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한국 경기 둔화를 경고하고 있다. 외환위기 이후 가장 강한 수준이다.

28일 OECD에 따르면 올해 8월 한국의 경기선행지수(CLI)는 전월보다 0.1포인트 내린 99.2를 기록했다. OECD 경기선행지수는 한국은행·통계청 제조업 재고순환지표, 장단기 금리 차, 수출입물가비율, 제조업 경기전망지수, 자본재 재고지수, 코스피 등 6개 지수를 활용해 6∼9개월 뒤 경기 흐름을 예측하는 지표다. 100 이하면 경기 하강을 의미한다.

한국의 경기선행지수는 지난해 3월 101.0을 찍은 후 17개월째 전월 대비로 하락했다. 외환위기 시절과 그 여파가 남았던 1999년 9월~2001년 4월 20개월 연속 전원 대시 하락한 이후 가장 긴 하락 추세다. 특히 지난 4월부터는 100 아래로 떨어진 상태다. 최근 한국 경제 지표가 고르게 악화되고 있으며 성장률 전망치도 떨어져 경제위기론이 부상하는 상황이기에 장기 불황마저 우려되는 부분이다.

다른 경제 지표에서도 한국 경제가 성장을 멈추고 하강으로 돌아섰다는 분석에 무게가 실린다. 한국은행이 발표한 올해 3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은 전분기 대비로 0.6% 증가했다. 1분기 성장률은 1.0%였지만, 2분기 0.6%로 내린 데 이어 3분기도 비슷한 흐름이 이어진 셈이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소비와 투자 등 내수가 성장률을 1.1%포인트 끌어내렸다. 반도체를 중심으로 한 수출이 1.7%포인트를 올렸지만, 반도체 경기가 둔화될 것이라는 분석이 이어져 전망이 밝지 않은 상황이다.

후행지표로 여겨지는 고용은 지난 2월 이후 꾸준히 부진하다. 취업자 증가 폭은 9월까지 8개월 연속 10만명대 이하에 그쳤다. 코스피 지수는 지난 26일 2027.15로 거래를 마치며 작년 1월 2일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

국내외 기관은 올해 한국의 성장률 전망치를 하향 수정하고 있다. 한은은 올해 전망치를 2.9%에서 2.7%로, 국제통화기금(IMF)은 3.0%에서 2.8%로, OECD도 3.0%에서 2.7%로 낮췄다.

정부도 올해 성장률 전망을 작년 12월 3.0%에서 올해 7월 2.9%로 내려 비관적 전망을 공유하고 있다. 김동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지난 25일 국정감사에서 "2.9%의 당초 전망을 지금 달성하기가 쉬운 상황이 아니다"라고 말하기도 했다.

대외 환경도 미중 무역갈등, 유가 상승, 미국 금리 추가 인상 등으로 장기 불황이 우려되는 상황이다. 한은·KDI는 내년 성장률 전망치를 2.7%로 제시했다. IMF와 현대경제연구원은 2.6%, LG경제연구원은 2.5%까지 봤다.

한경닷컴 뉴스룸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