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한이 감염병 확산을 막기 위해 올해 시범적으로 감염병 정보를 교환한다. 말라리아 결핵 등 감염병 치료 등의 협력을 위해 보건분야 회담을 정례화할 계획이다.

통일부는 7일 개성 남북공동연락사무소에서 열린 남북 보건의료협력분과회의를 통해 남북 대표단이 이 같은 내용에 합의했다고 발표했다. 보건의료분야 남북 협력 회담이 열린 것은 ‘10·4선언’ 직후인 2007년 12월 남북보건의료·환경보호협력분과위원회 이후 11년 만이다.

권덕철 보건복지부 차관과 박명수 북한 보건성 국가위생검열원장을 수석대표로 하는 남북 대표단은 이날 “보건의료 협력이 남북 주민의 생명과 건강을 지키기 위한 전제조건”이라는 데 공감했다.

양측은 공동보도문을 통해 “감염병 정보 교환과 대응체계 구축 문제를 협의하고 기술협력 등 필요한 대책을 세우기로 했다”고 밝혔다. 포괄적이고 중장기적인 방역 및 보건의료 협력사업도 추진한다. 회담 직후 권 차관은 “(감염병 관련) 기술교류와 인적교류, 공동 실태 현장방문 등을 생각하고 있다”며 “구체적인 방식은 남북이 협의할 것”이라고 했다. 그는 “약품이나 인적교류는 유엔 제재 대상이 아닌 것으로 알고 있다”고 덧붙였다.

회담에는 남측에서 권 차관과 권준욱 복지부 건강정책국장, 김병대 통일부 인도협력국장이 참석했다. 북측에선 박 원장과 박동철 보건성 부국장, 박철진 조국평화통일위원회 참사가 배석했다.

공동취재단/이지현 기자 bluesk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