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화폐거래소, 세금 1656억 냈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내년엔 법인·취득세 감면 사라져
업계 "2분기부터 적자인데
거래소 위축 땐 일자리도 증발"
업계 "2분기부터 적자인데
거래소 위축 땐 일자리도 증발"
국내 주요 가상화폐거래소가 최근 1년9개월간 1656억원의 세금을 냈다.
한국블록체인협회는 빗썸, 업비트, 코인원, 코빗 등 회원사 15곳이 지난해 1월부터 올해 9월 말까지 납부한 세금을 조사한 결과 1656억원으로 집계됐다고 7일 발표했다. 법인세와 취득세를 포함한 금액이다.
블록체인협회 관계자는 “대다수 거래소가 지난해 4분기나 올해 초부터 영업을 시작했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최근 1년간의 납부금액이라고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내년부터는 가상화폐거래소의 세금 부담이 늘어날 전망이다. 가상화폐거래소는 ‘벤처기업 육성에 관한 특별조치법’에 따라 법인세 50% 감면, 취득세 75% 감면 혜택을 받아왔다. 지난 7월 정부가 무분별한 가상화폐 투자를 막기 위해 세 감면 대상에서 가상화폐 매매·중개업을 제외했기 때문에 내년부터는 이 같은 혜택을 받을 수 없다.
올 들어 지속적으로 가상화폐거래소의 수익이 줄어들고 있는 점을 고려하면 거래소들이 내는 세금 규모는 올해 하반기를 기점으로 크게 줄어들 것이라는 게 업계 설명이다.
최화인 블록체인협회 블록체인캠퍼스학장은 “국내 양대 거래소인 빗썸과 업비트가 지난 2분기부터 적자인 것으로 나타났다”며 “이대로라면 내년부터는 상당수 거래소가 손실을 견디지 못해 폐업할 것”으로 예측했다. 정부가 가상화폐 관련 산업을 강도 높게 규제하면서 세원이 위축되고 있다고 협회 측은 지적했다.
15개 주요 거래소에 고용된 임직원은 1520명이다. 이 중 금융·정보기술(IT) 연구개발 전문인력이 61%에 이르는 것으로 조사됐다. 진대제 블록체인협회장은 “세계 블록체인산업이 가상화폐를 중심으로 발전하고 있는데도 국내 가상화폐업계는 과도한 정부 규제로 성장이 제한돼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국내 거래소는 해외보다 선진적인 기술과 서비스를 갖추고 있어 성장 가능성과 일자리 창출 여력이 뛰어나다”고 강조했다.
윤희은 기자 soul@hankyung.com
한국블록체인협회는 빗썸, 업비트, 코인원, 코빗 등 회원사 15곳이 지난해 1월부터 올해 9월 말까지 납부한 세금을 조사한 결과 1656억원으로 집계됐다고 7일 발표했다. 법인세와 취득세를 포함한 금액이다.
블록체인협회 관계자는 “대다수 거래소가 지난해 4분기나 올해 초부터 영업을 시작했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최근 1년간의 납부금액이라고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내년부터는 가상화폐거래소의 세금 부담이 늘어날 전망이다. 가상화폐거래소는 ‘벤처기업 육성에 관한 특별조치법’에 따라 법인세 50% 감면, 취득세 75% 감면 혜택을 받아왔다. 지난 7월 정부가 무분별한 가상화폐 투자를 막기 위해 세 감면 대상에서 가상화폐 매매·중개업을 제외했기 때문에 내년부터는 이 같은 혜택을 받을 수 없다.
올 들어 지속적으로 가상화폐거래소의 수익이 줄어들고 있는 점을 고려하면 거래소들이 내는 세금 규모는 올해 하반기를 기점으로 크게 줄어들 것이라는 게 업계 설명이다.
최화인 블록체인협회 블록체인캠퍼스학장은 “국내 양대 거래소인 빗썸과 업비트가 지난 2분기부터 적자인 것으로 나타났다”며 “이대로라면 내년부터는 상당수 거래소가 손실을 견디지 못해 폐업할 것”으로 예측했다. 정부가 가상화폐 관련 산업을 강도 높게 규제하면서 세원이 위축되고 있다고 협회 측은 지적했다.
15개 주요 거래소에 고용된 임직원은 1520명이다. 이 중 금융·정보기술(IT) 연구개발 전문인력이 61%에 이르는 것으로 조사됐다. 진대제 블록체인협회장은 “세계 블록체인산업이 가상화폐를 중심으로 발전하고 있는데도 국내 가상화폐업계는 과도한 정부 규제로 성장이 제한돼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국내 거래소는 해외보다 선진적인 기술과 서비스를 갖추고 있어 성장 가능성과 일자리 창출 여력이 뛰어나다”고 강조했다.
윤희은 기자 sou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