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당, 서울시 국감서 '교통공사 채용특혜 의혹' 총공세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SH공사·서울시의회 채용의혹 새로 제기
한국당, '신적폐' 규정…민주당 "가짜뉴스 많다" 엄호 22일 서울시청에서 진행된 국회 국토교통위원회의 서울시 국정감사에선 야3당이 서울 지하철 1∼8호선을 운영하는 서울교통공사 채용 특혜 의혹을 두고 총공세를 펼쳤다.
국감에선 서울교통공사뿐 아니라 서울토지주택공사(SH공사), 서울시의회 관련 채용 특혜 의혹도 새롭게 제기됐다.
자유한국당 의원들은 국감 시작부터 서울교통공사가 올 3월 진행한 '가족 재직 현황' 조사 등에 대한 자료 요청을 쏟아내며 서울시를 압박했다.
이번 사건을 '신적폐'로 규정하기도 했다.
이현재 의원은 "교통공사가 채용 비리 관련 직원 조사를 했다는데 응답률 99.8%가 맞는지 아니면 11.2%가 맞는지, 전체 친인척 채용이 몇 명인지, 정규직 전환 인원은 어떻게 되는지, 이와 관련한 향후 정원 감축 계획이 있는지를 밝혀달라"고 말했다.
이 의원은 "직원 10명 중 1명이 친인척이라는 게 정상적 공기업의 채용형태냐"고 몰아세우며 "적자가 5천억원인 공기업의 직원 평균 연봉이 6천791만원인데, 이렇게 해서 경영 정상화가 어떻게 이뤄지겠나"라고 비판했다.
교통공사의 영업이익 적자는 2015년 3천454억, 2016년 3천306억원, 2017년 5천220억원으로 늘었고, 올해 6월까지 영업적자는 2천596억원이다.
이에 김태호 서울교통공사 사장은 "적자 중 3천600억원 이상이 무임승차로 인한 적자"라고 설명했다.
무기계약직의 정규직 전환으로 청년 일자리가 줄어든 게 아니냐는 지적에는 "정규직 전환에 따라 교통공사 정원이 1천632명이 늘어났다"고 설명했다. 한국당 민경욱 의원은 SH공사와 관련한 채용 특혜 의혹도 제기하며 "전(前) 인사처장의 배우자, 현(現) 비서실장 친척 배우자, 비서실장의 친척 이런 분들이 SH공사 무기계약직에서 정규직으로 전환된 사실이 있느냐"며 "처장 한 분이 퇴직 후에 SH 리츠회사 본부장으로 재직했다는 의혹과 관련해서도 현황 자료를 제출해달라"고 요구했다.
민 의원은 "(무기계약직에서 정규직으로 전환된)
SH공사 직원 중 친인척 채용 의혹이 있다고 제가 9명을 찍었는데 이 중 6명이 실제 친인척인 것으로 확인됐다"며 "나머지 3명은 퇴직 직원이라 확인이 안 된다는데, 더 확인을 해보면 될 것 같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공공기관·공기업 직원 친인척들이
비정규직으로 쉽게 들어왔다가 정규직으로 전환하는 것이 구조적으로 자행됐다"며 "전수조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국당 김석기 의원은 "민주당 출신 전직 시의원 부인들이 서울시의회 개방형 공무원 직위에 들어온 사례가 여러 건 제보됐다"며 "시의회 개방형 직위에 전직 민주당, 열린우리당 시의원 출신 부인이 줄줄이 채용돼 근무하는 게 우연인가"라고 의혹을 제기했다.
김 의원은 현직 입법담당관(4급)의 남편이 전직
시의원이며, 전직 입법담당관(4급) 지모 씨의 남편
역시 전 시의원이라고 주장했다.
또 전직 입법조사관(6급) 이모 씨 남편 역시 시의원 출신이라고 밝혔다. 여당은 서울교통공사 의혹과 관련한 '가짜뉴스'가 많다며 박원순 시장과 서울시를 엄호했다.
더불어민주당 이후삼 의원은 "안전문제가 흑자냐 적자냐 논리로 진행되는 게 참 안타깝다"며 "식당 직원, 목욕탕 직원의 정규직화가 안전문제와 관련이 없다고 하지만, 직원들이 휴식하고 편안하게 쉴 공간을 마련하는 게 안전문제와 왜 관련이 없냐"고 지적했다.
같은 당 이규희 의원은 "먼저 입사하신 직원이 있고 친인척이 나중에 입사하는 건데, 이렇게 따지면 가족 비율이 5.6%로 낮아진다"며 "각각 입사했다가
사내커플이 된 경우도 빼야 한다"고 말했다.
황희 의원도 "무기계약직에서 정규직으로 전환된 직원 중 사내에 가족이 있는 경우가 전체 직원 1만7천54명 중 0.6%인데 마치 어마어마하게 채용을
한 것처럼 말한다"고 지적했다. 박원순 시장은 "우리나라에는 비정규직이 너무 많아 신분상 불안 때문에 삶을 제대로 설계하지 못한다"며 "일자리 자체보다 질도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비정규직의 정규직화 과정에서 불법이나 비리가 있어서는 안 된다고 생각하지만, 정규직화 자체는 중요한 화두이기 때문에 계속해서 진행해야 한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한국당, '신적폐' 규정…민주당 "가짜뉴스 많다" 엄호 22일 서울시청에서 진행된 국회 국토교통위원회의 서울시 국정감사에선 야3당이 서울 지하철 1∼8호선을 운영하는 서울교통공사 채용 특혜 의혹을 두고 총공세를 펼쳤다.
