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최대 융복합 R&D 단지 'LG사이언스파크'…4차 산업혁명시대 '기술혁신 메카' 힘찬 날갯짓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대한민국 대표기업이 뛴다
서울 지하철 5호선 마곡역에 내려 마곡중앙로를 따라 걷다 보면 거대한 연구단지가 나타난다. LG그룹의 연구개발 인력 2만2000여 명이 집결하게 될 LG사이언스파크다. 1990년대까지 드넓은 논밭이던 마곡은 비만 오면 진흙밭이 돼 걸어다니기도 힘들던 곳이다. 2014년 LG사이언스파크가 착공된 지 3년6개월여 만에 첨단 연구단지로 탈바꿈했다. 업종이 다른 계열사들이 한곳에 모여 대규모 융복합 연구단지를 조성한 것은 국내에서 처음이다.
LG사이언스파크는 2018년 4월 공식적으로 문을 열었다. 4차 산업혁명에 선제 대응하기 위해 다양한 분야 인재들이 모여 산업 간 경계를 허무는 창의적 발상을 통해 혁신을 주도한다. 구광모 LG그룹 회장이 (주)LG 대표로 취임 뒤 첫 현장 방문지로 LG사이언스파크를 택한 것은 이곳이 그룹의 미래를 위해 얼마나 중요한 역할을 하는지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다. 구 회장은 “사이언스파크는 LG의 미래를 책임질 연구개발(R&D) 메카로서 4차 산업혁명 시대에 그 중요성이 더 커질 것”이라고 말했다
4조원이 투입된 LG사이언스파크는 축구장 24개 크기인 17만여㎡ 부지에 연면적 111만여㎡ 규모로 조성됐다. 연면적 기준으로 여의도 면적의 3분의 1이 넘는 규모다. 이곳에 20개 연구동이 들어섰다.
LG전자, LG디스플레이, LG이노텍, LG화학, LG하우시스, LG생활건강, LG유플러스, LG CNS 등 8개 계열사 연구인력 1만7000여 명이 집결해 있다. 2020년까지 2만2000여 명으로 확대된다. 그룹 주력 사업인 전자, 화학 분야 연구와 함께 △OLED(유기발광다이오드) △자동차부품 △에너지 등 성장사업 △로봇 △자율주행 △인공지능(AI) △5세대(5G) 이동통신 △차세대 소재·부품 △바이오 등 미래 사업 분야 융복합 연구를 진행해 미래 먹거리를 발굴하고 있다. LG는 미래 준비를 위해 이곳에서 AI, 빅데이터, 증강현실(AR)가상현실(VR) 분야의 기술을 우선 육성할 계획이다.
융복합 연구를 원활히 할 수 있도록 대규모 3차원(3D) 프린트실, 물성분석장비 등 첨단 장비와 연구실을 한곳에 갖춘 공동실험센터와 소속회사와 상관없이 융복합 프로젝트를 진행하기 위한 통합지원센터를 운영해 업무 효율을 높이고 있다. 설계 또한 융복합 연구에 걸맞게 이뤄졌다. 단지 중앙을 관통하는 일직선 대로와 연구동들을 연결한 지하 1층의 통로, 연구동 사이를 이어주는 공중다리 등은 다양한 전공과 기술 분야 연구원들이 자연스럽게 마주치고 소통할 수 있는 가교 역할을 한다.
지난 7월에는 LG사이언스파크 내 소프트웨어 개발자들이 소속 회사와 상관없이 한자리에 모였다. LG전자가 진행하는 ‘2018 LG 소프트웨어 개발자의 날(SEED)’에 참가하기 위해서다. 올해는 LG전자 외에 AI 개발에 관심 있는 연구단지 내 다른 소속회사 연구원도 참석해 노하우를 공유했다.
LG사이언스파크는 세계 최고 수준의 에너지 절감형 연구단지이기도 하다. 전체 20개 연구동 중 18개 동의 옥상과 산책로에 LG전자의 고효율 태양광 모듈 8300개를 설치해 전기를 생산하고 있다. 기존에 계열사별로 연구소를 운영하는 데 소요됐던 에너지 비용 대비 약 38%인 연간 210여억원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고재연 기자 yeon@hankyung.com
LG사이언스파크는 2018년 4월 공식적으로 문을 열었다. 4차 산업혁명에 선제 대응하기 위해 다양한 분야 인재들이 모여 산업 간 경계를 허무는 창의적 발상을 통해 혁신을 주도한다. 구광모 LG그룹 회장이 (주)LG 대표로 취임 뒤 첫 현장 방문지로 LG사이언스파크를 택한 것은 이곳이 그룹의 미래를 위해 얼마나 중요한 역할을 하는지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다. 구 회장은 “사이언스파크는 LG의 미래를 책임질 연구개발(R&D) 메카로서 4차 산업혁명 시대에 그 중요성이 더 커질 것”이라고 말했다
4조원이 투입된 LG사이언스파크는 축구장 24개 크기인 17만여㎡ 부지에 연면적 111만여㎡ 규모로 조성됐다. 연면적 기준으로 여의도 면적의 3분의 1이 넘는 규모다. 이곳에 20개 연구동이 들어섰다.
LG전자, LG디스플레이, LG이노텍, LG화학, LG하우시스, LG생활건강, LG유플러스, LG CNS 등 8개 계열사 연구인력 1만7000여 명이 집결해 있다. 2020년까지 2만2000여 명으로 확대된다. 그룹 주력 사업인 전자, 화학 분야 연구와 함께 △OLED(유기발광다이오드) △자동차부품 △에너지 등 성장사업 △로봇 △자율주행 △인공지능(AI) △5세대(5G) 이동통신 △차세대 소재·부품 △바이오 등 미래 사업 분야 융복합 연구를 진행해 미래 먹거리를 발굴하고 있다. LG는 미래 준비를 위해 이곳에서 AI, 빅데이터, 증강현실(AR)가상현실(VR) 분야의 기술을 우선 육성할 계획이다.
융복합 연구를 원활히 할 수 있도록 대규모 3차원(3D) 프린트실, 물성분석장비 등 첨단 장비와 연구실을 한곳에 갖춘 공동실험센터와 소속회사와 상관없이 융복합 프로젝트를 진행하기 위한 통합지원센터를 운영해 업무 효율을 높이고 있다. 설계 또한 융복합 연구에 걸맞게 이뤄졌다. 단지 중앙을 관통하는 일직선 대로와 연구동들을 연결한 지하 1층의 통로, 연구동 사이를 이어주는 공중다리 등은 다양한 전공과 기술 분야 연구원들이 자연스럽게 마주치고 소통할 수 있는 가교 역할을 한다.
지난 7월에는 LG사이언스파크 내 소프트웨어 개발자들이 소속 회사와 상관없이 한자리에 모였다. LG전자가 진행하는 ‘2018 LG 소프트웨어 개발자의 날(SEED)’에 참가하기 위해서다. 올해는 LG전자 외에 AI 개발에 관심 있는 연구단지 내 다른 소속회사 연구원도 참석해 노하우를 공유했다.
LG사이언스파크는 세계 최고 수준의 에너지 절감형 연구단지이기도 하다. 전체 20개 연구동 중 18개 동의 옥상과 산책로에 LG전자의 고효율 태양광 모듈 8300개를 설치해 전기를 생산하고 있다. 기존에 계열사별로 연구소를 운영하는 데 소요됐던 에너지 비용 대비 약 38%인 연간 210여억원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고재연 기자 yeo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