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년 만에 나오는 3기 신도시…청약 과열 불보듯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신도시 개발 이대론 안된다
서울 도심과 1기 신도시 사이
광명·과천·하남·고양 등 거론
정부, 연내 1~2곳 발표 예정
서울 도심과 1기 신도시 사이
광명·과천·하남·고양 등 거론
정부, 연내 1~2곳 발표 예정
정부가 앞으로 조성하겠다고 밝힌 3기 신도시의 입지가 뛰어날 것으로 전망돼 ‘로또 당첨’ 논란이 재연될 것으로 전문가들이 예상하고 있다.
정부는 ‘9·21 수도권 주택공급 확대정책’에서 15년 만에 3기 신도시를 조성하기로 했다. 수도권에 330만㎡ 이상 공공택지 4~5곳을 조성해 약 20만 가구를 공급할 계획이다.
입지와 관련해서는 3기 신도시를 서울과 반경 20㎞ 이내에 건설된 1기 신도시 사이에 지정하겠다고 밝혔다. 1기 신도시보다 더 뛰어난 입지에 조성되는 것이다. 구체적인 공급지역 1~2곳은 연내 발표할 예정이다.
부동산 전문가들은 과거 보금자리주택지구로 지정됐다가 해제된 광명·시흥지구와 하남 감북지구, 안양시가 추진하고 있는 박달테크노밸리 조성사업지와 고양시 장항동 일대, 과천시 일대를 후보지로 꼽고 있다.
전문가들은 3기 신도시 입지가 우수해 청약 수요가 대거 몰릴 것으로 내다봤다. 김학렬 더리서치 부동산조사연구소장은 “후보지역 모두 서울 근교인 데다 우수한 교통망을 갖출 가능성이 높아 뜨거운 청약 경쟁이 예상된다”고 평가했다.
다만 서울 도심까지의 주요 출퇴근 수단인 철도망 확충 여부에 따라 선호도가 갈릴 가능성도 있다. 홍춘욱 키움증권 투자전략팀장은 “신분당선 성공 사례처럼 서울 도심을 30분 이내에 접근할 수 있는 철도망을 조성해야 서울 수요가 분산된다”며 “광명·시흥지구는 신설 신안산선, 고양시는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 A노선의 수혜를 보는 지역”이라고 평가했다. 그는 “과천은 이미 ‘준강남’ 입지”라고 평가했다. 반면 하남 감북지구는 역세권과 거리가 멀어 철도망이 확충되지 않으면 출퇴근 대란이 예상된다고 지적했다.
아파트 공급은 최소 4년 이후 시작될 전망이다. 국토부는 3기 신도시 택지 공급을 2022년 하반기부터 시작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지구 지정과 토지 수용, 기반시설 조성 등의 절차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이다. 채상욱 하나금융투자 애널리스트는 “소수에게 수억원의 차익을 안겨주는 것보다 국가가 개발이익을 환수해 저소득층 주거 안정을 위해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허란 기자 why@hankyung.com
정부는 ‘9·21 수도권 주택공급 확대정책’에서 15년 만에 3기 신도시를 조성하기로 했다. 수도권에 330만㎡ 이상 공공택지 4~5곳을 조성해 약 20만 가구를 공급할 계획이다.
입지와 관련해서는 3기 신도시를 서울과 반경 20㎞ 이내에 건설된 1기 신도시 사이에 지정하겠다고 밝혔다. 1기 신도시보다 더 뛰어난 입지에 조성되는 것이다. 구체적인 공급지역 1~2곳은 연내 발표할 예정이다.
부동산 전문가들은 과거 보금자리주택지구로 지정됐다가 해제된 광명·시흥지구와 하남 감북지구, 안양시가 추진하고 있는 박달테크노밸리 조성사업지와 고양시 장항동 일대, 과천시 일대를 후보지로 꼽고 있다.
전문가들은 3기 신도시 입지가 우수해 청약 수요가 대거 몰릴 것으로 내다봤다. 김학렬 더리서치 부동산조사연구소장은 “후보지역 모두 서울 근교인 데다 우수한 교통망을 갖출 가능성이 높아 뜨거운 청약 경쟁이 예상된다”고 평가했다.
다만 서울 도심까지의 주요 출퇴근 수단인 철도망 확충 여부에 따라 선호도가 갈릴 가능성도 있다. 홍춘욱 키움증권 투자전략팀장은 “신분당선 성공 사례처럼 서울 도심을 30분 이내에 접근할 수 있는 철도망을 조성해야 서울 수요가 분산된다”며 “광명·시흥지구는 신설 신안산선, 고양시는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 A노선의 수혜를 보는 지역”이라고 평가했다. 그는 “과천은 이미 ‘준강남’ 입지”라고 평가했다. 반면 하남 감북지구는 역세권과 거리가 멀어 철도망이 확충되지 않으면 출퇴근 대란이 예상된다고 지적했다.
아파트 공급은 최소 4년 이후 시작될 전망이다. 국토부는 3기 신도시 택지 공급을 2022년 하반기부터 시작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지구 지정과 토지 수용, 기반시설 조성 등의 절차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이다. 채상욱 하나금융투자 애널리스트는 “소수에게 수억원의 차익을 안겨주는 것보다 국가가 개발이익을 환수해 저소득층 주거 안정을 위해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허란 기자 wh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