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 "만리장성 열리나"…게임업계, 中 '판호' 재개 촉각
국내 게임 수출의 40%를 차지하는 중국의 자국 시장 영업 허가권(판호·版號)이 내년 3월 재개될 것으로 전망된다. 중국이 사드(고고도 미사일 방어 체계) 보복 조치로 판호를 붙들면서 국산 게임의 중국 수출은 20개월 동안 한 건도 나오지 않고 있어 귀추가 주목된다.

20일 국내 게임업계를 중심으로 판호 이슈가 내년 3월 마무리될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다. 주요 게임사 대표들이 이같은 전망을 직접 내놓으면서 기대감이 높다. 방준혁 넷마블 의장은 지난주 열린 지스타에서 "중국의 판호 금지 이슈가 내년에는 해소될 것으로 생각한다"며 "관련 시그널은 받지 못했지만 양국 관계가 이 상태로 가진 않을 것이다. 따뜻한 날씨가 올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장현국 위메이드 대표도 기자간담회에서 "판호 발급이 내년 3월 전 재개될 것으로 예상한다"며 "늦어도 내년 3월에는 정리가 될 것 같다는 분위기가 지배적이다. 그 전에라도 정리가 되면 좋을 것 같다"고 힘을 실었다.

중국은 올 초 판호 발급과 관리를 신문출판광전총국에서 중앙선전부로 이관했다. 미성년자의 게임 시간을 제한하고 신규 온라인 게임 허가를 축소하기 위해서다. 중국 정부가 게임산업 전권을 거머쥐면서 규제는 강화됐다. 중국 최대 IT기업 텐센트가 직격탄을 맞아 한달 만에 시가총액 60조원이 증발할 정도다.

중국 게임시장의 전망은 밝지 않다. 중국 정부가 지난 4월부터 자국 게임에 대한 판호 발급을 중단하면서 "중국이 한 물 갔다"는 전망도 나온다. 덩달아 중화권에서만 연간 1조5000억원(전체 수출액의 40%)의 매출을 거두는 국내 게임산업에도 경고등이 켜졌다.

하지만 중국은 포기할 수 없는 시장인 건 분명하다. 시장 규모가 30조원(국내시장 3배)에 달하는 만큼 중국을 빼놓고는 성장할 수 없다는 게 전반적인 평가다. 중소게임사 대표는 "중국은 정부의 규제와 업체간 저작권 분쟁이 얽혀 사업하기 힘든 곳"이라면서도 "그만큼 성공 가능성도 높다. 중국을 제외하고는 사업을 할 수 없다"고 설명했다.

국내 업체들은 중국인 개발자 고용, 현지 게임 개발 등 현지화 전략에 집중하고 있다. 인기 있는 게임의 지적재산권(IP)을 활용한 신작을 앞세워 중국 시장을 공략하겠다는 전략이다. 다만 이미 중국 게임사들이 국내 IP를 활용한 신작을 내놓으면서 "판호 발급이 무의미해졌다"는 우려도 있다. 판호 발급이 재개되더라도 국내 업체들이 중국 시장에서 성공할 확률은 낮아졌다는 것이다.

전문가들은 제대로된 현지화 전략만이 성공 가능성을 높여준다고 말한다. 한국무역협회는 보고서를 통해 "중국 게임문화와 사용자 기호 등에 최적화된 맞춤형 게임 개발 및 이를 위한 중국인 게임 개발자 고용, 현지 게임 개발 등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게임업계 관계자는 "판호가 개방되는 것만큼 맞춤형 현지화 전략이 필요하다"며 "과거와 같은 방식으로 접근해서는 승산이 없다. 우리가 갖고 있는 강점을 살려 창의적인 신작을 내놓아야 한다"고 말했다.

윤진우 한경닷컴 기자 jiinwoo@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