金-폼페이오 210분 대좌…비핵화·종전·정상회담 포괄논의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2차정상회담 의제·시기·장소 후속 실무협상으로 넘겨
김정은 밝힌 비핵화 카드, 美중간선거前 정상회담 여부 가를듯 7일 당일치기로 방북한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이 김정은 국무위원장과의 '마라톤 대좌'에서 북미 간 쟁점 현안과 관련한 허심탄회한 논의를 한 것으로 추정된다.
문재인 대통령을 예방한 자리에서 폼페이오 장관이 밝힌 내용과 외신 보도 등으로 미뤄 폼페이오 장관과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오찬을 포함해 총 3시간 반 동안 북한의 비핵화 조치와 미국이 취할 상응조치, 제2차 북미정상회담 시기, 장소 등을 포괄적으로 논의한 것으로 보인다.
윤영찬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의 서면브리핑에 따르면 폼페이오 장관은 "제2차 미북정상회담을 가급적 빠른 시일 내 개최키로 김 위원장과 의견을 모았다"며 "미북 양측은 2차 정상회담의 구체적인 시기와 장소를 결정하기 위한 협의를 계속 진행해나가기로 했다"고 말했다.
그는 또 "북한이 취하게 될 비핵화 조치들과 미국 정부의 참관 문제 등에 대해 협의가 있었으며 미국이 취할 상응조치에 관해서도 논의가 있었다"고 언급했다.
비핵화 조치로는 김정은 위원장이 평양 공동선언에 용의를 밝힌 영변 핵시설 폐기의 구체적 조치, 즉 5MW 원자로, 재처리시설, 우라늄농축시설 등을 폐쇄하는 한편 그걸 모니터링하기 위한 국제원자력기구(IAEA) 요원의 방북을 허용하는 방안 등이 논의됐을 수 있어 보인다.
역시 평양 공동선언에 포함된 동창리 엔진시험장과 미사일 발사대의 유관국 전문가들의 참관 하 폐기 문제도 논의됐을 가능성이 크다.
거기에 더해 북한의 핵탄두와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생화학무기 등의 폐기 일정, 미국이 강하게 요구하는 핵 신고 일정 등과 관련한 김 위원장의 약속이 있었을지가 관심을 모은다.
미국 측의 상응 조치로는 6·12 북미정상회담 이후 북한이 줄기차게 요구해온 종전선언이 우선 논의됐을 것으로 보인다.
북한 측이 영변 핵 시설 폐기에 들어가고 ICBM 또는 핵무기 일부에 대한 폐기 의지를 밝힌다면 그걸 확인하는 미국 측 인력의 상주를 위해서라도 평양에 북미연락사무소를 설치하는 방안이 논의됐을 수도 있다.
유엔총회를 계기로 리용호 북한 외무상이 강조한 대북 제재 해제 또는 완화 조치가 논의됐을 수도 있다.
그러나 이날 폼페이오 장관이 주로 김 위원장과 협의를 진행한 만큼 상호 취할 조치에 대한 세부적인 조합을 만드는 데까지 논의가 진행됐는 지는 알 수 없다.
이날 북측 실무협상 수석대표인 최선희 외무성 부상이 러시아 출장으로 자리를 비웠다는 점도 이 같은 관측에 힘을 싣는다.
의제 협의와 연동된 2차 북미정상회담의 시기와 장소도 아직은 모호해 보인다.
결국, 북미정상회담이 11월 6일(현지시간) 미 중간선거 전에 열릴지 후에 열릴지 등은 스티븐 비건 미 대북특별대표와 최선희 부상 간의 후속 협의가 얼마나 조기에 열리는지 등을 지켜봐야 할 전망이다.
이와 관련, 폼페이오 장관은 "미북 양측이 실무협상단을 구성해 북한의 비핵화 프로세스와 북미정상회담 일정 등을 빠른 시일 내에 협의키로 했다"고 문 대통령에게 밝힌 바 있다.
관측통들은 이날 김 위원장이 폼페이오 장관에게 미국이 평가할만한 구체적인 비핵화 조치를 약속했는지가 북미정상회담 조기 개최 여부의 핵심 변수일 것으로 보고 있다.
외교 소식통들에 따르면 북한은 중간선거 결과에 따라 트럼프 행정부 대북정책 '조정'이 이뤄질 수도 있다고 보고 11월 6일 이전 정상회담 개최를 희망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런 반면 트럼프 미 행정부는 중간선거 전에 서둘러 2차 정상회담을 했다가 성과를 둘러싼 논란에 휩싸일 위험을 피하고자 중간선거 이후를 더 선호하는 것으로 전해진다.
