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미닉 바튼 전 맥킨지 회장 "인재의 잠재력이 곧 회사의 자산"
“한국 기업들은 인적자본보다 재무적 자본을 중시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조직 내 인재들보다 외부 시장이나 투자자들에게 더 큰 관심을 기울이는 경영을 하죠. 인재 관리 방식이 근본적으로 달라져야 합니다.”

도미닉 바튼 전 맥킨지&컴퍼니 글로벌 회장(사진)은 7일 서울 소공로 더플라자호텔에서 열린 '인재로 승리하라'(행복한북클럽) 출간 기자간담회에서 “인재들의 잠재력을 자산으로 인식해야 한다”며 이렇게 말했다. 램 차란 차란 어소시에이츠 대표, 데니스 캐리 콘페리 부회장과 함께 책을 쓴 바튼 전 회장은 1996년 말부터 2003년까지 맥킨지 한국사무소 대표를 지냈다. 이후 아시아태평양 회장을 거쳐 2009년부터 올 6월까지 글로벌 회장을 맡았다. 현재 서울국제경제자문단(SIBAC) 의장으로도 활동하고 있다.

책은 인재를 중심으로 조직을 디자인한 다양한 기업들의 변화와 성과를 보여준다. 바튼 전 회장은 지난 9년 간 매일 최고경영자(CEO) 2명씩을 만났다. 리더 수천 명과의 대화가 인재 경영의 틀을 제시하는 책의 기반이 됐다. 그는 “그들을 만날 때마다 과거의 자신을 만난다면 무엇을 가르치고 싶냐는 질문을 했다”며 “가장 공통적인 답변은 좋은 인재를 선별하고 기르는데 더 많은 시간을 쓰겠다는 것이었다”고 말했다.

도미닉 바튼 전 맥킨지 회장 "인재의 잠재력이 곧 회사의 자산"
그가 강조하는 것은 조직을 주도하는 핵심 인재 2%를 발굴하고 관리하는 것이다. 나머지 98%는 조직을 유지하는 역할을 하지만 소수의 인재들은 다음 단계로 진화할 수 있도록 이끌기 때문이다. 바튼 전 회장은 “101개 기업을 대상으로 프로젝트를 진행한 결과 기업 별로 평균 50개 정도 직책의 인사들이 내는 매출이 전체의 80%를 차지했다”며 “체계적인 보직을 만들고 그에 맞는 인재를 어떻게 찾고 키우는지가 핵심”이라고 말했다. 2%의 핵심 인재는 고위 임원이 아니라 주로 시니어 팀장급에 포진해 있었다.

그는 교육열이 높은 한국의 인재를 높이 평가했다. 하지만 세계 시장에서도 그 능력을 인정받기위해서는 세계 곳곳에서 다양한 경험을 통해 쌓으려는 노력과 늘 배우고 발전하려는 마음가짐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미래 인재 양성을 위한 교육도 ‘무엇을 아는가’보다 팀웍과 창의성을 키우는 것에 더 중점을 둬야 한다고 조언했다.

4차 산업혁명의 시대, 시장의 빠른 변화 속에서 인재의 중요성은 더 커질 것으로 내다봤다. 바튼 전 회장은 “평균 성과자와 고성과자 간의 차이는 이전보다 더 벌어지고 있다”며 “인재를 생각하는 방식과 조직 설계 방향을 다시 짜야 할 시점”이라고 말했다.

윤정현 기자 hi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