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상상봉 논의도 할듯…한적, 곧바로 협상준비·실무작업에 착수
이산가족 수시상봉에 '한 발짝 더'…남북, 11월 적십자회담 합의
남북이 11월 중 금강산에서 적십자회담을 개최하기로 15일 합의함에 따라 이산가족의 수시 상봉과 화상 상봉, 영상편지 교환이 조만간 이뤄질 것이라는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이번 적십자회담은 간헐적인 상봉에 그쳐온 이산가족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겠다는 남북 정상의 '평양공동선언'의 후속조치로 이뤄지는 것이기 때문이다.

평양공동선언은 "남과 북은 적십자회담을 통해 이산가족의 화상상봉과 영상편지 교환 문제를 우선적으로 해결해나가기로 하였다"고 명시했다.

남북은 이날 판문점 남측 평화의집에서 평양공동선언 이행을 위한 고위급회담을 열어 채택한 공동보도문에 적십자회담 일정을 다음 달로 정했다.
이산가족 수시상봉에 '한 발짝 더'…남북, 11월 적십자회담 합의
내달 적십자회담에선 그동안 진행돼온 이산가족 상봉행사의 문제점을 짚어보고, 남북이 근본적인 대책을 논의할 것이라는 점에서 관심을 끈다.

이산가족의 고령화가 심각한 상황에서 수시상봉, 화상 상봉, 영상편지 교환 문제와 관련한 실질적인 대책을 논의하는 데 초점을 맞출 것으로 보인다.

조명균 통일부 장관은 이날 회담 이후 기자브리핑에서 "면회소 복구, 화상상봉, 영상편지 교환 등과 관련해서 문서교환 방식으로 협의해서 어느 정도 의견 접근을 시켜놓고, 남북 적십자회담을 11월 중 금강산에서 개최해서 문서교환 방식의 협의를 토대로 최종적으로 타결 짓자고 논의됐다"고 소개했다.

내달 적십자회담에서 실질적인 성과가 도출될 가능성을 점쳐볼 수 있는 대목이다.

통일부도 이날 고위급회담 결과 설명자료에서 이번 합의에 대해 "이산가족 문제의 근본적 해결과정에 진입"했다고 평가했다.

그동안과 같이 간헐적으로 한차례 100명 정도씩 만나는 상봉 방식으로는 고령의 이산가족 한을 풀 수 없다는 지적이 많았다.

실제 지난달 기준으로 남측에서 13만2천899명의 이산가족 신청자 가운데 절반이 훌쩍 넘는 7만6천308명이 사망했고, 생존자(5만6천591명) 중 80세 이상이 62.4%(3만5천302명)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런 가운데 화상상봉과 영상편지도 대안으로 부각돼왔다.

화상상봉은 2005년 3차례, 2006년 1차례, 2007년 3차례 이뤄진 전례가 있다.

이를 통해 남북 557가족 3천748명이 이산의 아픔을 달랬다.

영상편지는 2008년 남북 각각 20편씩, 총 40편의 교환이 이뤄졌다.
이산가족 수시상봉에 '한 발짝 더'…남북, 11월 적십자회담 합의
남북은 아울러 고위급 회담 공동보도문에서 다음 달 적십자회담을 통해 이산가족면회소 시설 개보수 공사 착수에 필요한 문제도 협의하기로 했다.

이는 남과 북이 금강산 지역에 이산가족 상설면회소를 이른 시일 내 개소하기 위해 면회소 시설을 조속히 복구하기로 했다는 평양공동선언의 후속조치다.

이산가족 상설면회소는 남북 이산가족의 오랜 염원이었던 상봉 정례화와 수시상봉을 위한 필요조건이라고 할 수 있다.

금강산 지역에 2008년 7월 완공돼 이산가족 상봉행사장으로 이용돼 온 면회소가 있으나 간헐적으로 열려온 상봉행사 이외에 상시적인 이용은 불가능했다.

그러나 남북 정상이 평양 공동선언에서 '상설면회소'를 개소하겠다고 지칭하면서 차후 이산가족 상봉 정례화와 수시상봉을 위한 준비라는 관측도 나왔다.

지난달 회담 당시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2010년 취한 금강산 이산가족면회소에 대한 몰수 조치를 해제해 달라는 문재인 대통령의 요청에 동의의 뜻을 밝히기도 했다.

조명균 장관은 "개보수 공사 전에 몰수 조치 해제를 북측이 취해 나가는 것을 오늘 다시 한번 논의했다"고 브리핑에서 밝혔다.

대한적십자사(한적)는 적십자회담의 시기와 장소에 대한 윤곽이 나온 만큼 곧바로 협상준비와 실무작업에 착수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통일부와 한적이 전문 기관에 의뢰해 지난 6월부터 두 달간 진행한 조사 결과에 따르면 남측 이산가족 91.9%(3만1천367명)가 북측 이산가족의 생사확인을 원했다.

또 고향 방문 사업에 참여하겠다는 대답은 응답자의 74.9%(2만5천558명), 영상편지 제작사업에 참여하겠다는 응답자는 37.9%(8천692명, 기존 촬영자 제외)로 집계됐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