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부, 탈북민 출신 기자 남북회담 취재 배제 논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통일부가 15일 판문점 남측지역 평화의집에서 열리는 남북 고위급회담 풀 취재에 동행할 예정이었던 탈북민 출신 기자를 출발 1시간 전에 일방적으로 배제해 논란이 일고 있다.
취재에서 배제된 기자는 2002년 탈북한 김명성 조선일보 기자(사진)다. 2013년부터 남북관계 분야를 취재해 오고 있다. 통일부 당국자는 이날 오전 6시30분께 통일부 기자단에 “조선일보에서 풀 취재 기자를 김 기자에서 다른 기자로 변경하지 않으면 통일부에서는 풀 취재단에서 배제할 방침”이라고 통보했다. 이 당국자는 별다른 이유 설명 없이 “한정된 공간에서 고위급회담이 열리는데, 김 기자가 활발한 활동을 해서 널리 알려졌으니 언론을 제한한다기보다는 특수한 상황에서 필요한 조치라고 판단해 협조를 구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또 “북측의 이의 제기는 없었고 자체적으로 종합적으로 판단한 것”이라고 말해 회담 전부터 북한에 과도하게 고개를 숙인 것 아니냐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통일부 기자단은 평양과 개성, 금강산 지역 등 방북 취재가 필요할 때와 북한 주요 인사의 방남 등 남북관계의 특수성에 따라 취재 환경이 제한될 때 순번제에 따른 풀 취재단을 운영하고 있다. 기자단이 자체적으로 운영하는 풀 취재단의 구성을 정부 당국에서 특별한 이유 없이 간섭한 건 선례가 거의 없다.
조명균 통일부 장관은 이날 오전 7시15분께 김 기자와 면담하면서 “여러 가지 상황을 고려해 판단한 것이며 책임은 내가 지겠다”고 말했다. 하지만 상황이 무엇인지, 책임을 어떻게 질 것인지에 대해선 전혀 언급하지 않았다.
김 기자는 “북한 김정은 체제에서 출신 성분과 정치 성향을 따지는 행태와 무엇이 다른지 모르겠다”며 “북한을 떠나온 지 20년이 다 되어 가는데 이런 일을 겪으며 탈북민 출신이란 아픔을 또 다시 겪는 게 너무나도 슬프고 안타깝다”고 말했다. 또 “지금까지의 정황으로 봐선 내가 탈북민 출신이기 때문에 통일부 내에서 차별당한 것이란 해석밖엔 안 되는 듯하다”고 덧붙였다.
이미아 기자 mia@hankyung.com
취재에서 배제된 기자는 2002년 탈북한 김명성 조선일보 기자(사진)다. 2013년부터 남북관계 분야를 취재해 오고 있다. 통일부 당국자는 이날 오전 6시30분께 통일부 기자단에 “조선일보에서 풀 취재 기자를 김 기자에서 다른 기자로 변경하지 않으면 통일부에서는 풀 취재단에서 배제할 방침”이라고 통보했다. 이 당국자는 별다른 이유 설명 없이 “한정된 공간에서 고위급회담이 열리는데, 김 기자가 활발한 활동을 해서 널리 알려졌으니 언론을 제한한다기보다는 특수한 상황에서 필요한 조치라고 판단해 협조를 구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또 “북측의 이의 제기는 없었고 자체적으로 종합적으로 판단한 것”이라고 말해 회담 전부터 북한에 과도하게 고개를 숙인 것 아니냐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통일부 기자단은 평양과 개성, 금강산 지역 등 방북 취재가 필요할 때와 북한 주요 인사의 방남 등 남북관계의 특수성에 따라 취재 환경이 제한될 때 순번제에 따른 풀 취재단을 운영하고 있다. 기자단이 자체적으로 운영하는 풀 취재단의 구성을 정부 당국에서 특별한 이유 없이 간섭한 건 선례가 거의 없다.
조명균 통일부 장관은 이날 오전 7시15분께 김 기자와 면담하면서 “여러 가지 상황을 고려해 판단한 것이며 책임은 내가 지겠다”고 말했다. 하지만 상황이 무엇인지, 책임을 어떻게 질 것인지에 대해선 전혀 언급하지 않았다.
김 기자는 “북한 김정은 체제에서 출신 성분과 정치 성향을 따지는 행태와 무엇이 다른지 모르겠다”며 “북한을 떠나온 지 20년이 다 되어 가는데 이런 일을 겪으며 탈북민 출신이란 아픔을 또 다시 겪는 게 너무나도 슬프고 안타깝다”고 말했다. 또 “지금까지의 정황으로 봐선 내가 탈북민 출신이기 때문에 통일부 내에서 차별당한 것이란 해석밖엔 안 되는 듯하다”고 덧붙였다.
이미아 기자 mi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