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아파트값 떨어지나?…매매 거래 5년만에 최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호가 떨어진 아파트 매물 속속 등장
주택산업연구원, 하락장 아닌 조정국면
주택산업연구원, 하락장 아닌 조정국면
정부의 주택시장 안정대책으로 서울 부동산 시장 열기가 급격하게 얼어붙는 모양새다. 몸 값을 낮춘 매물이 속속 등장하고 있지만 아파트값이 더 떨어질 것을 우려해 매매를 하지 않는 분위기가 감지된다.
11일 KB부동산의 주간 주택시장동향에 따르면 5일 기준 서울 매매거래지수는 4.0으로 2013년 8월12일(3.2) 이후 약 5년3개월 만에 가장 낮았다.
지역별로 보면 강북은 2.4, 강남은 6.0이었다. 매매거래지수는 부동산 중개업체 3500여곳을 상대로 주택 거래의 활발함을 설문 조사해 수치화한 것이다. 0∼200 범위에서 거래의 활발함 정도를 나타낸다.
앞서 서울 매매거래지수는 8월27일 65.7까지 올랐다. 지난해 6월 이후 14개월 만에 최고 기록이었다. 당시 집값이 급등하자 두려움을 느낀 사람들이 추격 매수에 나서면서 부동산 거래가 활발하게 이어진 것이다.
하지만 9·13 주택시장 안정 대책이 발표되면서 유주택자의 대출 길이 막혔고 주택 거래도 뜸해졌다. 서울 매매거래지수는 9월3일 61.5에서 17일 22.0, 10월8일 9.8로 보름을 넘길 때마다 반토막 났다.
주택 거래량이 줄면서 집을 파는 사람의 입지도 좁아졌다. 서울의 매수우위지수는 지난 5일 67.2로, 정점을 찍었던 9월 3일의 171.6에서 급전직하했다.
매수자와 매도자 간의 우열을 따지는 매수우위지수는 100을 넘기면 시장에 매수자가 상대적으로 많음을, 100 이하면 매도자가 많다는 의미다. 매수자가 많으면 매도자가 부르는 대로 집값이 형성되는 경향이 강해지며 매도자가 많으면 급매물이 출현한다.
실제로 시장에는 종전 거래가보다 몸값을 낮춘 이른바 매물이 속속 등장하고 있다. 서울 송파구 잠실동의 잠실 5단지는 9월에 19억1000만원에 거래됐지만, 17억2000만원에 매물이 나와 있다.
성동구 옥수동의 어울림 더리버도 9월 14억5000만원에 거래가 성사된 건이 있지만, 현재 고층 매물 가격은 12억5000만원으로 확인됐다.
서울 강남구 대치동 은마아파트 전용 76㎡의 경우 17억원을 밑도는 매물이 등장했다. 지난 9월 최고 18억5000만원에 거래된 것을 생각하면 1억5000만원가량 내린 가격이다.
서초구 반포동 아크로리버파크 전용 84㎡는 지난 9월 최고 31억원에 거래됐지만, 현재 이 가격을 넘어서는 호가를 부른 매물은 없다.
집값이 계속 떨어지고 있지만 매매거래지수는 최저치를 기록한 것이다. 무주택자인 직장인 이모 씨(30)는 "올여름까지만 하더라도 주변에서 부동산 이야기만 했고 집값이 계속 오르니 당장 사야 한다고 했다"며 "지금은 호가가 조금 내렸지만 하락기에 접어들었을까 싶어 살 엄두가 안 난다"고 말했다.
서초구 반포동의 한 공인중개업소 대표는 "거래는 말할 것도 없고 매수 문의도 전혀 없는 상황"이라며 "재건축단지를 시작으로 일반 아파트까지 호가가 차차 떨어질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강남구 개포동의 중개업소 대표는 "다른 곳에 집을 산 뒤 잔금이 급한 집주인이 시세보다 1억원 이상 싼 매물을 내놓으니 거래가 됐다"며 "내년 초까지 이런 급매물을 제외하면 거래가 거의 이뤄지지 않으리라고 본다"고 예상했다.
2주 연속 하락세를 기록한 용산구의 중개업소 대표는 "호가를 7000만원가량 떨어뜨린 매물이 나왔는데도 사려는 사람이 없다"며 "매수 문의가 종종 오긴 하는데 지금은 살 때가 아니라는 생각이 강하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상대적으로 오름세가 덜했던 이른바 '노도강'(노원·도봉·강북)의 일부 아파트는 여전히 실수요 중심의 거래가 있긴 하지만, 이 역시 점차 잦아들 가능성이 크다.
노원구의 한 중개업소 대표는 "다른 지역에 비해 워낙 상승률이 낮았기 때문에 뒤늦게 '키 맞추기'를 하고 있으나 계속 오르긴 어려울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공급과 대출, 세금을 아우르는 9·13대책이 이상 과열된 서울 부동산 시장을 잠재우는 데 성공했다고 평가했다.
다만, 하방 경직성이 강한 부동산 시장의 특성상 '대세 하락장'이 될지는 조금 더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다.
