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냉장 보관 필요 없고 코에 분사…세계 첫 비강흡입 백신 개발 박차"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김동호 엔에이백신연구소 대표
설립 6개월만에 70억 자본유치
면역증가제·예방백신 개발 계획
내년 최소한 3종 임상 1상 목표
2021년께 기업공개도 고려
설립 6개월만에 70억 자본유치
면역증가제·예방백신 개발 계획
내년 최소한 3종 임상 1상 목표
2021년께 기업공개도 고려
“전 세계 사람들이 쉽게 사용할 수 있는 백신을 개발해 혜택을 주는 것이 목표입니다. 우리의 백신후보물질은 냉장 보관이 필요 없고 코에 분사하기 때문에 자가 투여가 가능합니다.”
최근 서울 송파구 본사에서 만난 김동호 엔에이백신연구소 대표의 말이다. 올 2월 설립 이후 6개월 만인 지난 8월 총 70억원의 자금을 유치했다. 벤처캐피털 등을 통해 40억원을 투자받았고, 기술보증기금으로부터 프런티어벤처기업으로 선정돼 30억원을 지원받게 됐다.
◆“세계 첫 비강흡입 백신 개발할 것”
엔에이백신연구소는 백신 아쥬반트(보강제) 개발에 경쟁력을 가지고 있다. 아쥬반트는 백신의 효과를 강력하게 만드는 물질이다. 백신은 약화된 질환 유발물질(항원) 등을 넣어 면역반응을 통해 몸 안에 대응체계를 만드는 의약품이다. 예방백신과 치료백신 등이 있다. 김 대표는 “백신이 비싼 것은 면역반응을 이끌어낼 항원을 만드는 것이 어렵고, 생산설비가 비싸기 때문”이라고 했다.
기존 기술은 항원을 만들고 백신을 생산하는 데 최소 6개월이 필요하다. 그는 “기존에 알려진 항원을 아쥬반트에 붙여 생산기간을 1개월 이내로 단축했다”며 “현재 연간 20만 도즈(20만 명 투약분)를 생산할 수 있다”고 했다.
기존 백신은 냉장보관이 기본이다. 주사제이기 때문에 주사기와 의료인력도 있어야 한다. 반면 이 회사의 백신은 상온 보관이 가능하다. 천식 치료제처럼 코에 분사하는 방식이어서 의사나 간호사도 필요 없다. 이 때문에 전기가 들어오지 않는 오지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김 대표는 “코 점막에 있는 면역세포들이 반응해 체내 면역을 유도하기 때문에 비강 흡입으로도 효과를 볼 수 있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비강 흡입형 백신이 개발되면 세계 최초다.
◆“동물백신 개발도 기대”
엔에이백신연구소는 면역증가제와 예방백신 및 암백신, 동물용 백신 등을 개발할 계획이다. 올해 5종의 전임상을 진행하고, 내년 최소 3종에 대한 임상 1상을 목표하고 있다. 김 대표는 “프랑스 세픽에 동물용 백신 수출을 추진하고 있다”며 “흡입형 제품에 대한 검증은 끝난 상태”라고 말했다. 연간 최소 50억원 이상의 공급계약을 기대 중이다.
엔에이백신연구소는 동물백신 사업부문을 분사할 예정이다. 연 1000만 도즈 규모의 생산공장 설립도 계획하고 있다. 김 대표는 “인간 예방백신, 면역항암제, 만성피로증후군 등 분야별로 사업을 분사해 유연한 조직체계를 갖추려는 것”이라고 했다.
후보물질 2개 이상이 임상 2상 단계에 있을 2021년께 기업공개(IPO)도 고려 중이다. 미국 텍사스대에서 분자생물학 박사 학위를 받은 김 대표는 시티오브호프병원 베크만연구소의 RNAi(RNA간섭) 센터에서 4년간 센터장을 지냈다. RNAi 기술로 미국에서 창업한 셀루넥스는 2년 만인 2006년 나스닥 상장사에 매각했다. 김 대표는 RNAi 기술을 세계 최초의 RNAi 치료제를 개발한 앨라일람, 다이서나 등에 각각 2004년과 2005년 기술수출하기도 했다. 한국에서 설립해 2015년 코넥스에 상장한 제놀루션은 지난해 매각했다.
