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협동조합,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맞춰 체질 개선해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중소협동조합 '제2 도약'
인터뷰 - 박성택 중소기업중앙회장
"IoT 원천기술 보유업체 등
새 기준으로 협동조합 결성을"
인터뷰 - 박성택 중소기업중앙회장
"IoT 원천기술 보유업체 등
새 기준으로 협동조합 결성을"
“다양한 업종 간 융·복합이 빠른 속도로 일어나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맞춰 중소기업협동조합의 체질을 근본적으로 바꿔야 한다.”
박성택 중소기업중앙회 회장(사진)의 말이다. 중소기업협동조합은 1962년 제정한 중소기업협동조합법에 따라 중소기업들이 자발적으로 설립한 조직이다. 박 회장은 “협동조합은 지난 57년간 산업화시대 경제발전의 첨병 역할을 했다”고 평가했다. “정부의 산업정책을 중소기업에 전파하거나 현장의 애로를 정부에 전달하는 가교 역할을 수행하고 원·부자재 공동구매 등 공동사업을 통해 중소기업과 경제 발전에 기여했다”는 것이다.
하지만 “정보통신기술(ICT)의 발달로 정부와 중소기업의 소통 채널이 다양해지고 시공간 제약이 없는 글로벌 시장 중심으로 유통 환경이 변함에 따라 협동조합의 역할도 바뀌어야 할 때”라고 그는 진단했다.
박 회장은 “협동조합이 더 입체적이고 다양한 비즈니스 모델을 발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예컨대 목제가구 제조업자, 슈퍼마켓 소매업 등 전통적인 업종별로 결성된 조합에서 벗어나 사물인터넷(IoT) 원천기술 보유업체, 디자인업체 등 새로운 업종과 분류 기준으로 협동조합을 결성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래야 민간시장에서도 이길 경쟁력을 갖출 수 있다”고 그는 말했다. 또 “동일업종 협동조합은 물론 이(異)업종, 전·후방 산업 중소기업이 자유롭게 협업하고 공동사업을 추진하는 창조적인 경쟁력을 갖춰야 한다”고 했다.
그간 협동조합이 정부 지원사업에 안주한 채 새로운 사업 발굴에 적극적이지 않았다는 지적에 대해선 “협동조합의 핵심 역량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말했다. “협동조합 임직원이 중소기업이 필요로 하는 공동사업을 발굴·사업화할 역량을 갖추도록 지속적으로 교육하고 다양한 사업 참여 기회를 줘야 한다”고 제안했다.
정부는 2015년 ‘협동조합 활성화 추진 계획’을 수립·추진해왔다. 하지만 아직 그 효과가 나타나지 않고 있다는 분석이다.
이에 대해 박 회장은 “중소벤처기업부에 중소기업협동조합 전담부서가 없어 협동조합 정책을 제대로 이행하기 어려운 게 현실”이라며 “전담부서를 설치해 중·장기 정책방향을 수립하고 정책을 중단 없이 이행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협동조합 임직원 교육도 강화해 역량 강화에 힘써야 한다”고 했다.
중소기업중앙회는 협동조합 기능 활성화 등을 위해 중소기업협동조합법 개정을 추진, 지난달 14일부터 시행됐다. 박 회장은 “법률 개정을 통해 중소기업협동조합 종합 실태조사와 체계적인 통계자료 축적, 행정 편의를 위한 전자보고 등이 가능해졌다”며 “‘중소기업협동조합 활성화 3개년 추진계획’ 등 정부 정책의 실효성과 이행력이 높아질 것”으로 기대했다.
전설리 기자 sljun@hankyung.com
박성택 중소기업중앙회 회장(사진)의 말이다. 중소기업협동조합은 1962년 제정한 중소기업협동조합법에 따라 중소기업들이 자발적으로 설립한 조직이다. 박 회장은 “협동조합은 지난 57년간 산업화시대 경제발전의 첨병 역할을 했다”고 평가했다. “정부의 산업정책을 중소기업에 전파하거나 현장의 애로를 정부에 전달하는 가교 역할을 수행하고 원·부자재 공동구매 등 공동사업을 통해 중소기업과 경제 발전에 기여했다”는 것이다.
하지만 “정보통신기술(ICT)의 발달로 정부와 중소기업의 소통 채널이 다양해지고 시공간 제약이 없는 글로벌 시장 중심으로 유통 환경이 변함에 따라 협동조합의 역할도 바뀌어야 할 때”라고 그는 진단했다.
박 회장은 “협동조합이 더 입체적이고 다양한 비즈니스 모델을 발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예컨대 목제가구 제조업자, 슈퍼마켓 소매업 등 전통적인 업종별로 결성된 조합에서 벗어나 사물인터넷(IoT) 원천기술 보유업체, 디자인업체 등 새로운 업종과 분류 기준으로 협동조합을 결성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래야 민간시장에서도 이길 경쟁력을 갖출 수 있다”고 그는 말했다. 또 “동일업종 협동조합은 물론 이(異)업종, 전·후방 산업 중소기업이 자유롭게 협업하고 공동사업을 추진하는 창조적인 경쟁력을 갖춰야 한다”고 했다.
그간 협동조합이 정부 지원사업에 안주한 채 새로운 사업 발굴에 적극적이지 않았다는 지적에 대해선 “협동조합의 핵심 역량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말했다. “협동조합 임직원이 중소기업이 필요로 하는 공동사업을 발굴·사업화할 역량을 갖추도록 지속적으로 교육하고 다양한 사업 참여 기회를 줘야 한다”고 제안했다.
정부는 2015년 ‘협동조합 활성화 추진 계획’을 수립·추진해왔다. 하지만 아직 그 효과가 나타나지 않고 있다는 분석이다.
이에 대해 박 회장은 “중소벤처기업부에 중소기업협동조합 전담부서가 없어 협동조합 정책을 제대로 이행하기 어려운 게 현실”이라며 “전담부서를 설치해 중·장기 정책방향을 수립하고 정책을 중단 없이 이행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협동조합 임직원 교육도 강화해 역량 강화에 힘써야 한다”고 했다.
중소기업중앙회는 협동조합 기능 활성화 등을 위해 중소기업협동조합법 개정을 추진, 지난달 14일부터 시행됐다. 박 회장은 “법률 개정을 통해 중소기업협동조합 종합 실태조사와 체계적인 통계자료 축적, 행정 편의를 위한 전자보고 등이 가능해졌다”며 “‘중소기업협동조합 활성화 3개년 추진계획’ 등 정부 정책의 실효성과 이행력이 높아질 것”으로 기대했다.
전설리 기자 slju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