상응조치 중 하나로 대북제재 완화가 꼽힌다.

즉 대북제재를 미국이 주도하고는 있지만, 제재 완화에 대한 국제사회의 공감대가 형성되지 않는 한 북한이 요구하는 상응조치의 실행은 현실적으로 어려울 수밖에 없다.

문 대통령이 25일 폭스뉴스와의 인터뷰에서 미국이 상응조치를 어느 정도 속도감 있게 해주느냐에 비핵화의 성패가 달렸다고 한 점을 고려하면 대북제재 완화에 필요한 '우군' 확보는 그만큼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주목할 점은 문 대통령이 한반도 평화체제의 당위성을 추상적으로 강조하기보다는 경제적 번영이라는 구체적인 청사진으로 보였다는 점이다.

문 대통령은 25일 미국외교협회(CFR), 코리아소사이어티, 아시아소사이어티가 공동으로 주최한 연설에서 완전한 비핵화와 함께 한반도 평화가 정착되면 남북 경협이 본격화하고 동북아시아 경제협력이 이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방미결산] 문대통령, '평양에서 뉴욕까지' 숨 가쁜 한반도 평화 강행군
이는 남북이 경제 분야에서 통일 기반을 구축한다는 한반도 신경제지도 구상이 성공적으로 구현되면 동아시아철도공동체나 동북아 슈퍼그리드 구상이 또 다른 부를 창출한다는 점을 내세워 주변국들의 동참률을 높이고자 한 것으로 풀이된다.

문 대통령은 이 자리에서 동북아 6개국과 미국이 참여하는 동아시아철도공동체 구상을 언급, "미국의 참여는 동북아 발전을 가속화하고 지역 안정에 큰 힘이 될 것"이라며 미국에 적극적인 참여를 제안하기도 했다.

더욱이 이 연설이 공화당과 민주당을 가리지 않고 미국 외교계 거물들이 모인 싱크탱크인 미국외교협회 주최로 이뤄진 만큼 미국 내 여론주도층과 조야 전반으로부터 평화정착 구상에 대한 지지를 확보하는 데 일정한 역할을 기대할 수 있다.

아울러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개정안에 한미 정상이 서명함으로써 다른 주요국보다 미국발 통상 압박을 잘 피해갈 수 있게 된 점 역시 성과로 평가할 만하다.

문 대통령은 24일 '한미FTA에 관한 정상 공동성명'을 채택한 자리에서 "한미FTA 협정은 한미동맹을 경제 영역으로 확장하는 의미가 있다"고 자평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