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1811/AA.18169634.1.jpg)
안승남 구리시장은 “중앙정부 주도의 일방적인 개발은 많은 문제점을 유발할 수 있는 만큼 지방자치단체와 주민 의견 수렴이 선행돼야 한다”고 말했다. 그동안 공공주택지구 개발 자체를 반대하는 지자체는 많았지만 자체 개발을 이유로 지구 해제를 요청한 것은 구리시가 처음이다.
구리시는 2014년부터 갈매역 주변 92만5000㎡를 상업·유통·업무지구 등으로 조성하는 역세권 개발사업을 추진해왔다. 이후 보궐선거로 시장이 바뀐 뒤 지난해 9월 역세권 개발사업이 돌연 중단됐다. 이때 국토부와 LH는 이 일대 80만㎡를 공공주택지구로 지정했다. 하춘성 주민대책위원장은 “인근에 1만 가구 규모 갈매 택지지구와 2만5000가구 규모의 남양주 별내신도시가 있다”며 “자족기능을 갖추기 위해 상업·유통·업무시설을 건설해야 더 효과적”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구리시 등의 주장이 받아들여질지는 미지수다. 국토부는 지자체와 주민 반대에도 불구하고 공공주택지구 지정을 밀어붙이는 추세다. 지난달 30일에는 경기·인천의 신규 공공주택지구 6곳과 인근 지역을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했다.
최진석 기자 iskr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