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기업종합지원센터, 장애인기업 창업부터 해외진출까지…교육·자금·컨설팅 '밀착 지원'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혁신성장 앞장서는 단체·기관
서울 등 16개 지역센터 두고
전국 138개 창업보육실 운영
매년 1000여명 교육생 배출
장애인 스마트팜 조성도 추진
서울 등 16개 지역센터 두고
전국 138개 창업보육실 운영
매년 1000여명 교육생 배출
장애인 스마트팜 조성도 추진
대한민국 국민의 약 5%는 장애인이다. 전체 5117만여 명 중 254만 명이 장애인이라는 얘기다. 이 중 4만여 명이 창업해 기업체를 운영 중이다. 이런 장애인기업은 연간 3.55%씩 늘어나고 있다.
정부는 장애인의 경제적 자립을 위해 장애인의 고용과 취업을 알선하는 단순 지원에서 벗어나 장애인의 창업과 기업활동을 촉진해 경제적 자립을 이룰 수 있게 하는 ‘장애인기업활동 촉진법’을 2005년 제정했다. 이 법 제13조에 따라 장애인기업종합지원센터를 설립하고 서울을 거점으로 16개 지역센터를 두고 지역과 고객 밀착형 지원사업을 하고 있다.
해외시장 판로 개척
지원센터 예산은 2009년 20억원으로 시작해 올해 79억원으로 늘어났다. 전국 138개 창업보육실을 운영하고 있으며 매년 1000여 명의 창업교육생을 배출하고 있다. 이를 통해 100명의 창업과 120명의 일자리 창출 성과를 내고 있다.
지원센터는 올해 중소벤처기업부 산하 신규 공공기관으로 지정됐다. 이를 계기로 혁신 원년으로 삼고 장애인기업 육성을 위한 장애인기업의 해외시장 판로 개척 및 4차 산업 육성을 위한 장애인 스마트팜 창업 등을 역점 추진하고 있다.
지원센터는 아랍에미리트와 영국 장애인기업 관련 정책 교류를 기반으로 장애인기업의 해외시장 판로 개척에 나섰다. 지난 9월 두바이와 샤르자 지역에 무역사절단을 파견해 520만달러의 상담 실적과 166만달러 규모의 계약추진액이라는 성과를 거뒀다. 추가로 업무협약을 맺고 각국 장애인의 경제 활동을 위한 정책포럼, 창업교육, 카탈로그 전시회 등을 열었다. 이들 성과는 2억4000만원이라는 적은 규모의 예산을 투입해 신규사업인 ‘장애인기업 수출지원사업’을 성공적으로 이끌어낸 혁신 사례로 꼽힌다.
지원센터는 수출지원사업을 내년에 더욱 강화해 기업 성장 단계별로 지원할 수 있도록 준비하고 있다. 수출준비·초기기업을 위한 외국어홈페이지 제작, 해외 온라인쇼핑몰 입점, 무역사절단 등을 계획하고 있다.
기술창업과 사업화 지원도
지원센터는 장애인 일자리 창출을 위해 12억원 규모의 예산을 투입, 장애인 ‘창업 사업화 자금’을 지원하고 있다. 장애인 예비창업자에겐 1000만원, 장애인 청년 예비창업자에겐 2000만원 한도의 자금지원과 창업에 필요한 맞춤형 1 대 1 컨설팅 지원한다. 올해 90명을 시작으로 연간 100여 명의 창업자 배출을 통해 일자리 창출에 기여하고 있다.
더불어 기업 경영환경 흐름에 맞춰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장애인기업이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사업 영역을 확대하고 있다. ‘장애인 스타트업 농장’은 농업의 6차 산업화를 통해 신체적·정신적 제약이 있는 장애인의 창업 유도와 사회적 일자리 제공, 지역경제 활성화를 목표로 이뤄지는 사업이다. 현재 안동진명학교 공주대와 버섯, 곤충에 대한 이론과 실습교육, 생산과 유통까지 단계적인 특화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팜셰어 공간을 지원, 교육 이수자에게 부속농장 내 사육장을 제공하고 있다. 지원 범위를 넓히기 위해 발달장애인 가족자립 영농창업 또한 지원할 예정이다.
‘기술창업’과 ‘사업화지원’ 역시 이런 시대적 변화를 반영한 혁신사업 중 하나다. 국내 대기업인 KT 및 국립대인 서울대(QoLT)와 손잡고 ‘장애인 기술창업 교육 및 사업화 지원을 통한 기술창업자 양성’ 업무협약을 시작으로 LG, SCHS, 서울대(QoLT) 간 ‘장애인 학생 기술창업 활성화를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 업무협약까지 장애인 기술창업에 필요한 전문기관과의 교류 활동을 대폭 강화했다.
올해 서울대(QoLT)와 장애인 정보통신기술(ICT) 융·복합 기술창업 과정을 운영해 30여 명이 수료했다. 내년에는 서울대(QoLT) 외 조선대 SW융합교육원과도 연계 과정을 개설할 예정이다.
