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장 교체, 개각·靑 인적개편 이어질까…내년 상반기 거론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집권 3년차 앞두고 원년 멤버 피로도 감안…2020 총선도 염두
경제 투톱인 김동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장하성 청와대 정책실장이 9일 동시에 교체되면서 후속 개각과 청와대 인적 개편 여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문재인정부 3년 차를 앞둔 시점에서 상징성을 띤 정부·청와대의 경제 컨트롤타워가 바뀐 것을 계기로 추가적 인사 개편이 이어질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특히 현역 국회의원이 다수 포진한 내각은 물론 청와대에도 2020년 총선을 염두에 둔 인사들이 적지 않아 중폭 이상의 후속 인사 가능성도 있다는 분석이다.
다만 개각을 통한 2기 내각이 출범한 지 얼마 되지 않았고 청와대 인사도 그때그때 이뤄지는 상황에서 일괄적인 추가 인사 당위성이 아직은 덜하지 않으냐는 지적도 상존한다.
인적 쇄신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가 형성될 경우 그 시점은 21대 총선이 2020년 4월인 점을 감안해 내년 초반 등 상반기가 유력하다는 게 대체적 관측이다.
내각의 경우 현재 장관 자리를 꿰차고 있는 현역 의원들은 상대적으로 시간적 여유가 있지만 차기 입각을 대기 중인 다른 정치인들은 내년 초 개각으로 내각에 자리 잡아야 출마할 여력이 생긴다는 판단이 작용할 수 있다.
현재 현직 장관 중 현역의원 수는 모두 7명이다.
이 중 김부겸 행정안전·도종환 문화체육관광·김영춘 해양수산·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이 원년 멤버다.
작년 6월 임명 이후 1년 5개월이 넘었기에 언제 교체되더라도 명예를 잃지 않고 여의도로 복귀할 여건을 갖춘 이들인 셈이다.
반면 유은혜 부총리 겸 교육·이개호 농림축산식품·진선미 여성가족부 장관은 올해 8∼10월 임명돼 내년 후반기는 돼야 교체 명단에 이름을 올릴 것으로 보인다.
사실상 책임총리 역할을 하며 존재감을 각인시킨 이낙연 총리도 적지 않은 시간 총리직 수행으로 교체될 수 있다는 관측도 있지만 문 대통령과의 '찰떡궁합'에 내각 장악력 등을 감안하면 장수 가능성이 작지 않다는 분석이 나온다.
내년 상반기 청와대 인적 개편설도 꾸준히 나오고 있다.
현 정부 출범 멤버들의 피로도와 내후년 총선 등을 고려하면 교체 시기가 다가왔다는 논리다.
하지만 현재 부여된 업무와 자신의 지역구 상황 등이 제각각이므로 비록 총선 출마 희망자라 하더라도 교체 시기는 다양할 수 있다.
청와대 관계자는 연합뉴스와 통화에서 "원년 멤버의 경우 피로도가 상당한 데다 차기 총선까지 염두에 둔다면 적절한 시점에 내각과 청와대 인사를 할 필요성이 있다"며 "각자 처한 상황이 달라 일률적으로 시점을 얘기할 수는 없다"고 말했다.
초선 경력의 한병도 정무수석과 재선의 백원우 민정비서관, 국회 문을 꾸준히 두드렸던 정태호 일자리수석과 송인배 정무비서관, 조한기 1부속비서관, 권혁기 춘추관장 등이 대표적인 차기 총선 출마 인사로 거명된다.
올해 6월 실시했던 지방선거까지 2010년부터 8년을 내리 구청장을 지낸 김영배 정책조정·김우영 제도개혁·민형배 자치발전 비서관은 총선을 겨냥하고 있지만 청와대 입성이 석 달밖에 되지 않은 케이스이기도 하거니와 구청장을 하면서 지역을 다져놓은 터라 내년 하반기는 되어야 인사 대상에 이름을 올릴 것으로 보인다.
