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성과 규제 사이…갈팡질팡 게임산업
국내 게임산업이 육성과 규제 사이에서 균형을 잃고 있다. 규제를 강화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자, 업계를 중심으로 '무조건 게임탓'이라는 자조 섞인 농담이 유행하고 있다. "긍정적인 가치를 만들어 신뢰를 회복해야 한다"는 자성론도 나온다.

25일 복수의 게임업계 관계자들은 "최근 게임업계 종사자들의 사기가 많이 떨어졌다"며 "우리가 만드는 콘텐츠가 사회에 해악을 끼치는 것처럼 비춰지니 회의감이 드는 게 사실"이라 말했다.

그동안 게임산업은 다양한 비판을 받아왔다. 중독성과 폭력성, 선정성 등이 주된 원인이었지만 최근에는 확률형 아이템에 대한 비난이 거세다. 공정위가 게임사들이 확률과 획득 기간 등의 정보를 허위로 표시했다며 과징금을 부과하자 '게임=도박'이라는 공식이 만들어졌다. 게임을 사행산업으로 분류해 중독예방치유부담금을 내도록 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게임업계는 몸을 낮추고 소극적으로 대응하고 있다. 중견 게임사 간부는 "억울한 면도 많지만 논란을 확산시키지 않기 위해 침묵하고 있다"며 "게임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개선하는 건 정치성향을 바꾸는 것 만큼 어려운 것 같다"고 말했다.

다만 일부 게임사의 일탈을 게임산업 전체의 문제로 몰아가서는 안 된다고 말한다. 대형 게임사 개발 스튜디오 관계자는 ""'청소년들이 게임 중독으로 죽어가고 있다', '게임은 마약과 다르지 않다' 등의 선동은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며 "무분별한 규제와 주홍글씨는 게임산업 전체를 위축시킬 수 있다"고 우려했다.

업계 내부에서는 '자성론'도 적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그동안 게임의 완성도를 높이기 보다 상업성과 수익성에 집중했다는 사실을 부인할 수 없다는 고백이다. 업계 관계자는 "이미지를 바꾸자고 소리쳐도 아무런 소용이 없다. 업계 스스로 긍정적인 가치를 만들어 공감을 이끌어내야 한다"며 "장기적인 발전을 위해 자율규제를 강화할 필요도 있다"고 강조했다.

윤진우 한경닷컴 기자 jiinwoo@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