장애인기업이 성장하는 데 지원센터 같은 전문기관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김수한 장애인기업종합지원센터장은 “내년에도 장애인 기업을 지원하는 전문기관으로 공공성을 강화하고 사회적 가치 실현에 적극적으로 나서겠다”고 말했다.
김진수 기자 true@hankyung.com
정부는 장애인의 경제적 자립을 위해 장애인의 고용과 취업을 알선하는 단순 지원에서 벗어나 장애인의 창업과 기업활동을 촉진해 경제적 자립을 이룰 수 있게 하는 ‘장애인기업활동 촉진법’을 2005년 제정했다. 이 법 제13조에 따라 장애인기업종합지원센터를 설립하고 서울을 거점으로 16개 지역센터를 두고 지역과 고객 밀착형 지원사업을 하고 있다.
해외시장 판로 개척
지원센터 예산은 2009년 20억원으로 시작해 올해 79억원으로 늘어났다. 전국 138개 창업보육실을 운영하고 있으며 매년 1000여 명의 창업교육생을 배출하고 있다. 이를 통해 100명의 창업과 120명의 일자리 창출 성과를 내고 있다.
지원센터는 올해 중소벤처기업부 산하 신규 공공기관으로 지정됐다. 이를 계기로 혁신 원년으로 삼고 장애인기업 육성을 위한 장애인기업의 해외시장 판로 개척 및 4차 산업 육성을 위한 장애인 스마트팜 창업 등을 역점 추진하고 있다.
지원센터는 아랍에미리트와 영국 장애인기업 관련 정책 교류를 기반으로 장애인기업의 해외시장 판로 개척에 나섰다. 지난 9월 두바이와 샤르자 지역에 무역사절단을 파견해 520만달러의 상담 실적과 166만달러 규모의 계약추진액이라는 성과를 거뒀다. 추가로 업무협약을 맺고 각국 장애인의 경제 활동을 위한 정책포럼, 창업교육, 카탈로그 전시회 등을 열었다. 이들 성과는 2억4000만원이라는 적은 규모의 예산을 투입해 신규사업인 ‘장애인기업 수출지원사업’을 성공적으로 이끌어낸 혁신 사례로 꼽힌다.
지원센터는 수출지원사업을 내년에 더욱 강화해 기업 성장 단계별로 지원할 수 있도록 준비하고 있다. 수출준비·초기기업을 위한 외국어홈페이지 제작, 해외 온라인쇼핑몰 입점, 무역사절단 등을 계획하고 있다.
기술창업과 사업화 지원도
지원센터는 장애인 일자리 창출을 위해 12억원 규모의 예산을 투입, 장애인 ‘창업 사업화 자금’을 지원하고 있다. 장애인 예비창업자에겐 1000만원, 장애인 청년 예비창업자에겐 2000만원 한도의 자금지원과 창업에 필요한 맞춤형 1 대 1 컨설팅 지원한다. 올해 90명을 시작으로 연간 100여 명의 창업자 배출을 통해 일자리 창출에 기여하고 있다.
더불어 기업 경영환경 흐름에 맞춰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장애인기업이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사업 영역을 확대하고 있다. ‘장애인 스타트업 농장’은 농업의 6차 산업화를 통해 신체적·정신적 제약이 있는 장애인의 창업 유도와 사회적 일자리 제공, 지역경제 활성화를 목표로 이뤄지는 사업이다. 현재 안동진명학교 공주대와 버섯, 곤충에 대한 이론과 실습교육, 생산과 유통까지 단계적인 특화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팜셰어 공간을 지원, 교육 이수자에게 부속농장 내 사육장을 제공하고 있다. 지원 범위를 넓히기 위해 발달장애인 가족자립 영농창업 또한 지원할 예정이다.
‘기술창업’과 ‘사업화지원’ 역시 이런 시대적 변화를 반영한 혁신사업 중 하나다. 국내 대기업인 KT 및 국립대인 서울대(QoLT)와 손잡고 ‘장애인 기술창업 교육 및 사업화 지원을 통한 기술창업자 양성’ 업무협약을 시작으로 LG, SCHS, 서울대(QoLT) 간 ‘장애인 학생 기술창업 활성화를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 업무협약까지 장애인 기술창업에 필요한 전문기관과의 교류 활동을 대폭 강화했다.
올해 서울대(QoLT)와 장애인 정보통신기술(ICT) 융·복합 기술창업 과정을 운영해 30여 명이 수료했다. 내년에는 서울대(QoLT) 외 조선대 SW융합교육원과도 연계 과정을 개설할 예정이다.
장애인기업이 성장하는 데 지원센터 같은 전문기관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김수한 장애인기업종합지원센터장은 “내년에도 장애인 기업을 지원하는 전문기관으로 공공성을 강화하고 사회적 가치 실현에 적극적으로 나서겠다”고 말했다.
김진수 기자 true@hankyung.com