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기부·삼성전자, 중소·중견기업에 스마트공장 보급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삼성전자, 2022년까지 500억원 출연…판로지원에도 100억원
정부와 경제단체, 대기업이 힘을 합쳐 중소·중견기업에 스마트공장을 보급한다.
중소벤처기업부는 24일 서울 코엑스에서 개최된 '스마트비즈엑스포 2018'에서 삼성전자, 중소기업중앙회와 '스마트공장 상생협약'을 체결했다.
이들 3곳은 이번 상생협약을 통해 앞으로 중소·중견기업에 스마트공장을 보급하는 데 힘을 모으기로 했다.
중기부는 상생형 스마트공장 보급 정책을 지원하고 스마트공장 확산 재원을 출연한다.
중소기업중앙회는 수요기업을 발굴, 구축하면서 비용의 집행, 관리를 맡기로 했다.
구축 컨설팅, 구축기업 판로 지원, 역량 강화 지원 등도 공동으로 수행한다.
삼성전자는 스마트공장 보급에 2022년까지 모두 500억원을 출연하고 스마트공장 솔루션·공정시뮬레이션·자동화 컨설팅도 지원한다.
특히 판로 지원에 2022년까지 100억원을 출연하고, 역량 강화 교육과 기술 지원도 한다.
중기부는 더불어 성장하는 상생 협력 문화를 확산하기 위해 '상생형 스마트공장 플랫폼'을 구축했다.
상생형 스마트공장 플랫폼은 대기업이 중소기업을 지원하면 정부도 함께 지원한다는 원칙에 따라 만든 것으로 올해 정부, 대기업, 중소기업의 지원 비율은 3 대 3 대 4다.
상생형 플랫폼을 활용하면 스마트공장 지원성과를 높일 수 있다는 인식이 확산하면서 대기업의 참여 문의가 증가 중이라고 중기부는 밝혔다.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협력하면 정부가 후원하는 상생형 사업은 스마트공장뿐만 아니라 벤처투자, 연구개발(R&D), 인력양성으로 확대되고 있다.
정부는 상생 협력 문화를 기반으로 대·중·소 기업이 함께 협력하고 성장하는 개방형 혁신 생태계 구축을 위해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앞으로도 상생 협력 문화를 대기업에서 공공기관, 출연연구원으로 확산하고 산학연이 협력하는 분위기를 조성해 개방형 혁신 분위기를 만들어갈 예정이다.
이날 또 스마트공장을 운영하는 기업 간 성공사례와 애로사항을 공유하는 기업 간담회도 열렸다.
홍종학 장관은 "스마트공장 보급 성과를 높이기 위해 민간이 주도하는 스마트공장 보급 방식을 배울 필요가 있다"며 "내년부터는 중기부도 스마트공장 구축기업이 멘토링을 원할 경우 대기업 퇴직 인력 등을 3∼6개월 정도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홍 장관은 "대기업들은 이미 우수한 기술력을 갖고 있으니 이를 중소기업에 전달하면 중소기업도 대기업처럼 세계 최고의 기술력을 가질 수 있을 것"이라며 "민간이 주도하고 정부가 뒷받침해 지원하는 방식이 중소기업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해 정책을 민간주도형으로 바꾸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개방형 혁신을 위한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생산적인 거래 관계는 지속해서 지원하되 대기업들의 지위 남용 행위는 공정거래위원회 등에서 엄격히 제재하겠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스마트팩토리 사업은 지원금 자체는 크지 않지만, 기술력을 전파한다는 데 의미가 있고, 대기업들이 더 많이 참여한다면 한국의 스마트팩토리사업과 중소기업이 세계를 선도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연합뉴스
중소벤처기업부는 24일 서울 코엑스에서 개최된 '스마트비즈엑스포 2018'에서 삼성전자, 중소기업중앙회와 '스마트공장 상생협약'을 체결했다.
이들 3곳은 이번 상생협약을 통해 앞으로 중소·중견기업에 스마트공장을 보급하는 데 힘을 모으기로 했다.
중기부는 상생형 스마트공장 보급 정책을 지원하고 스마트공장 확산 재원을 출연한다.
중소기업중앙회는 수요기업을 발굴, 구축하면서 비용의 집행, 관리를 맡기로 했다.
구축 컨설팅, 구축기업 판로 지원, 역량 강화 지원 등도 공동으로 수행한다.
삼성전자는 스마트공장 보급에 2022년까지 모두 500억원을 출연하고 스마트공장 솔루션·공정시뮬레이션·자동화 컨설팅도 지원한다.
특히 판로 지원에 2022년까지 100억원을 출연하고, 역량 강화 교육과 기술 지원도 한다.
중기부는 더불어 성장하는 상생 협력 문화를 확산하기 위해 '상생형 스마트공장 플랫폼'을 구축했다.
상생형 스마트공장 플랫폼은 대기업이 중소기업을 지원하면 정부도 함께 지원한다는 원칙에 따라 만든 것으로 올해 정부, 대기업, 중소기업의 지원 비율은 3 대 3 대 4다.
상생형 플랫폼을 활용하면 스마트공장 지원성과를 높일 수 있다는 인식이 확산하면서 대기업의 참여 문의가 증가 중이라고 중기부는 밝혔다.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협력하면 정부가 후원하는 상생형 사업은 스마트공장뿐만 아니라 벤처투자, 연구개발(R&D), 인력양성으로 확대되고 있다.
정부는 상생 협력 문화를 기반으로 대·중·소 기업이 함께 협력하고 성장하는 개방형 혁신 생태계 구축을 위해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앞으로도 상생 협력 문화를 대기업에서 공공기관, 출연연구원으로 확산하고 산학연이 협력하는 분위기를 조성해 개방형 혁신 분위기를 만들어갈 예정이다.
이날 또 스마트공장을 운영하는 기업 간 성공사례와 애로사항을 공유하는 기업 간담회도 열렸다.
홍종학 장관은 "스마트공장 보급 성과를 높이기 위해 민간이 주도하는 스마트공장 보급 방식을 배울 필요가 있다"며 "내년부터는 중기부도 스마트공장 구축기업이 멘토링을 원할 경우 대기업 퇴직 인력 등을 3∼6개월 정도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홍 장관은 "대기업들은 이미 우수한 기술력을 갖고 있으니 이를 중소기업에 전달하면 중소기업도 대기업처럼 세계 최고의 기술력을 가질 수 있을 것"이라며 "민간이 주도하고 정부가 뒷받침해 지원하는 방식이 중소기업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해 정책을 민간주도형으로 바꾸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개방형 혁신을 위한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생산적인 거래 관계는 지속해서 지원하되 대기업들의 지위 남용 행위는 공정거래위원회 등에서 엄격히 제재하겠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스마트팩토리 사업은 지원금 자체는 크지 않지만, 기술력을 전파한다는 데 의미가 있고, 대기업들이 더 많이 참여한다면 한국의 스마트팩토리사업과 중소기업이 세계를 선도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