한민수 한경닷컴 기자 hms@hankyung.com
최근 서울 송파구 본사에서 만난 김동호 엔에이백신연구소 대표의 말이다. 올 2월 설립 이후 6개월 만인 지난 8월 총 70억원의 자금을 유치했다. 벤처캐피털 등을 통해 40억원을 투자받았고, 기술보증기금으로부터 프런티어벤처기업으로 선정돼 30억원을 지원받게 됐다.
◆“세계 첫 비강흡입 백신 개발할 것”
엔에이백신연구소는 백신 아쥬반트(보강제) 개발에 경쟁력을 가지고 있다. 아쥬반트는 백신의 효과를 강력하게 만드는 물질이다. 백신은 약화된 질환 유발물질(항원) 등을 넣어 면역반응을 통해 몸 안에 대응체계를 만드는 의약품이다. 예방백신과 치료백신 등이 있다. 김 대표는 “백신이 비싼 것은 면역반응을 이끌어낼 항원을 만드는 것이 어렵고, 생산설비가 비싸기 때문”이라고 했다.
기존 기술은 항원을 만들고 백신을 생산하는 데 최소 6개월이 필요하다. 그는 “기존에 알려진 항원을 아쥬반트에 붙여 생산기간을 1개월 이내로 단축했다”며 “현재 연간 20만 도즈(20만 명 투약분)를 생산할 수 있다”고 했다.
기존 백신은 냉장보관이 기본이다. 주사제이기 때문에 주사기와 의료인력도 있어야 한다. 반면 이 회사의 백신은 상온 보관이 가능하다. 천식 치료제처럼 코에 분사하는 방식이어서 의사나 간호사도 필요 없다. 이 때문에 전기가 들어오지 않는 오지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김 대표는 “코 점막에 있는 면역세포들이 반응해 체내 면역을 유도하기 때문에 비강 흡입으로도 효과를 볼 수 있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비강 흡입형 백신이 개발되면 세계 최초다.
◆“동물백신 개발도 기대”
엔에이백신연구소는 면역증가제와 예방백신 및 암백신, 동물용 백신 등을 개발할 계획이다. 올해 5종의 전임상을 진행하고, 내년 최소 3종에 대한 임상 1상을 목표하고 있다. 김 대표는 “프랑스 세픽에 동물용 백신 수출을 추진하고 있다”며 “흡입형 제품에 대한 검증은 끝난 상태”라고 말했다. 연간 최소 50억원 이상의 공급계약을 기대 중이다.
엔에이백신연구소는 동물백신 사업부문을 분사할 예정이다. 연 1000만 도즈 규모의 생산공장 설립도 계획하고 있다. 김 대표는 “인간 예방백신, 면역항암제, 만성피로증후군 등 분야별로 사업을 분사해 유연한 조직체계를 갖추려는 것”이라고 했다.
후보물질 2개 이상이 임상 2상 단계에 있을 2021년께 기업공개(IPO)도 고려 중이다. 미국 텍사스대에서 분자생물학 박사 학위를 받은 김 대표는 시티오브호프병원 베크만연구소의 RNAi(RNA간섭) 센터에서 4년간 센터장을 지냈다. RNAi 기술로 미국에서 창업한 셀루넥스는 2년 만인 2006년 나스닥 상장사에 매각했다. 김 대표는 RNAi 기술을 세계 최초의 RNAi 치료제를 개발한 앨라일람, 다이서나 등에 각각 2004년과 2005년 기술수출하기도 했다. 한국에서 설립해 2015년 코넥스에 상장한 제놀루션은 지난해 매각했다.
한민수 한경닷컴 기자 hm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