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윤근 주러 대사 "김정은 위원장 러시아 방문 11월 유력"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취임 1주년 인터뷰서 전망…"北, 방러 의제 고민하는 듯"
"푸틴 내년 방한 추진…한-러 FTA 본협상 내년 봄 개시 가능"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11월 중에 러시아를 방문할 가능성이 가장 큰 것으로 보인다고 우윤근 러시아 주재 한국대사가 5일 밝혔다.
우 대사는 대사 취임 1주년(8일)을 앞두고 모스크바 주재 한국 특파원단과 한 인터뷰에서 한반도 비핵화 협상과 연관돼 주목받고 있는 김 위원장의 방러 시기와 관련, 이같이 추정했다.
우 대사는 "아직 러-북 양측이 김 위원장의 방러 시기와 장소 등에 대해 합의하지 못한 것으로 파악된다"면서 다만 여러 가지 정황상 11월 방러가 가장 유력해 보인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러시아 측은 북한에 김 위원장의 올해 안 방러를 요청했고 그렇게 성사되길 기대하고 있지만, 북한 측은 러시아와 어떤 의제로 어떤 합의를 이뤄낼 수 있을지를 고민하면서 시기와 장소를 저울질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이어 "북한 입장에선 김 위원장의 연내 한국 방문 일정도 예정돼 있어 러시아 방문과의 시기 조절 문제도 고민할 것"이라고 관측했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앞서 지난 5월 말 평양을 방문한 세르게이 라브로프 외무장관을 통해 김 위원장이 지난 9월 블라디보스토크 동방경제포럼에 참석하든지 아니면 별도로 러시아를 방문해 달라고 요청한 바 있다.
하지만 아직 김 위원장의 방러는 성사되지 않고 있다.
지난 9월 초 북한 정권수립 70주년 러시아 사절단 대표로 방북했던 발렌티나 마트비옌코 러시아 상원의장은 김 위원장의 방러가 올해 안에 이뤄질 수 있다고 전했다.
우 대사는 김 위원장의 방러 문제와는 별도로 한-러 간에는 푸틴 대통령의 한국 방문이 현안으로 잡혀있다고 소개했다.
그는 "지난 6월 모스크바 한-러 정상회담에서 합의된 푸틴 대통령의 방한을 내년 상반기 중에 성사시키기 위해 올해 말이나 내년 초에 크렘린궁과 본격적으로 협의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우 대사는 또 문재인 대통령과 푸틴 대통령의 모스크바 정상회담 합의 사항 가운데 하나인 한-러 자유무역협정(FTA) 추진 문제도 현재 실무 협상과 준비가 계속되고 있다면서 "내년 봄부터는 서비스·투자 분야를 중심으로 한 FTA 본격 협상이 개시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와 관련, "러시아는 현재 베트남과만 FTA를 체결한 상태로 서비스·투자 분야에 한정된 것이라 하더라도 한국과 FTA를 체결하게 되면 상당한 의미를 갖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우 대사는 한반도 비핵화 협상 진전에 맞물려 남북러 3각 협력 사업으로 자주 거론되는 '나진-하산 프로젝트'의 조기 추진 가능성에 대해 "이 프로젝트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대북 제재 대상에서 제외된 것은 사실이나 대북 제재 완화가 전반적으로 국제사회와의 공조가 필요한 부분이라 한국 정부가 단독으로 나진-하산 사업 추진을 결정하기에는 어려운 면이 있으며 시간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마지막으로 한반도 주변 4강이지만 국내서 자주 평가절하되는 러시아의 중요성에 대한 강조도 잊지 않았다.
우 대사는 "러시아는 남북 관계 진전에 따라 우리에게 대륙 진출의 기회를 제공할 굉장히 중요한 발판이 될 것"이라면서 "문재인 대통령 정부 들어 한-러 신뢰관계가 그 어느 때보다 깊어지고 있는 만큼 러시아의 잠재력을 최대한 활용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연합뉴스
"푸틴 내년 방한 추진…한-러 FTA 본협상 내년 봄 개시 가능"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11월 중에 러시아를 방문할 가능성이 가장 큰 것으로 보인다고 우윤근 러시아 주재 한국대사가 5일 밝혔다.
우 대사는 대사 취임 1주년(8일)을 앞두고 모스크바 주재 한국 특파원단과 한 인터뷰에서 한반도 비핵화 협상과 연관돼 주목받고 있는 김 위원장의 방러 시기와 관련, 이같이 추정했다.
우 대사는 "아직 러-북 양측이 김 위원장의 방러 시기와 장소 등에 대해 합의하지 못한 것으로 파악된다"면서 다만 여러 가지 정황상 11월 방러가 가장 유력해 보인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러시아 측은 북한에 김 위원장의 올해 안 방러를 요청했고 그렇게 성사되길 기대하고 있지만, 북한 측은 러시아와 어떤 의제로 어떤 합의를 이뤄낼 수 있을지를 고민하면서 시기와 장소를 저울질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이어 "북한 입장에선 김 위원장의 연내 한국 방문 일정도 예정돼 있어 러시아 방문과의 시기 조절 문제도 고민할 것"이라고 관측했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앞서 지난 5월 말 평양을 방문한 세르게이 라브로프 외무장관을 통해 김 위원장이 지난 9월 블라디보스토크 동방경제포럼에 참석하든지 아니면 별도로 러시아를 방문해 달라고 요청한 바 있다.
하지만 아직 김 위원장의 방러는 성사되지 않고 있다.
지난 9월 초 북한 정권수립 70주년 러시아 사절단 대표로 방북했던 발렌티나 마트비옌코 러시아 상원의장은 김 위원장의 방러가 올해 안에 이뤄질 수 있다고 전했다.
우 대사는 김 위원장의 방러 문제와는 별도로 한-러 간에는 푸틴 대통령의 한국 방문이 현안으로 잡혀있다고 소개했다.
그는 "지난 6월 모스크바 한-러 정상회담에서 합의된 푸틴 대통령의 방한을 내년 상반기 중에 성사시키기 위해 올해 말이나 내년 초에 크렘린궁과 본격적으로 협의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우 대사는 또 문재인 대통령과 푸틴 대통령의 모스크바 정상회담 합의 사항 가운데 하나인 한-러 자유무역협정(FTA) 추진 문제도 현재 실무 협상과 준비가 계속되고 있다면서 "내년 봄부터는 서비스·투자 분야를 중심으로 한 FTA 본격 협상이 개시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와 관련, "러시아는 현재 베트남과만 FTA를 체결한 상태로 서비스·투자 분야에 한정된 것이라 하더라도 한국과 FTA를 체결하게 되면 상당한 의미를 갖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우 대사는 한반도 비핵화 협상 진전에 맞물려 남북러 3각 협력 사업으로 자주 거론되는 '나진-하산 프로젝트'의 조기 추진 가능성에 대해 "이 프로젝트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대북 제재 대상에서 제외된 것은 사실이나 대북 제재 완화가 전반적으로 국제사회와의 공조가 필요한 부분이라 한국 정부가 단독으로 나진-하산 사업 추진을 결정하기에는 어려운 면이 있으며 시간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마지막으로 한반도 주변 4강이지만 국내서 자주 평가절하되는 러시아의 중요성에 대한 강조도 잊지 않았다.
우 대사는 "러시아는 남북 관계 진전에 따라 우리에게 대륙 진출의 기회를 제공할 굉장히 중요한 발판이 될 것"이라면서 "문재인 대통령 정부 들어 한-러 신뢰관계가 그 어느 때보다 깊어지고 있는 만큼 러시아의 잠재력을 최대한 활용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