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시장 '11월 리스크'…이란제재·美중간선거·FOMC 등 곳곳 암초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10월 글로벌 증시 폭락 후 더 큰 조정 오나
최대 변수 떠오른 美중간선거
하원 민주·상원 공화당 승리 전망
재정지출 확대·감세 등 정책
의회 협상 난항땐 혼란 우려
中, 이란 제재 동참 '유가 급등'
美, 이란산 원유 금수조치 나서
제재 동참 국가 늘며 공급 차질
인도 등 신흥국경제 타격 입을 것
최대 변수 떠오른 美중간선거
하원 민주·상원 공화당 승리 전망
재정지출 확대·감세 등 정책
의회 협상 난항땐 혼란 우려
中, 이란 제재 동참 '유가 급등'
美, 이란산 원유 금수조치 나서
제재 동참 국가 늘며 공급 차질
인도 등 신흥국경제 타격 입을 것
글로벌 금융시장이 유난히 충격파가 많았던 10월을 보내고 다시 폭풍의 11월을 맞고 있다. 다음달 국제사회의 이란 제재 개시, 미국 중간선거, 미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 이탈리아 예산안 수정 기한, 미·중 정상회담 등 경제와 금융, 정치·외교분야에서 결과를 가늠하기 힘든 굵직한 리스크가 산적해서다.
이들 일정에서 어떤 결과가 나오느냐에 따라 세계 경제의 불확실성이 걷힐 수도, 메가톤급 후폭풍이 불어닥칠 수도 있다. 일각에서는 국제 유가 상승이 물가 상승을 불러오고, 미국 기준금리 인상으로 인한 불황이 겹치면서 세계 경기가 스태그플레이션(불황 속 물가 상승)에 빠지게 될 것이란 우려도 내놓고 있다.
◆중간선거가 최대 변수
전문가들은 11월6일로 예정된 미국 중간선거를 최대 변수로 꼽는다. 하원은 민주당, 상원은 공화당이 승리할 것이라는 예상이 나오는 가운데 중간선거 이후 미국 증시 움직임에 대한 갑론을박이 거세다.
투자은행인 골드만삭스는 “상원은 공화당, 하원은 민주당이 각각 장악할 경우 정치적 불확실성이 더욱 확대되면서 주식과 금융시장에 대혼란을 초래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트럼프 행정부가 강하게 밀어붙이는 재정지출 확대, 감세 등 경기 부양책이 발목 잡힐 가능성이 높다는 설명이다.
반론도 있다. 바이런 빈 블랙스톤 부회장은 “어떤 당이 승리하더라도 중간선거 이후 증시는 상승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역사적으로 중간선거가 있는 해의 4분기 S&P500지수는 평균 8% 올랐다. 매년 4분기 평균 상승률(4%)보다 두 배다. 연말 연초에 주가가 강세를 보이는 산타랠리 현상도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이 무역전쟁을 시작한 뒤 처음 만나는 정상회담(11월29일)도 경기를 좌우할 ‘빅 이벤트’다. 두 정상은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 열리는 주요 20개국(G20) 정상회담에서 회동할 예정이다. 시 주석이 얼마나 양보안을 제시하는가가 회담의 성패를 가를 것으로 보인다. 회담이 성과 없이 종료되고 무역 갈등이 커지면 미국 기업들의 실적이 악화될 가능성도 있다. “정상회담 의제에서 무역 관련 논의를 배제할 수도 있다”(블룸버그)는 관측도 나온다.
◆중국마저 이란 제재 동참
미국이 11월5일부터 재개하는 이란산 원유 금수(禁輸)조치는 국제 유가를 상승시키는 최대 요인으로 꼽힌다. 국제에너지기구(IEA)는 원유 시장 보고서에서 “이란 제재가 장기화되면 석유 공급과 재고가 감소해 글로벌 원유 공급을 심각하게 위협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란 제재에 동참하는 국가가 계속 늘어나면서 국제 유가가 더 빠르게 뛸 것이라는 전망이다. 이란 제재에 동참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됐던 중국까지 원유 수입을 중단하면서다. 이란 원유 수입량이 가장 많은 중국 정부는 지난 26일 국유 석유회사 시노펙, CNPC 등에 원유 수입을 금지시켰다. 이란 제재에 반발했던 유럽도 마찬가지다. 프랑스 토탈사, 스페인 셉사가 이란 원유 수입을 중단했고 이탈리아 사라스스파, 에니스파도 거래량을 줄이고 있다. 이란의 원유 수출량은 지난 4월 하루 280만 배럴이었으나 제재를 앞둔 이달 중순에는 하루 133만 배럴로 줄었다. 런던선물거래소(ICE)의 12월물 브렌트유 가격은 26일 배럴당 76.4달러로, 지난해 같은 날(배럴당 56.97달러)보다 34% 상승했다. 국제 유가 상승은 신흥국 경제에 타격을 주고 있다. 원유 소비량의 80%를 수입에 의존하는 인도 경제가 대표적이다. 인도의 대표 주가지수인 선섹스지수는 두 달 만에 16% 급락했다.