주택산업연구원 김덕례 실장은 "본격적인 하락장은 아니지만, 조정을 받는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김 실장은 "지난해 8·2대책 후에도 집값이 안정됐다가 용산·여의도 통합개발 발언이 나오면서 갑자기 뛰었다"며 "현재는 급증 요인이 많이 제거된 만큼 당분간 조정국면이 이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한경닷컴 뉴스룸 open@hankyung.com
11일 KB부동산의 주간 주택시장동향에 따르면 5일 기준 서울 매매거래지수는 4.0으로 2013년 8월12일(3.2) 이후 약 5년3개월 만에 가장 낮았다.
지역별로 보면 강북은 2.4, 강남은 6.0이었다. 매매거래지수는 부동산 중개업체 3500여곳을 상대로 주택 거래의 활발함을 설문 조사해 수치화한 것이다. 0∼200 범위에서 거래의 활발함 정도를 나타낸다.
앞서 서울 매매거래지수는 8월27일 65.7까지 올랐다. 지난해 6월 이후 14개월 만에 최고 기록이었다. 당시 집값이 급등하자 두려움을 느낀 사람들이 추격 매수에 나서면서 부동산 거래가 활발하게 이어진 것이다.
하지만 9·13 주택시장 안정 대책이 발표되면서 유주택자의 대출 길이 막혔고 주택 거래도 뜸해졌다. 서울 매매거래지수는 9월3일 61.5에서 17일 22.0, 10월8일 9.8로 보름을 넘길 때마다 반토막 났다.
주택 거래량이 줄면서 집을 파는 사람의 입지도 좁아졌다. 서울의 매수우위지수는 지난 5일 67.2로, 정점을 찍었던 9월 3일의 171.6에서 급전직하했다.
매수자와 매도자 간의 우열을 따지는 매수우위지수는 100을 넘기면 시장에 매수자가 상대적으로 많음을, 100 이하면 매도자가 많다는 의미다. 매수자가 많으면 매도자가 부르는 대로 집값이 형성되는 경향이 강해지며 매도자가 많으면 급매물이 출현한다.
실제로 시장에는 종전 거래가보다 몸값을 낮춘 이른바 매물이 속속 등장하고 있다. 서울 송파구 잠실동의 잠실 5단지는 9월에 19억1000만원에 거래됐지만, 17억2000만원에 매물이 나와 있다.
성동구 옥수동의 어울림 더리버도 9월 14억5000만원에 거래가 성사된 건이 있지만, 현재 고층 매물 가격은 12억5000만원으로 확인됐다.
서울 강남구 대치동 은마아파트 전용 76㎡의 경우 17억원을 밑도는 매물이 등장했다. 지난 9월 최고 18억5000만원에 거래된 것을 생각하면 1억5000만원가량 내린 가격이다.
서초구 반포동 아크로리버파크 전용 84㎡는 지난 9월 최고 31억원에 거래됐지만, 현재 이 가격을 넘어서는 호가를 부른 매물은 없다.
집값이 계속 떨어지고 있지만 매매거래지수는 최저치를 기록한 것이다. 무주택자인 직장인 이모 씨(30)는 "올여름까지만 하더라도 주변에서 부동산 이야기만 했고 집값이 계속 오르니 당장 사야 한다고 했다"며 "지금은 호가가 조금 내렸지만 하락기에 접어들었을까 싶어 살 엄두가 안 난다"고 말했다.
서초구 반포동의 한 공인중개업소 대표는 "거래는 말할 것도 없고 매수 문의도 전혀 없는 상황"이라며 "재건축단지를 시작으로 일반 아파트까지 호가가 차차 떨어질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강남구 개포동의 중개업소 대표는 "다른 곳에 집을 산 뒤 잔금이 급한 집주인이 시세보다 1억원 이상 싼 매물을 내놓으니 거래가 됐다"며 "내년 초까지 이런 급매물을 제외하면 거래가 거의 이뤄지지 않으리라고 본다"고 예상했다.
2주 연속 하락세를 기록한 용산구의 중개업소 대표는 "호가를 7000만원가량 떨어뜨린 매물이 나왔는데도 사려는 사람이 없다"며 "매수 문의가 종종 오긴 하는데 지금은 살 때가 아니라는 생각이 강하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상대적으로 오름세가 덜했던 이른바 '노도강'(노원·도봉·강북)의 일부 아파트는 여전히 실수요 중심의 거래가 있긴 하지만, 이 역시 점차 잦아들 가능성이 크다.
노원구의 한 중개업소 대표는 "다른 지역에 비해 워낙 상승률이 낮았기 때문에 뒤늦게 '키 맞추기'를 하고 있으나 계속 오르긴 어려울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공급과 대출, 세금을 아우르는 9·13대책이 이상 과열된 서울 부동산 시장을 잠재우는 데 성공했다고 평가했다.
다만, 하방 경직성이 강한 부동산 시장의 특성상 '대세 하락장'이 될지는 조금 더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다.
주택산업연구원 김덕례 실장은 "본격적인 하락장은 아니지만, 조정을 받는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김 실장은 "지난해 8·2대책 후에도 집값이 안정됐다가 용산·여의도 통합개발 발언이 나오면서 갑자기 뛰었다"며 "현재는 급증 요인이 많이 제거된 만큼 당분간 조정국면이 이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한경닷컴 뉴스룸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