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월 Fed 의장 "美 경제 엄청 좋다"…천장 뚫은 금리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중립금리까지 아직 여유"
10년물 국채 年 3.2% 돌파
단숨에 7년 만에 최고치
10년물 국채 年 3.2% 돌파
단숨에 7년 만에 최고치
미국 국채 10년물 금리가 2011년 이후 최고치로 치솟았다. 미국의 양적완화 축소 후 신흥국에서 긴축발작(taper tantrum)이 발생한 2013년 수준을 단숨에 돌파했다. 금리가 더 오를 수 있다는 관측에도 갈수록 힘이 실리고 있다. 고용과 성장, 임금 등의 지표가 호조세를 이어가고 있어 경기 확장세가 지속될 것이란 믿음이 강해진 덕분이다.
3일(현지시간) 미 뉴욕 채권시장에서 10년물 국채 수익률은 전날보다 10.3bp(1bp=0.01%포인트) 상승한 연 3.159%로 마감됐다. 2011년 7월 이후 최고다. 하루 상승 폭은 지난해 3월 이후 가장 컸다. 시간외 거래에선 연 3.22%까지 치솟기도 했다.
30년물 금리는 10.9bp 뛰어오른 연 3.315%를 나타냈다. 2014년 9월 이후 가장 높다. 2년물 국채 수익률은 4.5bp 오른 연 2.860%였다.
장기물 금리가 더 뛰면서 10년물과 2년물의 금리차(수익률 곡선)는 전날 24.1bp에서 이날 29.9bp로 대폭 확대됐다.
좋은 경기 지표들이 잇따라 나와 금리 급등세를 촉발했다. 9월 민간고용은 시장 예상치 18만5000명을 뛰어넘어 23만 명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공급관리협회(ISM)가 집계한 9월 서비스업 구매관리자지수(PMI)가 21년 만의 최고인 61.6으로 발표됐다. 이에 따라 3, 4분기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이 예상보다 높을 것이란 전망도 나왔다.
장 마감 뒤 제롬 파월 미 중앙은행(Fed) 의장이 “중립금리까지 아직 여유가 있고 기준금리를 중립 수준을 향해 점진적으로 올려 나갈 필요가 있다”고 말한 것도 영향을 미쳤다. 10년물 금리는 연 3.2%를 돌파했다.
시장은 그동안 중립금리를 연 2.9~3.0% 수준으로 추정해왔다. 하지만 Fed가 생각하는 중립금리가 이보다 높을 수 있다는 추정도 나오고 있다. 파월 의장은 “미 경제가 놀라울 만큼 긍정적”이라며 “경기 확장이 상당 기간 더 지속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미 국채 시장의 수급 균형이 무너지고 있다는 관측도 제기됐다. 미 연방정부의 재정 적자가 늘면서 국채 발행량이 계속 늘고 있어서다. 미 재무부는 올 하반기 전년 동기에 비해 63% 증가한 7690억달러 규모의 국채를 발행할 계획이다. 하지만 전통적 투자자인 일본과 유럽계 보험사 등 해외 수요는 최근 대폭 감소했다. Fed의 긴축정책 속에 글로벌 금융 시장에서 달러 구하기가 어려워져 달러 스와프 비용이 급등했기 때문이다. ‘채권왕’ 빌 그로스는 이날 트위터를 통해 “유로존과 일본 투자자들이 헤지 비용 때문에 시장에서 다 물러갔다”며 “채권값은 더 떨어질 것 같다”고 밝혔다.
이탈리아 정부가 유럽연합(EU)의 권고를 수용해 2021년 이후 적자 규모를 GDP의 2%로 낮추기로 하면서 불안감이 줄어든 것도 금리를 끌어올린 요인이다.
이에 따라 금리가 기술적 지지선을 깨고 치솟을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미 금리가 치솟으면 신흥국들은 더욱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다. 국제 금융시장에서 달러 유동성이 메말라가는 가운데 해외자금 유출이 심해질 수 있다.
뉴욕=김현석 특파원 realist@hankyung.com
3일(현지시간) 미 뉴욕 채권시장에서 10년물 국채 수익률은 전날보다 10.3bp(1bp=0.01%포인트) 상승한 연 3.159%로 마감됐다. 2011년 7월 이후 최고다. 하루 상승 폭은 지난해 3월 이후 가장 컸다. 시간외 거래에선 연 3.22%까지 치솟기도 했다.
30년물 금리는 10.9bp 뛰어오른 연 3.315%를 나타냈다. 2014년 9월 이후 가장 높다. 2년물 국채 수익률은 4.5bp 오른 연 2.860%였다.
장기물 금리가 더 뛰면서 10년물과 2년물의 금리차(수익률 곡선)는 전날 24.1bp에서 이날 29.9bp로 대폭 확대됐다.
좋은 경기 지표들이 잇따라 나와 금리 급등세를 촉발했다. 9월 민간고용은 시장 예상치 18만5000명을 뛰어넘어 23만 명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공급관리협회(ISM)가 집계한 9월 서비스업 구매관리자지수(PMI)가 21년 만의 최고인 61.6으로 발표됐다. 이에 따라 3, 4분기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이 예상보다 높을 것이란 전망도 나왔다.
장 마감 뒤 제롬 파월 미 중앙은행(Fed) 의장이 “중립금리까지 아직 여유가 있고 기준금리를 중립 수준을 향해 점진적으로 올려 나갈 필요가 있다”고 말한 것도 영향을 미쳤다. 10년물 금리는 연 3.2%를 돌파했다.
시장은 그동안 중립금리를 연 2.9~3.0% 수준으로 추정해왔다. 하지만 Fed가 생각하는 중립금리가 이보다 높을 수 있다는 추정도 나오고 있다. 파월 의장은 “미 경제가 놀라울 만큼 긍정적”이라며 “경기 확장이 상당 기간 더 지속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미 국채 시장의 수급 균형이 무너지고 있다는 관측도 제기됐다. 미 연방정부의 재정 적자가 늘면서 국채 발행량이 계속 늘고 있어서다. 미 재무부는 올 하반기 전년 동기에 비해 63% 증가한 7690억달러 규모의 국채를 발행할 계획이다. 하지만 전통적 투자자인 일본과 유럽계 보험사 등 해외 수요는 최근 대폭 감소했다. Fed의 긴축정책 속에 글로벌 금융 시장에서 달러 구하기가 어려워져 달러 스와프 비용이 급등했기 때문이다. ‘채권왕’ 빌 그로스는 이날 트위터를 통해 “유로존과 일본 투자자들이 헤지 비용 때문에 시장에서 다 물러갔다”며 “채권값은 더 떨어질 것 같다”고 밝혔다.
이탈리아 정부가 유럽연합(EU)의 권고를 수용해 2021년 이후 적자 규모를 GDP의 2%로 낮추기로 하면서 불안감이 줄어든 것도 금리를 끌어올린 요인이다.
이에 따라 금리가 기술적 지지선을 깨고 치솟을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미 금리가 치솟으면 신흥국들은 더욱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다. 국제 금융시장에서 달러 유동성이 메말라가는 가운데 해외자금 유출이 심해질 수 있다.
뉴욕=김현석 특파원 realis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