미 FOMC 회의(11월7~8일)의 기준금리 결정도 주목된다. 미 중앙은행(Fed)이 12월 추가 금리 인상을 예고해 11월 회의에서 인상 가능성은 낮다. 제롬 파월 Fed 의장이 통화정책과 관련해 어떤 발언을 내놓을지가 관건이다. JP모간에 따르면 파월 의장은 지난 2월 취임 후 FOMC 회의 기자회견, 의회 발언 등 총 아홉 번 연설했는데 이 중 주가가 다섯 번 떨어져 총 1조5000억달러의 시가총액이 빠졌다. 미국이 금리를 가파르게 올릴 때마다 달러표시 부채 상환 부담이 늘어난 신흥국들의 디폴트(채무불이행) 위험도 커지고 있다.
김형규 기자 khk@hankyung.com
이들 일정에서 어떤 결과가 나오느냐에 따라 세계 경제의 불확실성이 걷힐 수도, 메가톤급 후폭풍이 불어닥칠 수도 있다. 일각에서는 국제 유가 상승이 물가 상승을 불러오고, 미국 기준금리 인상으로 인한 불황이 겹치면서 세계 경기가 스태그플레이션(불황 속 물가 상승)에 빠지게 될 것이란 우려도 내놓고 있다.
◆중간선거가 최대 변수
전문가들은 11월6일로 예정된 미국 중간선거를 최대 변수로 꼽는다. 하원은 민주당, 상원은 공화당이 승리할 것이라는 예상이 나오는 가운데 중간선거 이후 미국 증시 움직임에 대한 갑론을박이 거세다.
투자은행인 골드만삭스는 “상원은 공화당, 하원은 민주당이 각각 장악할 경우 정치적 불확실성이 더욱 확대되면서 주식과 금융시장에 대혼란을 초래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트럼프 행정부가 강하게 밀어붙이는 재정지출 확대, 감세 등 경기 부양책이 발목 잡힐 가능성이 높다는 설명이다.
반론도 있다. 바이런 빈 블랙스톤 부회장은 “어떤 당이 승리하더라도 중간선거 이후 증시는 상승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역사적으로 중간선거가 있는 해의 4분기 S&P500지수는 평균 8% 올랐다. 매년 4분기 평균 상승률(4%)보다 두 배다. 연말 연초에 주가가 강세를 보이는 산타랠리 현상도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이 무역전쟁을 시작한 뒤 처음 만나는 정상회담(11월29일)도 경기를 좌우할 ‘빅 이벤트’다. 두 정상은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 열리는 주요 20개국(G20) 정상회담에서 회동할 예정이다. 시 주석이 얼마나 양보안을 제시하는가가 회담의 성패를 가를 것으로 보인다. 회담이 성과 없이 종료되고 무역 갈등이 커지면 미국 기업들의 실적이 악화될 가능성도 있다. “정상회담 의제에서 무역 관련 논의를 배제할 수도 있다”(블룸버그)는 관측도 나온다.
◆중국마저 이란 제재 동참
미국이 11월5일부터 재개하는 이란산 원유 금수(禁輸)조치는 국제 유가를 상승시키는 최대 요인으로 꼽힌다. 국제에너지기구(IEA)는 원유 시장 보고서에서 “이란 제재가 장기화되면 석유 공급과 재고가 감소해 글로벌 원유 공급을 심각하게 위협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란 제재에 동참하는 국가가 계속 늘어나면서 국제 유가가 더 빠르게 뛸 것이라는 전망이다. 이란 제재에 동참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됐던 중국까지 원유 수입을 중단하면서다. 이란 원유 수입량이 가장 많은 중국 정부는 지난 26일 국유 석유회사 시노펙, CNPC 등에 원유 수입을 금지시켰다. 이란 제재에 반발했던 유럽도 마찬가지다. 프랑스 토탈사, 스페인 셉사가 이란 원유 수입을 중단했고 이탈리아 사라스스파, 에니스파도 거래량을 줄이고 있다. 이란의 원유 수출량은 지난 4월 하루 280만 배럴이었으나 제재를 앞둔 이달 중순에는 하루 133만 배럴로 줄었다. 런던선물거래소(ICE)의 12월물 브렌트유 가격은 26일 배럴당 76.4달러로, 지난해 같은 날(배럴당 56.97달러)보다 34% 상승했다. 국제 유가 상승은 신흥국 경제에 타격을 주고 있다. 원유 소비량의 80%를 수입에 의존하는 인도 경제가 대표적이다. 인도의 대표 주가지수인 선섹스지수는 두 달 만에 16% 급락했다.
미 FOMC 회의(11월7~8일)의 기준금리 결정도 주목된다. 미 중앙은행(Fed)이 12월 추가 금리 인상을 예고해 11월 회의에서 인상 가능성은 낮다. 제롬 파월 Fed 의장이 통화정책과 관련해 어떤 발언을 내놓을지가 관건이다. JP모간에 따르면 파월 의장은 지난 2월 취임 후 FOMC 회의 기자회견, 의회 발언 등 총 아홉 번 연설했는데 이 중 주가가 다섯 번 떨어져 총 1조5000억달러의 시가총액이 빠졌다. 미국이 금리를 가파르게 올릴 때마다 달러표시 부채 상환 부담이 늘어난 신흥국들의 디폴트(채무불이행) 위험도 커지고 있다.
김형규 기자 kh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