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뉴욕증시, 이틀연속 급락…올해 상승분 다 까먹었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경기둔화 우려·무역전쟁에 버팀목 'FAANG'이 하락주도
골드만삭스 "4분기부터 경기 둔화, 현금비중 늘려라" 미국 뉴욕증시가 미중 무역전쟁과 글로벌 경기 둔화 우려로 급락세를 지속, 올해 상승분을 모두 반납했다.
20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 30 산업평균지수는 전날보다 551.80포인트(2.21%) 하락한 24,465.64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48.84포인트(1.82%) 내린 2,641.89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119.65포인트(1.70%) 떨어진 6,908.82를 각각 기록했다.
다우지수는 25,000선이, 나스닥 지수는 7,000선이 모두 무너졌다.
전날에 이어 이틀간 다우지수는 3.7%, S&P 500 지수는 3.4%, 나스닥 지수는 4.6%나 미끄러졌다.
특히 뉴욕증시 3대 지수 모두 올해 상승분을 모두 까먹었다.
다우지수와 S&P 500 지수, 나스닥 지수 모두 올해 첫 개장일인 지난 1월 2일 기록했던 24,824.01, 2,695.81, 7,006.90 밑으로 미끄러진 것이다.
나스닥 지수는 최근 고점대비 14.8%나 하락해 조정 국면에 진입했다.
통상 고점 대비 10~20%의 하락세를 보이면 조정국면에 접어든 것으로 평가된다.
다우지수는 고점 대비 8.8%, S&P 500는 9.8% 하락해 조정국면에 근접했다.
뉴욕증시의 엔진 격인 핵심 정보·기술(IT) 종목들이 큰 폭으로 하락하면서 뉴욕증시에 직격탄을 날리고 있다.
이른바 '팡'(FAANG)으로 불리는 페이스북, 애플, 아마존, 넷플릭스, 구글 5개 종목은 모두 약세장에 진입했다.
52주 전고점 대비 20% 이상 하락하면 통상 약세장으로 분류한다.
애플(4.78%), 아마존(1.11%), 넷플릭스(1.34%) 등은 이날도 내렸다.
소비특수인 추수감사절과 블랙프라이데이를 앞둔 가운데 소매유통업체인 타깃이 3분기 실적이 기대치에 미치지 못하면서 11.28%나 급락했다.
미국의 주요 경제지표는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이 2분기 4.2%에 이어 3분기 3.5%를 기록하고, 10월 실업률도 거의 반세기 만에 최저치인 3.7%를 나타내는 등 견조한 상황이지만 글로벌 성장 둔화 우려가 투자 심리를 위축시키고 있다.
여전히 협상 타결을 낙관하기 어려운 미중 무역전쟁과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지속적인 기준금리 인상도 큰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특히 골드만삭스는 전날 미 경제성장이 둔화할 것이라면서 올해 4분기 2.5%, 내년 1분기 2.5%, 2분기 2.2%, 3분기 1.8%, 4분기 1.6%의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골드만삭스는 위험 대비 주식 수익률은 과거 수년간의 평균보다 낮아질 것이라면서 현금 보유를 늘릴 것을 권고했다.
특히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지난 9월 24일부터 10%의 관세를 부과하기 시작한 2천억 달러 규모의 중국산 수입품에 대해 예정대로 내년 1월부터 관세율을 25%로 올릴 경우 기업들의 실적에 심대한 타격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
골드만삭스는 내년에도 '강세장'(bull market)은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면서도 투자자들이 2020년 경기침체 가능성에 대한 우려를 시작하면서 변동성이 심해질 수 있다고 진단했다.
뱅크오브아메리카 메릴린치(BoA-ML)의 글로벌 투자 전략가인 재러드 우더드는 "미중 무역전쟁은 테크(기술) 전쟁이고, 단기간에 해결될 것 같지 않다"면서 "미중이 양보하기 전에 금융시장에 더 많은 고통을 안길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TS 롬바드의 다리오 퍼킨스는 "단기적으로 기술 섹터의 약세가 글로벌 경제에 상당한 영향을 끼칠 수 있다"면서 "'팡'(FAANG)의 추가적인 위축은 미 주식시장 전반을 훼손할 수 있다"고 말했다.
주가 하락은 유가 급락으로 이어졌다.
기존 공급 부담에다 글로벌 경기둔화 우려에 따른 주가급락이 원유 수요 우려까지 자극한 것이다.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내년 1월 인도분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는 전날보다 배럴당 6.6%(3.77달러) 급락한 53.43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런던 ICE 선물거래소의 내년 1월물 브렌트유도 오후 3시 7분 현재 배럴당 6.57%(4.39달러) 하락한 62.40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최근 고점 대비 WTI는 31%, 브렌트유는 29%나 각각 급락했다.
