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재 국립해양조사원장이 한강하구 공동이용수역 남북 공동수로조사 실시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이동재 국립해양조사원장이 한강하구 공동이용수역 남북 공동수로조사 실시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1953년 정전협정 체결 이후 65년 만에 한강과 임진강하구에 대한 남북 공동수로조사가 시작됐다.

남북 공동조사단은 5일 한강과 임진강하구 공동이용을 위한 수로조사를 개시했다.

군 관계자와 수로 전문가 등이 참여한 공동조사단은 남북 각각 10명으로 구성됐으며 이들은 우리측 선박 6척에 함께 탑승해 한강과 임진강하구의 수로를 조사한다.

수로조사는 음향을 이용해 선박에서 강바닥까지의 깊이를 측정한 후 조석에 의해 시시각각 변화하는 바닷물의 깊이를 측정해 선박이 안전하게 운항할 수 있는 수심을 알아내는 것을 말한다.

남북은 공동조사 과정에서 상대측을 자극하는 발언이나 행동을 하지 않고 폭발물과 각종 무기, 총탄 등을 휴대하지 않기로 합의했다.

앞서 남북은 '9·19 군사합의서'를 통해 한강과 임진강하구의 공동이용을 위해 연말까지 공동 현장조사를 하기로 합의했고 지난달 26일 판문점에서 열린 제10차 장성급 회담에선 이달 초부터 공동 수로 조사를 하기로 의견을 모았다.

남북이 군사합의서를 통해 설정한 한강과 임진강하구 공동이용수역은 남측의 김포반도 동북쪽 끝점에서 교동도 서남쪽 끝점까지, 북측의 개성시 판문군 임한리에서 황해남도 연안군 해남리까지로 길이 70㎞, 면적 280㎢에 이르는 수역이다.

공동조사단은 이날부터 연말까지 전체 공동이용수역을 A, B, C 3개 구역으로 나눠 수로조사를 실시할 예정이다.

남북은 2007년 10월 평양 정상회담 때도 한강과 임진강하구 공동이용에 합의하고 골재채취 사업 등을 추진하기로 했으나 이후 남북관계 경색으로 흐지부지됐다.

정부는 앞으로 이 지역에서 골재채취가 가능해지면 임진강 하류 지역의 수위를 낮춰 수해를 예방하는 한편 수도권 일대에 안정적으로 골재수급이 이뤄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한경닷컴 뉴스룸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