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가구 4분의 1이 '나 혼자 산다'…1인 가구 비중 27%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홀로 생활하는 '1인 가구'가 17년 사이에 약 2.5배로 늘었다.
통계청이 28일 펴낸 '인구주택총조사에 나타난 1인 가구의 현황 및 특성' 보고서를 보면 1인 가구는 지난해 기준 562만 가구였다.
1인 가구는 2000년에는 222만 가구였는데 17년 사이에 152.6% 늘었다.
집단가구, 집단시설 가구, 외국인 가구, 군부대 내 거주자, 교도소 수용자 등을 제외한 일반 가구 중 27.2%가 1인 가구라서 가구 수를 기준으로 보면 1인 가구가 가장 흔한 살림살이 형태가 됐다.
2인 가구의 비율이 26.7%로 뒤를 이었다.
1인 가구는 2000년에 일반 가구 중 15.5%였는데 지속해서 증가해 2015년에 27.2%를 기록하며 가장 주된 가구가 됐다.
다만 일반 가구원 수를 모집단으로 놓고 보면 4인 가구의 가구원이 28.6%로 가장 비중이 컸고 1인 가구의 비중은 11.6%에 그쳤다.
1인 가구의 혼인 상태를 보면 2015년을 기준으로 미혼 43.8%, 이혼 15.5%, 사별 29.5%, 배우자 있음 11.1%였다.
2000년과 비교하면 미혼, 이혼, 사별의 비율은 각각 0.8% 포인트, 5.7% 포인트, 5.6% 포인트 상승했고 배우자가 있는 1인 가구는 0.9% 포인트 하락했다.
1인 가구의 비율 증가에는 이혼자 비율 상승이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
15년 사이에 나타난 1인 가구의 수 변화를 기준으로 보면 미혼(95만6천 명→228만4천 명)이 가장 많이 늘었다.
2017년 기준 일반 가구원 중 1인 가구의 비율이 가장 높은 연령은 남자는 30세(22.5%)였고, 여자는 83세(34.4%)였다.
일반 가구원 중 1인 가구의 비율을 연령대로 구분하면 남자는 25∼34세가 23.8%, 여자는 55∼64세가 17.5%로 다른 연령대보다 높았다.
2015년 기준 1인 가구의 주거지 점유 형태는 34.0%가 본인 소유 주택, 16.0%가 전세, 보증금이 있는 월세가 36.0%였다.
일반 가구의 주거 형태별 비율은 자가 56.8%, 전세 15.5%, 보증금 있는 월세 20.3%였다.
2000년에 이들 가구가 보였던 주거지 점유와 비교하면 자가의 비율은 양측 모두 큰 변화가 없었다.
반면 보증금 있는 월세는 1인 가구의 비율 증가(21.2%→36.0%)가 일반 가구(10.7%→20.3%)보다 훨씬 컸다.
같은 기간 전세는 1인 가구의 경우 30.0%에서 16.0%로, 일반 가구는 28.2%에서 15.5%로 변동했다.
65세 이상 1인 가구는 2015년 기준으로 절반 이상이 본인 소유 집에서 살았고 34세 이하 1인 가구는 반 이상이 보증금 있는 월세 주거지에서 살았다.
2015년 기준 1인 가구의 직업은 경영 관련 사무원이 6.7%로 가장 많았고 매장 판매 종사자가 5.7%, 작물 재배 종사자가 4.4%로 뒤를 이었다.
1인 가구를 최종 학력으로 구분하면 대학 이상(중퇴 등 포함, 이하 동일)이 38.5%로 가장 많았고, 고등학교가 26.6%, 초등학교 15.7%, 중학교 9.9% 등이었다.
한경닷컴 뉴스룸 open@hankyung.com
통계청이 28일 펴낸 '인구주택총조사에 나타난 1인 가구의 현황 및 특성' 보고서를 보면 1인 가구는 지난해 기준 562만 가구였다.
1인 가구는 2000년에는 222만 가구였는데 17년 사이에 152.6% 늘었다.
집단가구, 집단시설 가구, 외국인 가구, 군부대 내 거주자, 교도소 수용자 등을 제외한 일반 가구 중 27.2%가 1인 가구라서 가구 수를 기준으로 보면 1인 가구가 가장 흔한 살림살이 형태가 됐다.
2인 가구의 비율이 26.7%로 뒤를 이었다.
1인 가구는 2000년에 일반 가구 중 15.5%였는데 지속해서 증가해 2015년에 27.2%를 기록하며 가장 주된 가구가 됐다.
다만 일반 가구원 수를 모집단으로 놓고 보면 4인 가구의 가구원이 28.6%로 가장 비중이 컸고 1인 가구의 비중은 11.6%에 그쳤다.
1인 가구의 혼인 상태를 보면 2015년을 기준으로 미혼 43.8%, 이혼 15.5%, 사별 29.5%, 배우자 있음 11.1%였다.
2000년과 비교하면 미혼, 이혼, 사별의 비율은 각각 0.8% 포인트, 5.7% 포인트, 5.6% 포인트 상승했고 배우자가 있는 1인 가구는 0.9% 포인트 하락했다.
1인 가구의 비율 증가에는 이혼자 비율 상승이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
15년 사이에 나타난 1인 가구의 수 변화를 기준으로 보면 미혼(95만6천 명→228만4천 명)이 가장 많이 늘었다.
2017년 기준 일반 가구원 중 1인 가구의 비율이 가장 높은 연령은 남자는 30세(22.5%)였고, 여자는 83세(34.4%)였다.
일반 가구원 중 1인 가구의 비율을 연령대로 구분하면 남자는 25∼34세가 23.8%, 여자는 55∼64세가 17.5%로 다른 연령대보다 높았다.
2015년 기준 1인 가구의 주거지 점유 형태는 34.0%가 본인 소유 주택, 16.0%가 전세, 보증금이 있는 월세가 36.0%였다.
일반 가구의 주거 형태별 비율은 자가 56.8%, 전세 15.5%, 보증금 있는 월세 20.3%였다.
2000년에 이들 가구가 보였던 주거지 점유와 비교하면 자가의 비율은 양측 모두 큰 변화가 없었다.
반면 보증금 있는 월세는 1인 가구의 비율 증가(21.2%→36.0%)가 일반 가구(10.7%→20.3%)보다 훨씬 컸다.
같은 기간 전세는 1인 가구의 경우 30.0%에서 16.0%로, 일반 가구는 28.2%에서 15.5%로 변동했다.
65세 이상 1인 가구는 2015년 기준으로 절반 이상이 본인 소유 집에서 살았고 34세 이하 1인 가구는 반 이상이 보증금 있는 월세 주거지에서 살았다.
2015년 기준 1인 가구의 직업은 경영 관련 사무원이 6.7%로 가장 많았고 매장 판매 종사자가 5.7%, 작물 재배 종사자가 4.4%로 뒤를 이었다.
1인 가구를 최종 학력으로 구분하면 대학 이상(중퇴 등 포함, 이하 동일)이 38.5%로 가장 많았고, 고등학교가 26.6%, 초등학교 15.7%, 중학교 9.9% 등이었다.
한경닷컴 뉴스룸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