다만 인사검증에 상당한 시간이 걸린다는 점, 개각과 청와대 핵심 인사 교체가 가지는 의미 등을 따져볼 때 그 시기를 예측하기란 현재로선 어렵다는 의견도 있다.
/연합뉴스
문재인정부 3년 차를 앞둔 시점에서 상징성을 띤 정부·청와대의 경제 컨트롤타워가 바뀐 것을 계기로 추가적 인사 개편이 이어질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특히 현역 국회의원이 다수 포진한 내각은 물론 청와대에도 2020년 총선을 염두에 둔 인사들이 적지 않아 중폭 이상의 후속 인사 가능성도 있다는 분석이다.
다만 개각을 통한 2기 내각이 출범한 지 얼마 되지 않았고 청와대 인사도 그때그때 이뤄지는 상황에서 일괄적인 추가 인사 당위성이 아직은 덜하지 않으냐는 지적도 상존한다.
인적 쇄신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가 형성될 경우 그 시점은 21대 총선이 2020년 4월인 점을 감안해 내년 초반 등 상반기가 유력하다는 게 대체적 관측이다.
내각의 경우 현재 장관 자리를 꿰차고 있는 현역 의원들은 상대적으로 시간적 여유가 있지만 차기 입각을 대기 중인 다른 정치인들은 내년 초 개각으로 내각에 자리 잡아야 출마할 여력이 생긴다는 판단이 작용할 수 있다.
현재 현직 장관 중 현역의원 수는 모두 7명이다.
이 중 김부겸 행정안전·도종환 문화체육관광·김영춘 해양수산·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이 원년 멤버다.
작년 6월 임명 이후 1년 5개월이 넘었기에 언제 교체되더라도 명예를 잃지 않고 여의도로 복귀할 여건을 갖춘 이들인 셈이다.
반면 유은혜 부총리 겸 교육·이개호 농림축산식품·진선미 여성가족부 장관은 올해 8∼10월 임명돼 내년 후반기는 돼야 교체 명단에 이름을 올릴 것으로 보인다.
사실상 책임총리 역할을 하며 존재감을 각인시킨 이낙연 총리도 적지 않은 시간 총리직 수행으로 교체될 수 있다는 관측도 있지만 문 대통령과의 '찰떡궁합'에 내각 장악력 등을 감안하면 장수 가능성이 작지 않다는 분석이 나온다.
내년 상반기 청와대 인적 개편설도 꾸준히 나오고 있다.
현 정부 출범 멤버들의 피로도와 내후년 총선 등을 고려하면 교체 시기가 다가왔다는 논리다.
하지만 현재 부여된 업무와 자신의 지역구 상황 등이 제각각이므로 비록 총선 출마 희망자라 하더라도 교체 시기는 다양할 수 있다.
청와대 관계자는 연합뉴스와 통화에서 "원년 멤버의 경우 피로도가 상당한 데다 차기 총선까지 염두에 둔다면 적절한 시점에 내각과 청와대 인사를 할 필요성이 있다"며 "각자 처한 상황이 달라 일률적으로 시점을 얘기할 수는 없다"고 말했다.
초선 경력의 한병도 정무수석과 재선의 백원우 민정비서관, 국회 문을 꾸준히 두드렸던 정태호 일자리수석과 송인배 정무비서관, 조한기 1부속비서관, 권혁기 춘추관장 등이 대표적인 차기 총선 출마 인사로 거명된다.
올해 6월 실시했던 지방선거까지 2010년부터 8년을 내리 구청장을 지낸 김영배 정책조정·김우영 제도개혁·민형배 자치발전 비서관은 총선을 겨냥하고 있지만 청와대 입성이 석 달밖에 되지 않은 케이스이기도 하거니와 구청장을 하면서 지역을 다져놓은 터라 내년 하반기는 되어야 인사 대상에 이름을 올릴 것으로 보인다.
다만 인사검증에 상당한 시간이 걸린다는 점, 개각과 청와대 핵심 인사 교체가 가지는 의미 등을 따져볼 때 그 시기를 예측하기란 현재로선 어렵다는 의견도 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