/연합뉴스
골드만삭스 "4분기부터 경기 둔화, 현금비중 늘려라" 미국 뉴욕증시가 미중 무역전쟁과 글로벌 경기 둔화 우려로 급락세를 지속, 올해 상승분을 모두 반납했다.
20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 30 산업평균지수는 전날보다 551.80포인트(2.21%) 하락한 24,465.64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48.84포인트(1.82%) 내린 2,641.89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119.65포인트(1.70%) 떨어진 6,908.82를 각각 기록했다.
다우지수는 25,000선이, 나스닥 지수는 7,000선이 모두 무너졌다.
전날에 이어 이틀간 다우지수는 3.7%, S&P 500 지수는 3.4%, 나스닥 지수는 4.6%나 미끄러졌다.
특히 뉴욕증시 3대 지수 모두 올해 상승분을 모두 까먹었다.
다우지수와 S&P 500 지수, 나스닥 지수 모두 올해 첫 개장일인 지난 1월 2일 기록했던 24,824.01, 2,695.81, 7,006.90 밑으로 미끄러진 것이다.
나스닥 지수는 최근 고점대비 14.8%나 하락해 조정 국면에 진입했다.
통상 고점 대비 10~20%의 하락세를 보이면 조정국면에 접어든 것으로 평가된다.
다우지수는 고점 대비 8.8%, S&P 500는 9.8% 하락해 조정국면에 근접했다.
뉴욕증시의 엔진 격인 핵심 정보·기술(IT) 종목들이 큰 폭으로 하락하면서 뉴욕증시에 직격탄을 날리고 있다.
이른바 '팡'(FAANG)으로 불리는 페이스북, 애플, 아마존, 넷플릭스, 구글 5개 종목은 모두 약세장에 진입했다.
52주 전고점 대비 20% 이상 하락하면 통상 약세장으로 분류한다.
애플(4.78%), 아마존(1.11%), 넷플릭스(1.34%) 등은 이날도 내렸다.
소비특수인 추수감사절과 블랙프라이데이를 앞둔 가운데 소매유통업체인 타깃이 3분기 실적이 기대치에 미치지 못하면서 11.28%나 급락했다.
미국의 주요 경제지표는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이 2분기 4.2%에 이어 3분기 3.5%를 기록하고, 10월 실업률도 거의 반세기 만에 최저치인 3.7%를 나타내는 등 견조한 상황이지만 글로벌 성장 둔화 우려가 투자 심리를 위축시키고 있다.
여전히 협상 타결을 낙관하기 어려운 미중 무역전쟁과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지속적인 기준금리 인상도 큰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특히 골드만삭스는 전날 미 경제성장이 둔화할 것이라면서 올해 4분기 2.5%, 내년 1분기 2.5%, 2분기 2.2%, 3분기 1.8%, 4분기 1.6%의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골드만삭스는 위험 대비 주식 수익률은 과거 수년간의 평균보다 낮아질 것이라면서 현금 보유를 늘릴 것을 권고했다.
특히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지난 9월 24일부터 10%의 관세를 부과하기 시작한 2천억 달러 규모의 중국산 수입품에 대해 예정대로 내년 1월부터 관세율을 25%로 올릴 경우 기업들의 실적에 심대한 타격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
골드만삭스는 내년에도 '강세장'(bull market)은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면서도 투자자들이 2020년 경기침체 가능성에 대한 우려를 시작하면서 변동성이 심해질 수 있다고 진단했다.
뱅크오브아메리카 메릴린치(BoA-ML)의 글로벌 투자 전략가인 재러드 우더드는 "미중 무역전쟁은 테크(기술) 전쟁이고, 단기간에 해결될 것 같지 않다"면서 "미중이 양보하기 전에 금융시장에 더 많은 고통을 안길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TS 롬바드의 다리오 퍼킨스는 "단기적으로 기술 섹터의 약세가 글로벌 경제에 상당한 영향을 끼칠 수 있다"면서 "'팡'(FAANG)의 추가적인 위축은 미 주식시장 전반을 훼손할 수 있다"고 말했다.
주가 하락은 유가 급락으로 이어졌다.
기존 공급 부담에다 글로벌 경기둔화 우려에 따른 주가급락이 원유 수요 우려까지 자극한 것이다.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내년 1월 인도분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는 전날보다 배럴당 6.6%(3.77달러) 급락한 53.43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런던 ICE 선물거래소의 내년 1월물 브렌트유도 오후 3시 7분 현재 배럴당 6.57%(4.39달러) 하락한 62.40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최근 고점 대비 WTI는 31%, 브렌트유는 29%나 각각 급락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