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생산자물가지수가 5년1개월만에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전력 가스 수도에 농산물 가격 오른 데 따른 여파다.

23일 한국은행은 '2018년 9월 생산자물가지수(PPI)'를 발표했다. 지난달 생산자물가지수는 105.78로 한 달 전보다 0.3% 올랐다. 이는 2016년11월 이후 23개월 연속 상승세로, 2013년 8월 105.81 이후 최고치다. 전년에 비해서는 2.7% 상승했다.

PPI는 기업 간 원재료 등을 대량으로 거래할 때 형성된 가격변동을 측정하는 지표로, 보통 소비자물가지수(CPI)에 1~2개월 정도 선행하는 게 특징이다.

전력 가스 및 수도와 농림수산물이 생산자물가 상승세를 이끌었다. 7~8월 누진세 인하가 9월 정상적인 수준으로 환원되면서 전력 가스 및 수도는 전월보다 1.5% 올랐다.

농림수산품도 8월 대비 1.5% 상승했다. 일부 품목은 폭염 영향을 지속적으로 받았고, 추석 성수품 수요증가가 맞물린 데 따른 결과다. 농림수산품 지수는 136.57로 관련 통계를 작성한 2010년 이후 최고치다. 농산물 중에서는 토마토와 피망, 상추가 각각 96.7%, 92.6%, 76.0% 뛰었다. 수산물 중에서는 가자미(21.2%), 우럭(20.6%)이 눈에 띈 상승세를 나타냈다.

국제유가 상승으로 석탄 및 석유제품이 오르면서 공산품도 0.3% 상승했다. 석탄 및 석유 제품 중에선 경유가 6.6%, 휘발유가 5.7%, 나프타와 등유가 5.5%씩 올랐다.

서비스물가는 금융 및 보험의 상승으로 전월대비 0.1% 올랐다. 수입품까지 포함해 상품, 서비스 가격 변동을 측정한 국내공급물가지수는 102.37로 한 달 전보다 0.2% 올랐다.

국내 출하에 수출품까지 더해 측정한 총 산출물 물가지수는 101.90으로 0.3% 상승했다. 해당 지수는 국내 생산품의 전반적인 가격 변동을 파악하는 데 활용된다.

한경닷컴 뉴스룸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