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부동산 의심' 토지거래 8.1%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7~10월 신고 17만여 건 분석
세종시 '절반'이 의심거래
세종시 '절반'이 의심거래
정부가 신규 공공택지 지정을 위해 개발제한구역(그린벨트) 해제를 추진하고 있는 가운데 개발 재료를 악용한 기획부동산이 전국에서 기승을 부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토지·건물 실거래가서비스 밸류맵은 지난 7월부터 10월 말까지 실거래가 신고가 이뤄진 토지거래(17만9000여 건) 중 8.1%에 달하는 1만4529건이 기획부동산을 통해 지분거래된 것으로 보인다고 13일 밝혔다. 기획부동산이 지분거래한 것으로 추정되는 면적은 785만4053㎡로, 전체 거래 면적(2억7383만㎡)의 2.9%, 금액은 약 3665억원으로 전체 거래가액의 1.8% 수준이다.
올 하반기 거래량 기준 기획부동산으로 추정되는 거래가 가장 많은 지역은 세종으로, 순수 토지 거래량의 52.6%가 지분거래로 추정됐다. 울산(24.1%), 경기(18.1%), 서울(14.9%), 인천(10.8%) 등이 뒤를 이었다.
기획부동산은 토지를 대거 매입한 뒤 웃돈을 얹어 여러 명에게 쪼개 파는 것을 말한다. 통상 10만~20만㎡ 규모의 큰 땅을 사들인 뒤 지분 형태로 불특정 다수에게 판매한다. 이들은 그린벨트 해제 논의나 신규 택지 지정 등 불확실한 개발 호재를 내세우며 소액 투자로도 큰돈을 벌 수 있다고 투자자를 현혹한다. 이 때문에 개발 호재가 많은 수도권이나 세종 등에서 기획부동산 활동이 활발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기획부동산은 ‘경매’ ‘옥션’ ‘토지정보’ 등을 이름에 붙여 경매 정보회사로 위장해 투자자를 모집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창동 밸류맵 리서치팀장은 “기획부동산이 경매 회사인 것처럼 위장하는 경우가 많지만 판매 대상 토지의 등기부를 확인하면 경매 개시와 관련한 어떤 등기 내용도 확인할 수 없는 허위 광고 사례가 대부분”이라고 말했다. 그는 “기획부동산은 지분을 매입한 뒤 향후 가치가 오르면 개인별로 매매할 수 있다고 광고하지만, 실제로는 소유권자 전원이 동의해야 토지를 활용할 수 있다 보니 지분만 살 매수자를 찾기 힘들다”며 “기획부동산이 이미 매입가의 3배에서 최대 10배까지 웃돈을 붙여 팔고 있어 차익을 얻기도 어렵다”고 설명했다.
선한결 기자 always@hankyung.com
토지·건물 실거래가서비스 밸류맵은 지난 7월부터 10월 말까지 실거래가 신고가 이뤄진 토지거래(17만9000여 건) 중 8.1%에 달하는 1만4529건이 기획부동산을 통해 지분거래된 것으로 보인다고 13일 밝혔다. 기획부동산이 지분거래한 것으로 추정되는 면적은 785만4053㎡로, 전체 거래 면적(2억7383만㎡)의 2.9%, 금액은 약 3665억원으로 전체 거래가액의 1.8% 수준이다.
올 하반기 거래량 기준 기획부동산으로 추정되는 거래가 가장 많은 지역은 세종으로, 순수 토지 거래량의 52.6%가 지분거래로 추정됐다. 울산(24.1%), 경기(18.1%), 서울(14.9%), 인천(10.8%) 등이 뒤를 이었다.
기획부동산은 토지를 대거 매입한 뒤 웃돈을 얹어 여러 명에게 쪼개 파는 것을 말한다. 통상 10만~20만㎡ 규모의 큰 땅을 사들인 뒤 지분 형태로 불특정 다수에게 판매한다. 이들은 그린벨트 해제 논의나 신규 택지 지정 등 불확실한 개발 호재를 내세우며 소액 투자로도 큰돈을 벌 수 있다고 투자자를 현혹한다. 이 때문에 개발 호재가 많은 수도권이나 세종 등에서 기획부동산 활동이 활발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기획부동산은 ‘경매’ ‘옥션’ ‘토지정보’ 등을 이름에 붙여 경매 정보회사로 위장해 투자자를 모집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창동 밸류맵 리서치팀장은 “기획부동산이 경매 회사인 것처럼 위장하는 경우가 많지만 판매 대상 토지의 등기부를 확인하면 경매 개시와 관련한 어떤 등기 내용도 확인할 수 없는 허위 광고 사례가 대부분”이라고 말했다. 그는 “기획부동산은 지분을 매입한 뒤 향후 가치가 오르면 개인별로 매매할 수 있다고 광고하지만, 실제로는 소유권자 전원이 동의해야 토지를 활용할 수 있다 보니 지분만 살 매수자를 찾기 힘들다”며 “기획부동산이 이미 매입가의 3배에서 최대 10배까지 웃돈을 붙여 팔고 있어 차익을 얻기도 어렵다”고 설명했다.
선한결 기자 alway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