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연 "가계소득 늘어도 소비는 주춤…미래 불안 탓"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지난 14년간 가계의 소비 성향이 바뀌면서 소득 증가와 비교해 소비 비중이 점점 낮아지고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한경연)은 22일 2003년부터 2016년까지 가계동향 자료 분석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한경연에 따르면 2003∼2016년 가구의 평균 소득은 263만원에서 440만원으로 67.2% 증가했다.
이 가운데 공과금 등 비소비지출을 제외한 처분가능소득은 평균 218만원에서 359만원으로 64.3% 늘었으나 소비지출은 170만원에서 255만원으로 50.0% 증가하는 데 그쳤다.
이처럼 처분가능소득보다 소비지출의 증가가 더딘 현상은 2011년부터 더욱 두드러졌다.
전년 대비 처분가능소득·소비지출의 증가율은 2011년 5.5%·4.6%, 2012년 6.4%·2.7%, 2013년 1.9%·0.9%, 2014년 3.5%·2.8%, 2015년 1.9%·0.5%, 2016년 0.7%·-0.5%로 모두 처분가능소득 증가율이 소비지출 증가율을 웃돌았다. 소득분위별로는 저소득층일수록 소득 증가에 따른 소비의 증가가 더딘 것으로 나타났다.
2003∼2016년 1분위의 처분가능소득이 58.8% 증가하는 동안 소비는 38.1% 늘어난 반면 5분위는 처분가능소득 64.5% 증가하는 사이 소비지출이 52.7% 늘었다.
이에 따라 처분가능소득 중 소비지출의 비중인 평균소비성향은 전체적으로 2003년 77.9%에서 2016년 71.1%로 줄었다.
한경연은 "소비 성향이 변화하지 않았다고 가정할 때 1분위 소비지출은 2003년 92만원에서 2016년 146만원으로 54만원 증가했어야 하지만, 소비 성향 변화에 따라 35만원 늘어나는 데 그치면서 증가 예상분의 35.2%(19만원)가 사라진 셈"이라고 설명했다.
이런 방식으로 계산했을 때 5분위의 경우 소비 성향 변화로 인해 잠식된 소비는 18.4%(31만원)로 1분위보다 그 폭이 작았다. 2003∼2016년 소비지출을 부문별로 보면 가정용품·가사서비스, 보건의료, 주거·수도·광열 부문이 크게 증가했고 전체 소비지출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높아졌다.
반대로 통신비, 식료품, 의류·신발 등은 소비가 더디게 늘어 구성비가 낮아졌다.
한경연은 이를 근거로 소비 증가 둔화에 고령화 및 주거비 상승에 따른 미래 불안이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했다.
추광호 한경연 일자리전략실장은 "소득 증가에 비해 소비 증가 폭이 작게 나타난 것은 소비 성향 하락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며 "가계의 소비를 진작할 수 있는 정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한경연)은 22일 2003년부터 2016년까지 가계동향 자료 분석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한경연에 따르면 2003∼2016년 가구의 평균 소득은 263만원에서 440만원으로 67.2% 증가했다.
이 가운데 공과금 등 비소비지출을 제외한 처분가능소득은 평균 218만원에서 359만원으로 64.3% 늘었으나 소비지출은 170만원에서 255만원으로 50.0% 증가하는 데 그쳤다.
이처럼 처분가능소득보다 소비지출의 증가가 더딘 현상은 2011년부터 더욱 두드러졌다.
전년 대비 처분가능소득·소비지출의 증가율은 2011년 5.5%·4.6%, 2012년 6.4%·2.7%, 2013년 1.9%·0.9%, 2014년 3.5%·2.8%, 2015년 1.9%·0.5%, 2016년 0.7%·-0.5%로 모두 처분가능소득 증가율이 소비지출 증가율을 웃돌았다. 소득분위별로는 저소득층일수록 소득 증가에 따른 소비의 증가가 더딘 것으로 나타났다.
2003∼2016년 1분위의 처분가능소득이 58.8% 증가하는 동안 소비는 38.1% 늘어난 반면 5분위는 처분가능소득 64.5% 증가하는 사이 소비지출이 52.7% 늘었다.
이에 따라 처분가능소득 중 소비지출의 비중인 평균소비성향은 전체적으로 2003년 77.9%에서 2016년 71.1%로 줄었다.
한경연은 "소비 성향이 변화하지 않았다고 가정할 때 1분위 소비지출은 2003년 92만원에서 2016년 146만원으로 54만원 증가했어야 하지만, 소비 성향 변화에 따라 35만원 늘어나는 데 그치면서 증가 예상분의 35.2%(19만원)가 사라진 셈"이라고 설명했다.
이런 방식으로 계산했을 때 5분위의 경우 소비 성향 변화로 인해 잠식된 소비는 18.4%(31만원)로 1분위보다 그 폭이 작았다. 2003∼2016년 소비지출을 부문별로 보면 가정용품·가사서비스, 보건의료, 주거·수도·광열 부문이 크게 증가했고 전체 소비지출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높아졌다.
반대로 통신비, 식료품, 의류·신발 등은 소비가 더디게 늘어 구성비가 낮아졌다.
한경연은 이를 근거로 소비 증가 둔화에 고령화 및 주거비 상승에 따른 미래 불안이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했다.
추광호 한경연 일자리전략실장은 "소득 증가에 비해 소비 증가 폭이 작게 나타난 것은 소비 성향 하락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며 "가계의 소비를 진작할 수 있는 정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