국감에선 서울교통공사뿐 아니라 서울토지주택공사(SH공사), 서울시의회 관련 채용 특혜 의혹도 새롭게 제기됐다.
자유한국당 의원들은 국감 시작부터 서울교통공사가 올 3월 진행한 '가족 재직 현황' 조사 등에 대한 자료 요청을 쏟아내며 서울시를 압박했다.
이번 사건을 '신적폐'로 규정하기도 했다.
이현재 의원은 "교통공사가 채용 비리 관련 직원 조사를 했다는데 응답률 99.8%가 맞는지 아니면 11.2%가 맞는지, 전체 친인척 채용이 몇 명인지, 정규직 전환 인원은 어떻게 되는지, 이와 관련한 향후 정원 감축 계획이 있는지를 밝혀달라"고 말했다.
이 의원은 "직원 10명 중 1명이 친인척이라는 게 정상적 공기업의 채용형태냐"고 몰아세우며 "적자가 5천억원인 공기업의 직원 평균 연봉이 6천791만원인데, 이렇게 해서 경영 정상화가 어떻게 이뤄지겠나"라고 비판했다.
교통공사의 영업이익 적자는 2015년 3천454억, 2016년 3천306억원, 2017년 5천220억원으로 늘었고, 올해 6월까지 영업적자는 2천596억원이다.
이에 김태호 서울교통공사 사장은 "적자 중 3천600억원 이상이 무임승차로 인한 적자"라고 설명했다.
무기계약직의 정규직 전환으로 청년 일자리가 줄어든 게 아니냐는 지적에는 "정규직 전환에 따라 교통공사 정원이 1천632명이 늘어났다"고 설명했다. 한국당 민경욱 의원은 SH공사와 관련한 채용 특혜 의혹도 제기하며 "전(前) 인사처장의 배우자, 현(現) 비서실장 친척 배우자, 비서실장의 친척 이런 분들이 SH공사 무기계약직에서 정규직으로 전환된 사실이 있느냐"며 "처장 한 분이 퇴직 후에 SH 리츠회사 본부장으로 재직했다는 의혹과 관련해서도 현황 자료를 제출해달라"고 요구했다.
민 의원은 "(무기계약직에서 정규직으로 전환된)
SH공사 직원 중 친인척 채용 의혹이 있다고 제가 9명을 찍었는데 이 중 6명이 실제 친인척인 것으로 확인됐다"며 "나머지 3명은 퇴직 직원이라 확인이 안 된다는데, 더 확인을 해보면 될 것 같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공공기관·공기업 직원 친인척들이
비정규직으로 쉽게 들어왔다가 정규직으로 전환하는 것이 구조적으로 자행됐다"며 "전수조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국당 김석기 의원은 "민주당 출신 전직 시의원 부인들이 서울시의회 개방형 공무원 직위에 들어온 사례가 여러 건 제보됐다"며 "시의회 개방형 직위에 전직 민주당, 열린우리당 시의원 출신 부인이 줄줄이 채용돼 근무하는 게 우연인가"라고 의혹을 제기했다.
김 의원은 현직 입법담당관(4급)의 남편이 전직
시의원이며, 전직 입법담당관(4급) 지모 씨의 남편
역시 전 시의원이라고 주장했다.
또 전직 입법조사관(6급) 이모 씨 남편 역시 시의원 출신이라고 밝혔다. 여당은 서울교통공사 의혹과 관련한 '가짜뉴스'가 많다며 박원순 시장과 서울시를 엄호했다.
더불어민주당 이후삼 의원은 "안전문제가 흑자냐 적자냐 논리로 진행되는 게 참 안타깝다"며 "식당 직원, 목욕탕 직원의 정규직화가 안전문제와 관련이 없다고 하지만, 직원들이 휴식하고 편안하게 쉴 공간을 마련하는 게 안전문제와 왜 관련이 없냐"고 지적했다.
같은 당 이규희 의원은 "먼저 입사하신 직원이 있고 친인척이 나중에 입사하는 건데, 이렇게 따지면 가족 비율이 5.6%로 낮아진다"며 "각각 입사했다가
사내커플이 된 경우도 빼야 한다"고 말했다.
황희 의원도 "무기계약직에서 정규직으로 전환된 직원 중 사내에 가족이 있는 경우가 전체 직원 1만7천54명 중 0.6%인데 마치 어마어마하게 채용을
한 것처럼 말한다"고 지적했다. 박원순 시장은 "우리나라에는 비정규직이 너무 많아 신분상 불안 때문에 삶을 제대로 설계하지 못한다"며 "일자리 자체보다 질도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비정규직의 정규직화 과정에서 불법이나 비리가 있어서는 안 된다고 생각하지만, 정규직화 자체는 중요한 화두이기 때문에 계속해서 진행해야 한다"고 밝혔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