결국, 트럼프 대통령으로선 성과 논란을 잠재울 만한 구체적 비핵화 조치를 김 위원장이 약속했는지를 확인한 뒤 10월 중에 2차 북미정상회담을 개최할지를 결정할 것으로 보인다. /연합뉴스
김정은 밝힌 비핵화 카드, 美중간선거前 정상회담 여부 가를듯 7일 당일치기로 방북한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이 김정은 국무위원장과의 '마라톤 대좌'에서 북미 간 쟁점 현안과 관련한 허심탄회한 논의를 한 것으로 추정된다.
문재인 대통령을 예방한 자리에서 폼페이오 장관이 밝힌 내용과 외신 보도 등으로 미뤄 폼페이오 장관과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오찬을 포함해 총 3시간 반 동안 북한의 비핵화 조치와 미국이 취할 상응조치, 제2차 북미정상회담 시기, 장소 등을 포괄적으로 논의한 것으로 보인다.
윤영찬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의 서면브리핑에 따르면 폼페이오 장관은 "제2차 미북정상회담을 가급적 빠른 시일 내 개최키로 김 위원장과 의견을 모았다"며 "미북 양측은 2차 정상회담의 구체적인 시기와 장소를 결정하기 위한 협의를 계속 진행해나가기로 했다"고 말했다.
그는 또 "북한이 취하게 될 비핵화 조치들과 미국 정부의 참관 문제 등에 대해 협의가 있었으며 미국이 취할 상응조치에 관해서도 논의가 있었다"고 언급했다.
비핵화 조치로는 김정은 위원장이 평양 공동선언에 용의를 밝힌 영변 핵시설 폐기의 구체적 조치, 즉 5MW 원자로, 재처리시설, 우라늄농축시설 등을 폐쇄하는 한편 그걸 모니터링하기 위한 국제원자력기구(IAEA) 요원의 방북을 허용하는 방안 등이 논의됐을 수 있어 보인다.
역시 평양 공동선언에 포함된 동창리 엔진시험장과 미사일 발사대의 유관국 전문가들의 참관 하 폐기 문제도 논의됐을 가능성이 크다.
거기에 더해 북한의 핵탄두와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생화학무기 등의 폐기 일정, 미국이 강하게 요구하는 핵 신고 일정 등과 관련한 김 위원장의 약속이 있었을지가 관심을 모은다.
미국 측의 상응 조치로는 6·12 북미정상회담 이후 북한이 줄기차게 요구해온 종전선언이 우선 논의됐을 것으로 보인다.
북한 측이 영변 핵 시설 폐기에 들어가고 ICBM 또는 핵무기 일부에 대한 폐기 의지를 밝힌다면 그걸 확인하는 미국 측 인력의 상주를 위해서라도 평양에 북미연락사무소를 설치하는 방안이 논의됐을 수도 있다.
유엔총회를 계기로 리용호 북한 외무상이 강조한 대북 제재 해제 또는 완화 조치가 논의됐을 수도 있다.
그러나 이날 폼페이오 장관이 주로 김 위원장과 협의를 진행한 만큼 상호 취할 조치에 대한 세부적인 조합을 만드는 데까지 논의가 진행됐는 지는 알 수 없다.
이날 북측 실무협상 수석대표인 최선희 외무성 부상이 러시아 출장으로 자리를 비웠다는 점도 이 같은 관측에 힘을 싣는다.
의제 협의와 연동된 2차 북미정상회담의 시기와 장소도 아직은 모호해 보인다.
결국, 북미정상회담이 11월 6일(현지시간) 미 중간선거 전에 열릴지 후에 열릴지 등은 스티븐 비건 미 대북특별대표와 최선희 부상 간의 후속 협의가 얼마나 조기에 열리는지 등을 지켜봐야 할 전망이다.
이와 관련, 폼페이오 장관은 "미북 양측이 실무협상단을 구성해 북한의 비핵화 프로세스와 북미정상회담 일정 등을 빠른 시일 내에 협의키로 했다"고 문 대통령에게 밝힌 바 있다.
관측통들은 이날 김 위원장이 폼페이오 장관에게 미국이 평가할만한 구체적인 비핵화 조치를 약속했는지가 북미정상회담 조기 개최 여부의 핵심 변수일 것으로 보고 있다.
외교 소식통들에 따르면 북한은 중간선거 결과에 따라 트럼프 행정부 대북정책 '조정'이 이뤄질 수도 있다고 보고 11월 6일 이전 정상회담 개최를 희망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런 반면 트럼프 미 행정부는 중간선거 전에 서둘러 2차 정상회담을 했다가 성과를 둘러싼 논란에 휩싸일 위험을 피하고자 중간선거 이후를 더 선호하는 것으로 전해진다.
결국, 트럼프 대통령으로선 성과 논란을 잠재울 만한 구체적 비핵화 조치를 김 위원장이 약속했는지를 확인한 뒤 10월 중에 2차 북미정상회담을 개최할지를 결정할 것으로 보인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